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닥터 두리틀(2020)

덤프버전 :

닥터 두리틀 (2020)
Dolittle
파일:rdj doctor dolittle offical poster.jpg
감독 스티븐 게이건
제작 수잔 다우니[1]
제프 커센바움
조 로스
각본 스티븐 게이건
토마스 셰퍼드
장르 판타지, 모험
출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톰 홀랜드, 라미 말렉
제작사 유니버설 픽처스
로스 필름스
미디어 라이츠 캐피탈
팀 다우니[2]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0년 1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1월 8일
음악 대니 엘프먼[3]
러닝타임 101분
제작비 1억 7천 5백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77,047,065 (최종)
월드 박스오피스 $251,509,052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수 1,607,082명 (최종)
국내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1. 개요
2. 시놉시스
3. 출연진
3.1. 실사 출연진
3.2. 목소리 출연진
4. 예고편
6. 평가
7. 흥행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20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 소설 '닥터 두리틀의 바다 여행'[4]이 원작인 영화로 감독은 시리아나의 스티븐 개건이 맡았다. 동물과 대화가 가능한 영국인 의사 두리틀과 동물 친구들의 모험담을 다뤘다.

전술한 에디 머피 주연의 1998년작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는 1998년작과 전혀 다른 배경 등에 이질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사실은 1998년작이 각색을 좀 많이 했던 거고 원작에 더 가까운 건 오히려 이쪽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원작에 가까운거지 세세히 파고들면 이쪽도 원작과 차이가 넘쳐난다.

쿠키 영상이 하나 있다.


2. 시놉시스[편집]


“어떤 위험이 따르더라도 우린 함께 하는 거야”

동물들과 소통하는 특별한 능력을 지닌 닥터 두리틀(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세상과 단절한 채 동물들과 친구가 되어 살아간다.

어느 날, 여왕에게 알 수 없는 불치병이 생기고 왕국마저 위험에 빠지게 되자, 그의 놀라운 능력만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어진 시간 안에 누구도 가보지 못했던 신비의 섬을 찾아내야만 하고,

두리틀은 친구들과 함께 위험천만한 모험을 떠나게 되는데…



3. 출연진[편집]


좌측부터 원어, 한국어, 일본어 성우진


3.1. 실사 출연진[편집]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안지환 / 후지와라 케이지[5] - 존 두리틀 박사 역
  • 해리 콜렛 / 정민석 - 토미 스터빈스 역
  • 안토니오 반데라스 / 안장혁 / 오오츠카 아키오[6] - 라술리 역
  • 마이클 쉰 / 양석정 / 오오츠카 호우츄 - 블레어 머드플라이 역
  • 제시 버클리 - 빅토리아 여왕
  • 랄프 이네슨 - 아널 스터빈스 역
  • 카르멜 라니아도 - 레이디 로즈 역
  • 짐 브로드벤트[7] / 김태훈 - 장관 역


3.2. 목소리 출연진[편집]


  • 톰 홀랜드 / 남도형[8] / 사이토 소마 - 지프 ()
  • 엠마 톰슨 / 안경진 / 이시다 유리코 - 폴리네시아[9] (앵무새)
  • 레이프 파인스 / 홍범기 / 이케다 슈이치 - 배리 (호랑이)
  • 존 시나 / 이현 / 나카무라 유이치 - 요시 (북극곰)
  • 쿠마일 난지아니 / 엄상현 / 야시마 노리토 - 플림턴 (타조)
  • 옥타비아 스펜서 / 전숙경 / 박로미[10] - 댑-댑 (오리)
  • 라미 말렉 / 신용우 / 오노 다이스케 - 치-치 (고릴라)[11]
  • 크레이그 로빈슨 / 서반석 / 쿠로다 타카야 - 케빈 (청설모)
  • 셀레나 고메즈 / 이다은 / 하나자와 카나 - 베시 (기린)
  • 마리옹 코티야르 / 사와시로 미유키 - 투투 (여우)[12]
  • 카먼 이조고 - 레진 (암사자[13])
  • 프랜시스 데라투어 - 긴코-후-소어즈 (드래곤)[14]


4. 예고편[편집]


메인 예고편

공식 예고편


5. 줄거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닥터 두리틀(2020)/줄거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9866|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8.14 / 10
네티즌
6.61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8.14 / 10
네티즌
6.61 / 10
]]
평점 8.14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6.6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89%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B




이 영화는 아주 어린 관객들을 즐겁게 하는 데는 충분할지 모르지만, 뒤죽박죽된 이야기와 식상한 유머로 가득찬 이 리메이크는 그 아이들에게마저 부족하다.

