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산 베어스/2023년/7월

덤프버전 :

||



두산 베어스 2023년 7월 경기 일정
←6월1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2:1
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4:2
🚌 울산
34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5:3
5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7:4
6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5:1
7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0:10
8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2:5
9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2:9
🚌 포항🏠 잠실
1011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우천
취소
12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4:1
13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우천
취소
올스타 브레이크
🚌 문학🚌 사직
올스타 브레이크21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5:2
22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우천
취소
23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우천
취소
🚌 사직🚌 광주
2425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5:8
26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7:2
27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9:1
28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9:2
29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7:6
30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10:0
🏠 잠실
→8월
안내
🏠
홈경기
🚌
원정
경기

승리

패배

무승부
경기
취소

경기
취소
경기
없음

2023년도 팀 캐치프레이즈
파일:2023 두산 캐치프레이즈.png
TEAM DOOSAN! 2023
현재 성적순위승차승률
3441418.50.518
7월 성적1105+60.688
시리즈 전적우세 5 / 동률 0 / 열세 2
시리즈 스윕승리 2 / 패배 1
최다 연승11
최다 연패5
누적 취소 경기12

1. 6월 30일 ~ 7월 2일 VS 롯데 자이언츠 (울산) 위닝 시리즈
1.1. 7월 1일(토)
1.2. 7월 2일(일)
2. 7월 4일 ~ 7월 6일 VS 삼성 라이온즈 (포항) 스윕
2.1. 7월 4일(화)
2.2. 7월 5일(수)
2.3. 7월 6일(목)
3. 7월 7일 ~ 7월 9일 VS 키움 히어로즈 (잠실) 스윕
3.1. 7월 7일(금)
3.2. 7월 8일(토)
3.3. 7월 9일(일)
4. 7월 11일 ~ 7월 13일 VS SSG 랜더스 (문학) 1승
4.1. 7월 11일(화, 우천취소)
4.2. 7월 12일(수)
4.3. 7월 13일(목, 우천취소)
5. 전반기 총평
6. 7월 14일 ~ 7월 20일 올스타 브레이크 (사직)
7. 7월 21일 ~ 7월 23일 VS KIA 타이거즈 (광주) 1승
7.1. 7월 21일(금)
7.2. 7월 22일(토, 우천취소)
7.3. 7월 23일(일, 우천취소)
8. 7월 25일 ~ 7월 27일 VS 롯데 자이언츠 (잠실) 루징 시리즈
8.1. 7월 25일(화)
8.2. 7월 26일(수)
8.3. 7월 27일(목)
9. 7월 28일 ~ 7월 30일 VS LG 트윈스 (잠실) 피스윕
9.1. 7월 28일(금)
9.2. 7월 29일(토)
9.3. 7월 30일(일)
10. 7월 총평
11. 관련 문서



두산 베어스의 7월 일정은 울산[1]-포항[2]-잠실-문학-올스타 브레이크-광주-잠실-잠실 순으로 진행된다.


1. 6월 30일 ~ 7월 2일 VS 롯데 자이언츠 (울산) 위닝 시리즈[편집]


對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선발결과
7차전반즈2:1
8차전스트레일리4:2
시즌 전적
8전 4승 0무 4패
잔여 경기 : 8경기
중계
파일:KBS N SPORTS 로고.svg

선발 로테이션
구분6월 30일7월 1일7월 2일
예상브랜든곽빈알칸타라
변경변경 없음변경 없음변경 없음

6월 30일 경기는 6월 문서 참조.
7월 1일부터 8월 26일까지 토요일 경기는 18시에 진행되며, 일요일 경기는 동일하게 17시에 진행된다.

1.1. 7월 1일(토)[편집]


7월 1일, 18:01 ~ 21:04 (3시간 3분), 울산 문수 야구장 10,013명
선발123456789RHEB
두산곽빈1000000012702
롯데반즈0000000011605
캐스터: 이호근, 해설: 류지현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양의지(1회 2사 1루서 우익수 2루타)
홈런강승호4호(9회1점 한현희)
2루타양의지(1회)
도루정수빈(8회)
병살타전준우(2회) 김재환(9회)
폭투정철원(9회)
심판우효동 정종수 박기택 배병두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곽빈720624104192052002.25
김명신120273071002003.47
홍건희031641743000112.61
정철원42121420002004.29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1일 토요일 롯데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곽빈의 6이닝 무실점 호투 + 강승호의 결승포로 팀의 연패를 끊어냈다.

