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덤프버전 :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주관 단체국제빙상경기연맹
공식 채택1992년
종목빙상
세부 종목9개 종목

1. 개요
2. 역사
3. 종목
4. 출전권
5. 역대 금메달리스트
6. 역대 대회
7. 메달 집계
8. 기록
8.1. 올림픽 신기록
8.2. 올림픽 메달 최다보유자[1]
8.3. 올림픽 다관왕



1. 개요[편집]


동계 올림픽에서 시행하는 쇼트트랙.


2. 역사[편집]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공인되었다. 이 대회에서 김기훈이 대한민국 선수로는 최초로 동계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후 지속적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고 있다. 하계올림픽에서 양궁 종목이 대한민국의 전통적 메달밭이라면 동계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이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민국의 전통적 메달밭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부터 대한민국, 중국, 미국, 캐나다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미국은 현재 경쟁 구도에서 이탈했고 세계적으로 상향 평준화가 이루어지며 유럽 국가들이 상당히 치고 올라왔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따내고 있고 총 65개의 금메달 중 26개의 금메달을 한국이 가져왔다.


3. 종목[편집]


세부 종목은 남녀 500m, 1000m, 1500m, 여자 3000m 계주, 남자 5000m 계주, 혼성 2000m 계주가 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최초로 여자 500m와 남자 1000m, 남녀 계주가 채택되었다.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 여자 1000m와 남자 500m가 추가로 채택되었고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남녀 1500m가 추가로 채택되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혼성 2000m 계주가 정식 종목으로 시행된다. 남녀 3000m는 올림픽에서는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4. 출전권[편집]


올림픽에는 500m와 1000m는 32명, 1500m는 36명의 선수가 출전 가능하고 계주는 8개 팀이 출전할 수 있는데 각 종목의 출전권은 올림픽 개최 이전에 진행되는 쇼트트랙 월드컵 결과에 따라 배분된다. 출전권의 배분 기준은 세계 랭킹에 오른 선수들의 국적에 따라 배분된다. 계주에 참가하지 않는 국가는 남녀당 최대 3장의 출전권을 부여 받으며 계주에 출전하는 국가는 최대 5장(개인전 3장 + 계주 멤버 2장)의 출전권을 받을 수 있다. 개최국은 10장의 출전권을 자동으로 부여받는다.


5. 역대 금메달리스트[편집]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역대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동계올림픽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6. 역대 대회[편집]



6.1.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6.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7.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8. 2014 소치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4 소치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9. 2018 평창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8 평창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0.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역대 동계올림픽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6161153
2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216937
3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0131437
4파일:미국 국기.svg 미국47920
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6615
6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3339
7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115
8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2024
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023
10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012
11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0213
12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ROC0112
13파일:영국 국기.svg 영국0011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0011
파일:오륜기.svg EUN0011
파일:오륜기.svg OAR0011
16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011
총합656565195


8. 기록[편집]



8.1. 올림픽 신기록[편집]


올림픽 신기록(OR)은 세계신기록(WR)과 별개로 집계된다.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올림픽 신기록
종목선수국가기록경신일경신지비고
남자 500m우다징파일:중국 국기.svg39.5842018년 2월 22일평창
남자 1000m황대헌파일:대한민국 국기.svg1:23.0422022년 2월 5일베이징[2]
남자 1500m리우 샤오린 샨도르파일:헝가리 국기.svg2:09.2132022년 2월 9일베이징
남자 5000m 계주리우 샤오린 샨도르
리우 샤오앙
빅토르 크노치
처버 부리안
파일:헝가리 국기.svg6:31.9712018년 2월 22일평창
여자 500m쉬자너 스휠팅파일:네덜란드 국기.svg42.3792022년 2월 5일베이징
여자 1000m쉬자너 스휠팅파일:네덜란드 국기.svg1:26:5142022년 2월 11일베이징
여자 1500m최민정파일:대한민국 국기.svg2:16.8312022년 2월 16일베이징[3]
여자 3000m 계주쉬자너 스휠팅
야라 판케르코프
셀마 파우츠마
잔드라 벨제부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4:03.4092022년 2월 13일베이징
혼성 2000m 계주쉬자너 스휠팅
셀마 파우츠마
싱키 크네흐트
옌스 판트바우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2:36.4372022년 2월 5일베이징


8.2. 올림픽 메달 최다보유자[4][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동계올림픽 메달 최다보유자
선수국가총합
아리안나 폰타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4511
안현수/빅토르 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5]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6]
6028
아폴로 안톤 오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248
왕멍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4116
샤를 아믈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116
쉬자너 스휠팅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3126
전이경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015
최민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205
마크 가뇽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025
양양(A)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215
우다징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215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215
박승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35
이호석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405
양양(S)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0415
리자쥔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0235


8.3. 올림픽 다관왕[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0:49:31에 나무위키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메달 5개 이상만 기재[2] 이 경기로 황대헌은 남자 1000m OR, WR을 모두 보유중인 선수가 되었다.[3] 이 경기로 최민정은 여자 1500m OR, WR을 모두 보유중인 선수가 되었다.[4] 메달 5개 이상만 기재[5] 1985 ~ 2011[6] 2011 ~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