-로튼 토마토 총평-


어수선한 모험담

처음부터 끝까지 쉼표가 필요해 보인다. 호흡을 조절하지 않고 산만하게 밀어붙인 모험담에 눈과 귀가 동시에 소란스러워지는 사이, 공감이 어우러질 여지는 점점 줄어든다. 결국 전반적으로 나열에 가까운 인물 소개에 그치고 마는데, 타이틀롤인 닥터 두리틀마저도 동물과 깊이 소통할 수 있다는 것 외에 그만의 매력을 아주 선명하게 새겨 넣는 데는 가닿지 못한다. 디테일을 툭툭 끊은 듯한 거친 편집 안에서 그래픽 기술의 놀라움, 동물 캐릭터들의 귀여움 같은 순간적인 볼거리와 재미에 더 치중한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은선(영화 저널리스트)


한 마디로 요약해 '잘못 편집한 영화', '화려한 졸작' 이라는 이 많다.

IMDB, 다음, 왓챠, 네이버 모두 평점이 빠르게 내려갔다. 실제로 낮은 평점의 유저평들을 보면 "로다주 빼면 볼 것 없다", "아동 영화를 어른 영화인 것 처럼 포장했다" 라는 식의 평가가 주류다. 스토리에 악평이 많으며 아이들이나 좋아할 법한, 대변(...)[15]이라는 소재가 특히 혐오를 산다.

미국, 유럽은 물론 한국에서도 악평을 들으며 링크에서 보듯 캣츠를 연상시키는 혹평이 쏟아지고 있다. 그 주는 이은선 평론가의 지적처럼 지나치게 빠르고 불친절한 전개와 나열식 인물 구성이다. 매력적인 소재와 스토리를 가진 원작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 표현에만 치중하고 전개, 편집, 연출에는 하등 신경쓰지 않은 것처럼 보일 지경. 더 나아가 스터빈스의 등장이 이해가 안되게 그려지며 시종일관 해당 캐릭터는 애매한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이 정도가 심해 스터빈스라는 캐릭터를 없애더라도 극 진행은 된다.

닥터 두리틀의 상징과도 같은 동물들의 성장이라는 소재도 활용하지 못했는데, 겁이 많은 고릴라 치치를 뺀다면 다른 이들은 성장 과정이 중간 단계를 거진 생략하며 관객이 보기에는 사실상 급전개이다. 편집 단계의 문제인지 디테일이 끊겨있는 모습이 많다. 메타포를 활용한 은유가 아닌 정말 끊겨있게 편집되어있다. 관객이 "내가 놓친 부분이 있나?" 라고 착각할 정도로 편집이 아무리 좋게 포장해줘도 스피디 하다.

심지어 원작파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각색이 도를 넘을 정도로 심하다. 이 영화는 두리틀 박사 시리즈의 두번째 이야기 '두리틀 박사의 바다여행(the voyage of doctor dolittle)'을 기반으로 한 영화인데, 주요 동물들의 종족이 바뀌는 것은 흔한 각색이라 넘어가도 되는데다[16], 원래 첫번째 이야기가 인종 차별 논란에 휩쓸일까봐 영화화 하지 못한 것은 그렇다 쳐도, 이 영화의 프리퀄에 해당되는 내용에 대한 제대로 된 언급은 하나도 없는데다, 원작의 내용과는 아무 관련도 없는 생판 다른 스토리로 각색되는 바람에 원작에 등장한 인디언 '긴화살'은 물론 주인공들과 모험을 같이 떠난 아프리카 왕자 '범포', 구관조 '미란다'같은 캐릭터들이 완전히 삭제되었다.