1.2. 7월 2일(일)[편집]


7월 2일, 17:00 ~ 20:11 (3시간 11분), 울산 문수 야구장 7,588명
선발123456789RHEB
두산알칸타라0000200204708
롯데스트레일리0000110002700
캐스터: 이호근, 해설: 장성호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양석환(8회 무사 1루서 좌중월 홈런)
홈런양석환12호(8회2점 구승민)
2루타김재환(1회)
도루전준우(5회)
도루자이유찬(3회) 윤동희(4회)
주루사강승호(2회)
병살타윤동희(1회)
심판박기택 배병두 정종수 김성철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알칸타라830623101227005221.97
김명신2201⅔51950001003.32
박치국3022620001003.16
정철원4222720001004.21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양찬열
말소김대한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2일 일요일 롯데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알칸타라가 6이닝 2실점으로 호투해줬고, 불펜에서도 김명신과 정철원이 좋은 활약을 해줬으며 타선도 알칸타라의 이닝 이팅과 불펜의 호투에 보답하듯 8회초 양석환이 역전 투런 홈런을 때려내면서 4:2로 승리했다. 덕분에 7월의 시작을 위닝 시리즈로 기분 좋게 끊게 되었다.

2. 7월 4일 ~ 7월 6일 VS 삼성 라이온즈 (포항) 스윕[편집]


對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선발결과
6차전수아레즈5:3
7차전황동재7:4
8차전최채흥5:1
시즌 전적
8전 5승 0무 3패
잔여 경기 : 8경기
중계
파일:SBS Sports 로고.svg

선발 로테이션
구분7월 4일7월 5일7월 6일
예상최원준김동주브랜든
변경변경 없음변경 없음변경 없음

2.1. 7월 4일(화)[편집]


7월 4일, 18:30 ~ 22:54 (4시간 24분), 포항 야구장 4,182명
선발12345678910RHEB
두산최원준000000300251309
삼성수아레즈30000000003715
캐스터: 정우영, 해설: 김태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김재환(10회 무사 1루서 중월 홈런)
홈런강민호11호(1회2점 최원준) 김재환7호(10회2점 오승환)
2루타김현준2(1 10회) 이재현(1회) 허경민(4회) 김동진(4회) 로하스(5회) 양의지(7회) 홍성호(7회)
실책강한울(10회)
주루사강승호(10회)
견제사김동진(6회)
병살타강승호(7회)
폭투수아레즈(2회) 이승현(7회) 박치국(8회) 홍건희(10회)
심판윤상원 김익수 이영재 김정국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최원준1703⅔1862145123335.19
최승용26021020000005.69
이영하0201⅔52351002007.36
김명신220141730012003.23
박치국3022820001003.09
정철원5221⅓52140010004.06
홍건희0317152841013002.53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4일 화요일 삼성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연장 10회까지 가는 혈전 끝에 김재환의 투런 홈런으로 경기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로써 7월 전승 행진을 이어감과 함께 승률 5할에 복귀하였다. 그래도 잔루 16개는 좀...[3]

같은 날 NC는 키움에게 패배하면서 롯데와 공동 3위를 이루었고, 오늘 두산의 승리로 인해 공동 3위인 두 팀과의 승차는 0.5경기로 줄어들었다. 만약 내일 NC와 롯데가 모두 패배함과 동시에 두산이 또 한 번 승리를 거둔다면 단독 3위를 차지할 수 있게 된다.