두리틀 박사의 캐릭터성도 차이가 엄청난데 원작에서 박사는 미혼인데다 처음보는 토미를 집으로 들여보내주는 친절함에 폭풍이 몰아쳐도 절망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인물이었지만 영화에서는 기혼은 둘째치고 대인기피증에 모든 방법이 좌절되자 금세 포기해버리는 외강내유 인물이 되어버렸다.

결국 개봉 한달이 지나도록 본전치기도 못하는 흥행으로 캣츠와 사이좋게 망했다.

그리고 2021 골든 라즈베리 수상으로 이어진다. 익스트림 무비


7. 흥행[편집]


2020년 개봉 영화 전 세계 박스오피스 Top 10
[ 펼치기 · 접기 ]

순위제목감독제작국장르박스오피스
1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소토자키 하루오일본애니메이션, 액션$503,063,688
2800관후중국전쟁, 액션$472,575,002
3나와 나의 고향닝하오 외 6명중국드라마$433,241,288
4나쁜 녀석들: 포에버아딜 엘 아르비, 빌랄 팔라미국액션, 코미디$426,505,244
5테넷크리스토퍼 놀란미국액션, SF$363,129,000
6수퍼 소닉제프 파울러미국모험, 판타지$319,715,683
7닥터 두리틀스티븐 개건미국코미디$245,521,062
8강자아정등중국애니메이션, 판타지$240,661,689
9송니일타소홍화한옌중국드라마$238,600,000
10쇼크 웨이브 2구예도중국, 홍콩액션$226,320,000
출처: 위키백과The Numbers, 기준일: 2021년 6월 5일





7.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0년 1주차2020년 2주차2020년 3주차
백두산닥터 두리틀해치지않아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401명401명미집계3,609,000원3,609,000원
1주차2020-01-08. 1일차(수)107,984명1,087,448명1위860,829,200원9,158,810,930원
2020-01-09. 2일차(목)103,497명1위827,250,890원
2020-01-10. 3일차(금)129,068명1위1,121,556,180원
2020-01-11. 4일차(토)307,996명1위2,666,716,130원
2020-01-12. 5일차(일)280,702명1위2,423,687,720원
2020-01-13. 6일차(월)80,762명1위643,361,540원
2020-01-14. 7일차(화)77,442명1위611,961,270원
2주차2020-01-15. 8일차(수)50,355명-명3위395,755,020원-원
2020-01-16. 9일차(목)44,832명3위349,378,740원
2020-01-17. 10일차(금)50,520명3위427,338,960원
2020-01-18. 11일차(토)118,348명3위1,008,454,220원
2020-01-19. 12일차(일)102,380명3위873,589,490원
2020-01-20. 13일차(월)29,098명3위229,117,990원
2020-01-21. 14일차(화)28,949명3위225,414,900원
3주차2020-01-22. 15일차(수)8,442명-명6위67,128,840원-원
2020-01-23. 16일차(목)10,080명6위80,653,380원
2020-01-24. 17일차(금)14,936명6위132,182,060원
2020-01-25. 18일차(토)13,652명6위124,304,520원
2020-01-26. 19일차(일)13,743명6위122,690,960원
2020-01-27. 20일차(월)13,645명6위117,917,520원
2020-01-28. 21일차(화)3,540명9위27,953,000원
4주차2020-01-29. 22일차(수)4,369명-명8위27,792,260원-원
2020-01-30. 23일차(목)2,142명12위13,741,420원
2020-01-31. 24일차(금)1,997명11위13,168,360원
2020-02-01. 25일차(토)2,815명11위18,764,770원
2020-02-02. 26일차(일)2,456명10위16,408,200원
2020-02-03. 27일차(월)762명16위4,938,480원
2020-02-04. 28일차(화)815명15위5,228,540원
합계누적관객수 1,607,082명, 누적매출액 13,449,206,760원

개봉 첫 날,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를 누르고 1위로 출발했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오랜만의 MCU 외의 출연작이라는 화제성, 겨울방학에 온 가족이 함께 보기 좋은 영화라는 점, 경쟁작인 스타워즈의 평가가 극악이고 한국 개봉도 굉장히 늦은 점, 동시기 경쟁작도 매우 적어 흥행에 호재가 되는 요소가 많아 차후 흥행 전망이 나름 좋았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출연한 비 마블 영화들의 한국 흥행 첫 주 기록중에선 통산 가장 높은 첫 주 흥행기록이다.

하지만 영화의 기본적인 평가가 좋은 수준이 아니었던지라 개봉 1주차부터 예매율이 빠르게 하락하였고, 해치지않아, 남산의 부장들, 히트맨 등 이후 개봉한 신작들에게 한결같이 바닥만 깔아주다가 200만명을 돌파하지 못하고 스크린에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개봉 6일차에 100만명을 돌파했다.

개봉 15일차에 해치지않아나쁜 녀석들: 포에버가 개봉하면서 3위로 밀렸고 상영관도 전주 대비 줄어들었다.


7.2. 홍콩[편집]


홍콩 흥행 1위 영화
2020년 3주차2020년 4주차2020년 5주차
나쁜 녀석들: 포에버닥터 두리틀 닥터 두리틀
2020년 4주차2020년 5주차2020년 6주차
닥터 두리틀닥터 두리틀 닥터 두리틀
2020년 5주차2020년 6주차2020년 7주차
닥터 두리틀닥터 두리틀 판타지 아일랜드
2021년 5주차2021년 6주차2021년 7주차
헌트닥터 두리틀 쇼크 웨이브 2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홍콩 주말 흥행 집계 기준


7.3. 영국[편집]


영국 흥행 1위 영화
2020년 5주차2020년 6주차2020년 7주차
1917닥터 두리틀 수퍼 소닉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영국 주말 흥행 집계 기준


7.4. 독일[편집]


독일 흥행 1위 영화
2020년 4주차2020년 5주차2020년 6주차
나쁜 녀석들: 포에버닥터 두리틀 버즈 오브 프레이
(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독일 흥행 집계 기준


7.5. 이탈리아[편집]


이탈리아 흥행 1위 영화
2020년 4주차2020년 5주차2020년 6주차
1917닥터 두리틀 버즈 오브 프레이
(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7.6. 스페인[편집]


스페인 흥행 1위 영화
2020년 3주차2020년 4주차2020년 5주차
나쁜 녀석들: 포에버닥터 두리틀 닥터 두리틀
2020년 4주차2020년 5주차2020년 6주차
닥터 두리틀닥터 두리틀 버즈 오브 프레이
(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스페인 주말 흥행 집계 기준


7.7. 멕시코[편집]


멕시코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0년 4주차2020년 5주차2020년 6주차
나쁜 녀석들: 포에버닥터 두리틀 버즈 오브 프레이
(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2020년 27주차2020년 28주차2020년 29주차
인비저블맨닥터 두리틀 아담스 패밀리
2021년 18주차2021년 19주차2021년 20주차
언홀리닥터 두리틀 미정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7.8. 브라질[편집]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0년 23주차2020년 24주차2020년 25주차
없음닥터 두리틀 불명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7.9. 일본[편집]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0년 24주차2020년 25주차2020년 26주차
심령카페 엑스트라의 비밀:
더 리얼 엑소시스트
닥터 두리틀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흥행통신 박스오피스 모조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4t2eg4rfweg53h3w5hg3hu.png
개봉 첫 주차에 작은 아씨들, 수요일이 사라졌다를 따돌리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57t67678678.png
개봉 2주차에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모노노케 히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람보: 라스트 워에 밀린 일본 박스오피스 5위로 추락했다.

[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455145515212.png
개봉 3주차에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모노노케 히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람보: 라스트 워에 밀린 일본 박스오피스 5위에 그쳤다.

[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dfweg34g354wrg.png
개봉 4주차에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모노노케 히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내가 인기 있어서 어쩌자는 거야, 인비저블맨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6위에 그쳤다.