2.2. 7월 5일(수)[편집]


7월 5일, 18:29 ~ 22:04 (3시간 35분), 포항 야구장 5,902명
선발123456789RHEB
두산김동주00033010071109
삼성황동재00200002041013
캐스터: 정우영, 해설: 김태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정수빈(4회 2사 만루서 밀어내기 4구)
3루타김성윤(3회) 김현준(3회)
2루타강승호2(3 4회) 양석환(4회) 류지혁(8회) 이성규(8회)
실책노건우(7회)
주루사강승호(3회)
병살타양의지(4회) 김재환(8회) 장승현(9회) 피렐라(9회)
심판이영재 김정국 김익수 장준영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김동주2404⅓1972185014223.31
이영하120152430021006.75
김명신2201⅓52551002003.12
박정수100161563000225.11
김강률00013100000018.00
홍건희0318131131001002.45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김동주
말소박신지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5일 수요일 삼성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강승호의 4안타 4타점 맹활약과 김명신의 4경기 연속 무실점 호투로[4] 7월 4연승을 달리게 되었다.

또한 롯데와 NC가 모두 패하면서 단독 3위로 올라섰으며, KBO 통산 두 번째로 팀 2,700승을 달성하였다.

2.3. 7월 6일(목)[편집]


7월 6일, 18:28 ~ 21:19 (2시간 51분), 포항 야구장 6,923명
선발123456789RHEB
두산브랜든00300010151202
삼성최채흥0000010001512
캐스터: 정우영, 해설: 김태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양석환(3회 1사 1,3루서 좌전 안타)
홈런허경민3호(9회1점 오승환)
2루타강승호(7회)
실책강민호(4회)
도루김성윤(2회) 허경민(4회) 조수행(7회)
심판김익수 김정국 장준영 윤상원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브랜든110727982540211110.90
정철원52213930001003.96
박치국302141541000003.0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6일 목요일 삼성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포항은 삼성의 약속의 땅이 아닌 삼성 출신 이승엽 감독의 약속의 땅이었다. 브랜든이 7이닝 1실점 11K 완벽한 피칭과 타선의 충분한 득점 지원을 통해 KBO 복귀 첫 승을 거두었으며, 포항 원정 스윕을 달성하였다.

이로써 두산은 5연승을 달리고 잠실로 복귀하게 되었다. 여기에 KBO 통산 세 번째로 팀 통산 70,000루타를 달성한 것은 덤.

또한 단독 3위를 유지했다. 하지만 NC와 롯데가 동시에 승리를 거두면서 0.5경기의 승차가 유지되어 안심하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 홈에서 펼쳐지는 키움전과 전반기 마지막 SSG전을 어떻게 마무리 하느냐가 중요할 것이다.

3. 7월 7일 ~ 7월 9일 VS 키움 히어로즈 (잠실) 스윕[편집]


對 키움 히어로즈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선발결과
9차전맥키니0:10
10차전최원태2:5
11차전정찬헌2:9
시즌 전적
11전 8승 0무 3패
잔여 경기 : 5경기
중계
파일:KBS N SPORTS 로고.svg

선발 로테이션
구분7월 7일7월 8일7월 9일
예상곽빈알칸타라최원준
변경변경 없음변경 없음변경 없음

3.1. 7월 7일(금)[편집]


7월 7일, 18:30 ~ 21:59 (3시간 29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4,123명
선발123456789RHEB
키움맥키니0000000000402
두산곽빈00101026-101605
캐스터: 이동근, 해설: 장성호


경기 라인업
결승타로하스(3회 2사 1,2루서 좌중간 2루타)
2루타양의지(1회) 장승현(2회) 로하스2(3 8회) 김웅빈(4회) 박준영(8회)
도루양의지(7회) 이유찬(8회)
도루자김혜성(6회)
견제사정수빈(3회)
폭투맥키니(5회)
심판이계성 문승훈 이용혁 이민호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곽빈820519104162025002.08
김명신220131431000003.05
박치국302131130001002.91
김강률0001418410010013.50
최승용260131330001005.60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박준영
말소전민재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7일 금요일 키움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그간 폭발하지 않았던 타선이 간만에 불을 뿜었고, 선발투수 곽빈도 투구수가 많긴 했지만 5이닝 무실점으로 간신히 막아내며 8승째를 달성했다. 경기 후반 터져준 타선 덕분에 필승조를 아낄수 있던 것도 고무적인 부분으로 작용했고, 팀 또한 6연승을 기록하며 단독 3위 자리를 지키는데 성공했다.