[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er32w4gr3wgrg3.png
개봉 5주차에 오늘부터 우리는!! 극장판,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모노노케 히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내가 인기 있어서 어쩌자는 거야, 인비저블맨, 스텝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8위로 내려 앉았다.


7.10. 중국[편집]


중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0년 29주차2020년 30주차2020년 31주차
없음닥터 두리틀 닥터 두리틀
2020년 30주차2020년 31주차2020년 32주차
닥터 두리틀닥터 두리틀 1917
중국 박스오피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중국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8. 기타[편집]


사실 저 대략적인 줄거리만 읽어 봐도 눈치챌 수 있듯이, 이 이야기에서 흑인 왕자가 피부 색을 바꾸는 내용은 백인우월주의에 대한 풍자에 가깝다. 주인공인 두리틀 역시 이에 회의적인 입장. 애초에 원작자인 휴 존 로프팅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자 출신으로 인간의 전쟁에 무고한 동물들이 희생당하는 것을 가슴 아프게 생각했으며, 인종차별에도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소설에서 더욱 자세한 내용을 보면 21세기 기준으로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 다소 섬세하게 다루지 못한 면을 발견할 수는 있어도, 그 의미 자체는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배경 지식을 모르면 소설의 상황이 인종차별적인 내용으로 오해될 만한 것은 사실이라, 굳이 그런 악재를 감수해 가면서까지 첫 번째 이야기를 영화화할 필요는 없었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9. 둘러보기[편집]


2020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펼치기 · 접기 ]