3.2. 7월 8일(토)[편집]


7월 8일, 18:01 ~ 21:06 (3시간 5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9,676명
선발123456789RHEB
키움최원태0010010002700
두산알칸타라00050000-5605
캐스터: 이동근, 해설: 장성호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강승호(4회 2사 만루서 좌월 홈런)
홈런강승호5호(4회4점 최원태)
2루타송성문(3회) 이정후(6회) 김웅빈(6회)
도루장승현(6회) 이유찬(7회)
심판이용혁 이민호 문승훈 최영주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알칸타라930624112236006222.03
김명신220131230001002.98
정철원522141341000003.86
홍건희0319131430002002.38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8일 토요일 키움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알칸타라의 6이닝 2실점 QS와 강승호의 결승 만루홈런[5]으로 6월에 팬들에게 보여준 실망스러운 모습을 제대로 반성한 듯 파죽의 7연승을 달리게 되었다. 같은날 롯데와 NC가 동반 패배하면서 4위와 2경기 차로 벌려졌다.[6]

3.3. 7월 9일(일)[편집]


7월 9일, 17:00 ~ 20:15 (3시간 15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1,472명
선발123456789RHEB
키움정찬헌00002000021013
두산최원준11040300-91404
캐스터: 이동근, 해설: 나지완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로하스(1회 무사 1,3루서 2루수 땅볼)
홈런양석환13호(2회1점 정찬헌) 송성문2호(5회1점 최원준) 박준영1호(6회1점 하영민)
3루타박준영(4회)
2루타김혜성(7회)
실책김혜성(4회)
도루정수빈(4회)
도루자박준영(2회)
심판문승훈 최영주 이민호 이계성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최원준27052390216124225.08
이영하120272271001005.79
박정수100151552000004.91
최승용260151541011005.51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안승한
말소알칸타라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9일 일요일 키움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렛두로 시리즈 이벤트[7]에 맞춰 과거 전성기 두산의 강력함이 보였던 한 주였다.

팀 타선이 두상바 정찬헌을 이번에도 거하게 공략하며 손쉽게 승리했다. 박세혁의 보상선수로 이적한 박준영은 사이클링 히트에서 2루타 하나가 빠진 4출루 경기와 함께, 응원가를 잠시 되찾은 정수빈과 베테랑 김재호가 방망이에서 불을 뿜었고, 대수비로 들어온 이유찬이 좋은 수비를 보여주는 등 좋은 경기력으로 8연승과 함께 2연속 시리즈 스윕을 가져갔다. 이전까지 등판만 하면 저조한 득점지원으로 눈물을 삼켜야 했던 최원준은 4회까지 6점이라는 득점지원을 받으며 5회에 흔들렸지만 잘 막아내 드디어 시즌 2승째를 챙기게 되었다.[8]

오늘 경기로 7월 전승 및 1,851일만의 8연승, 12년만의 잠실에서의 키움을 스윕하며 문학에서의 전반기 마지막 시리즈를 치루러 출발한다.

현재 강력한 선발진과 반등한 타선을 생각하면 2위 진격도 노려볼만 하다.

4. 7월 11일 ~ 7월 13일 VS SSG 랜더스 (문학) 1승[편집]


對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선발결과
8차전김광현4:1
시즌 전적
8전 2승 0무 6패
잔여 경기 : 8경기
중계
파일:SPOTV 로고.svg

선발 로테이션
구분7월 12일
예상브랜든
변경변경 없음

이번 3연전에는 두산 상대로만 5할에 육박하는 타율을 기록 중인 에레디아가 미국 시민권 획득 심사로 인해 출국하여 나오지 않는다. 현재 SSG전 상대 1승 6패로 압살 중이며[9] 승차가 많이 나지 않는 4위 롯데, 5위 NC로부터 안정적으로 3위 방어를 하기 위해서는 8연승의 기세를 이어 전반기 마지막을 좋게 마무리해야 할 것이다. 최근 SSG는 선발투수 집단 부진 문제로 문학 5연패로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 경기에서의 결과에 따라 2위 추격 및 진입 가능성을 높일수도 낮출수도 있다.