주차제목국가관객수매출액
1주차
(12/30~01/05)
백두산대한민국7,479,389명63,308,870,470원
2주차
(01/06~01/12)
닥터 두리틀미국929,622명7,903,394,520원
3주차
(01/13~01/19)
해치지 않아대한민국813,395명6,902,650,780원
4주차
(01/20~01/26)
남산의 부장들대한민국2,604,649명23,256,827,690원
5주차
(01/27~02/02)
4,251,592명36,998,119,620원
6주차
(02/03~02/09)
클로젯대한민국682,559명5,977,670,980원
7주차
(02/10~02/16)
정직한 후보대한민국911,455명7,744,626,290원
8주차
(02/17~02/23)
1,351,511명11,410,794,660원
9주차
(02/24~03/01)
인비저블맨미국155,956명1,341,408,740원
10주차
(03/02~03/08)
316,020명2,752,012,700원
11주차
(03/09~03/15)
420,320명3,675,126,300원
12주차
(03/16~03/22)
493,249명4,316,368,600원
13주차
(03/23~03/29)
535,995명4,674,859,200원
14주차
(03/30~04/05)
엽문 4: 더 파이널중국
홍콩
31,108명268,572,100원
15주차
(04/06~04/12)
1917미국759,393명6,910,203,620원
16주차
(04/13~04/19)
785,040명7,136,581,760원
17주차
(04/20~04/26)
라라랜드재개봉미국3,689,715명30,586,494,168원
18주차
(04/27~05/03)
트롤: 월드 투어미국57,115명435,292,000원
19주차
(05/04~05/10)
118,771명914,453,520원
20주차
(05/11~05/17)
프리즌 이스케이프영국
호주
67,815명593,931,000원
21주차
(05/18~05/24)
126,975명1,110,240,120원
22주차
(05/25~05/31)
위대한 쇼맨미국1,514,465명12,206,272,700원
23주차
(06/01~06/07)
침입자대한민국288,925명2,678,792,220원
24주차
(06/08~06/14)
결백대한민국314,864명2,891,030,280원
25주차
(06/15~06/21)
558,204명5,056,621,240원
26주차
(06/22~06/28)
#살아있다#대한민국1,060,001명8,855,344,340원
27주차
(06/29~07/05)
1,546,929명13,057,144,940원
28주차
(07/06~07/12)
1,782,928명15,113,437,300원
29주차
(07/13~07/19)
반도대한민국1,803,970명15,881,451,600원
30주차
(07/20~07/26)
2,862,835명25,134,223,700원
31주차
(07/27~08/02)
강철비2: 정상회담대한민국1,019,937명8,390,205,560원
32주차
(08/03~08/09)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대한민국2,025,071명17,797,226,740원
33주차
(08/10~08/16)
3,543,185명31,450,494,470원
34주차
(08/17~08/23)
4,106,131명36,462,040,930원
35주차
(08/24~08/30)
테넷영국660,405명6,018,063,040원
36주차
(08/31~09/06)
1,059,797명9,700,895,860원
37주차
(09/07~09/13)
1,335,224명12,273,393,850원
38주차
(09/14~09/20)
1,536,369명14,155,933,150원
39주차
(09/21~09/27)
1,683,350명15,500,525,670원
40주차
(09/28~10/04)
담보대한민국821,459명7,093,228,600원
41주차
(10/05~10/11)
1,241,304명10,743,084,250원
42주차
(10/12~10/18)
소리도 없이대한민국220,433명1,975,248,760원
43주차
(10/19~10/25)
삼진그룹 영어토익반대한민국358,705명3,077,658,880원
44주차
(10/26~11/01)
931,740명8,183,047,880원
45주차
(11/02~11/08)
도굴대한민국565,477명5,271,470,080원
46주차
(11/09~11/15)
1,001,220명9,276,809,020원
47주차
(11/16~11/22)
1,276,613명11,772,477,220원
48주차
(11/23~11/29)
이웃사촌대한민국200,280명1,712,105,580원
49주차
(11/30~12/06)
326,651명2,811,197,820원
50주차
(12/07~12/13)
조제대한민국78,846명712,418,720원
51주차
(12/14~12/20)
139,430명1,263,522,550원
52주차
(12/21~12/27)
원더 우먼 1984미국303,839명2,763,788,970원
53주차
(12/28~01/03)
461,430명4,145,067,430원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1]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배우자이기도 하다.[2]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수잔 다우니가 설립한 제작사.[3] 원래의 음악감독은 데이비드 아놀드였으나, 하차하였다.[4] 영국 작가인 휴 존 로프팅이 집필한 닥터 두리틀 15개 시리즈 중 두 번째 작품이다.[5] 한국판과 달리 전담 성우가 캐스팅됐다. 2020년 4월 12일에 사망하면서 본 작품이 외화에서의 유작이 되었다.[6] 오오츠카 아키오와 안장혁 두 사람 모두 케로로 중사에서 가루루를 연기했다.[7] 해리 포터 시리즈의 슬러그혼 교수로 나왔었다.[8] 톰 홀랜드는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을, 남도형은 스파이더맨: 홈커밍더빙판에서 스파이더맨을 연기했었다. [9] 극중에서는 그냥 '폴리'라고 부른다.[10] 한일 성우 모두 가모라를 담당하고 있다.[11] 원작과 종이 완전히 달라졌는데, 원작에서는 원숭이 혹은 침팬지였다. 여담으로 한일 더빙판 성우는 던파에서 마창사를 맡았다.[12] 원작에서 투투라는 이름을 가진 동물은 올빼미.[13] A Lioness[14] 원작에서는 거대한 바다달팽이었다.[15] 두리틀이 드래곤의 그곳에 팔을 넣어 관장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16] 일단 주연 동물이기도 하는 치치는 원작에서는 원숭이 내지 침팬지였지만 영화에서는 고릴라로 등장한다. 고릴라랑 침팬지랑 결론적으로 같은 과라 넘어갈 수 있지만, 원작에서 올빼미로 나오는 토토는 여우로, 원작에서 거대 바다달팽이었던 긴코-후-소어즈는 드래곤으로 바뀌었다.[17] 두리틀 선생의 앵무새인 폴리네시아가 정령으로 위장하고 왕자를 속였다.[18] 폴리네시아는 공주가 아니라 어떤 시골 마을 나무 밑에서 잠자던 여성으로 추정했다.[19] 두리틀이 자신을 속인거나 마찬가지임에도 며칠간 백인이 되어본걸로 만족했는지, 그를 원망하긴커녕 존경하고 있으며 조수로 맹활약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닥터 두리틀
닥터 두리틀
문서의 r16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1:51:01에 나무위키 닥터 두리틀(202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