하지만 이 시리즈의 가장 큰 변수는 다름 아닌 . 안 그래도 장마철이라 일기예보 상 일주일 내내 비 소식이 있기 때문에 운이 없으면 3연전 경기가 우천취소 될 가능성이 높다. 어떻게 보면 일 년 중 가장 전력이 약해진 상황의 SSG를 9월 이후 전력이 회복된 상태에서 만나면 현재의 분위기가 끊기기도 할 것이고 이후에 이긴다는 보장이 없다.[10] 결국 경기가 진행이 되느냐 안되느냐가 중요해질 것이다.

4.1. 7월 11일(화, 우천취소)[편집]


7월 11일, 18:30, 인천 SSG 랜더스필드
선발123456789RHEB
두산김동주경기전 우천취소
SSG이건욱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이병헌
말소최원준 7월 10일

비가 오는 관계로 우천취소되었다. 이 경기는 9월 10일 이후 재편성 예정이다.

4.2. 7월 12일(수)[편집]


7월 12일, 18:29 ~ 21:52 (3시간 23분), 인천 SSG 랜더스필드 19,699명
선발123456789RHEB
두산브랜든00000021141004
SSG김광현1000000001832
캐스터: 최두영, 해설: 이성우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박준영(7회 1사 2,3루서 좌익수 2루타)
홈런추신수7호(1회1점 브랜든) 양의지8호(8회1점 노경은)
2루타박준영(7회)
실책박성한(3회) 최주환(9회) 김성현(9회)
도루정수빈(7회) 조수행(7회)
병살타양석환(2회) 김재호(3회) 김성현(4회)
심판전일수 차정구 김준희 권영철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브랜든21062399214125111.04
김명신220141631000002.91
정철원522131730000003.76
홍건희0320161663000002.31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12일 수요일 SSG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전날 SSG 2군에서 얼차려 및 폭행사건이 보도되면서 김원형 SSG감독이 사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경기 내용>
추신수에게 경기시작과 동시에 솔로 홈런을 맞았지만 브랜든 와델이 이후 실점없이 6이닝을 틀어막았다. 두산타선도 김광현의 호투에 막혀있었지만 7회초 박준영이 1사 2,3루에서 역전 2루타를 날리며 경기를 뒤집었다. 이어 8회 양의지의 솔로포, 9회초 SSG의 실책으로 박준영이 2루로 진출하였고 이은 정수빈의 타석에 최주환이 실책을 하며 점수를 4:1까지 벌리며 승리했다.

<경기 리뷰>
정수빈이 5타수 4안타로 날라다니는 가운데 양의지의 솔로포와 SSG의 실책, 박준영의 활약과 함께 1853일만에 9연승을 달성했다. 또한 베어스 감독 역사상 이승엽 감독은 최초로 부임 첫 해 9연승을 달성하게 되었다. 이날 LG가 한화에게 2:1로 패배하면서 1위와 6.5게임차까지 좁혀졌다.

4.3. 7월 13일(목, 우천취소)[편집]


7월 13일, 18:30, 인천 SSG 랜더스필드
선발123456789RHEB
두산곽빈경기전 우천취소
SSG엘리아스

비가 오는 관계로 결국 우천취소되었다. 이 경기는 9월 10일 이후 재편성 예정이며 두산은 9연승으로 전반기를 전승으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5. 전반기 총평[편집]


올해 최고의 시기를 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좋았다. 6월의 평가가 무색하게 7월이 되자 아예 다른 팀 수준으로 환골탈태 했다.[11] 한국시리즈 진출도 가능해보일 정도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우선 선발진의 경우 알칸타라-브랜든-곽빈-최원준-김동주로 이어지는 강력한 선발진을 구축했다. 알칸타라는 전반기 내내 두산의 1선발다운 피칭을 했고, 브랜든은 딜런을 대체하다 못해 에이스다운 피칭을 했다. 곽빈은 부상 복귀 이후에도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최원준은 6월 말에 어느정도 반등에 성공하여 지금까지 페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김동주 역시 1군 콜업 이후 충분히 선발로 가능한 피칭을 보여주었다.

불펜진 역시 7월이 되자 안정화되어 모두 제 컨디션을 되찾았다. 정철원과 김명신, 박치국은 모두 두산의 필승조답게 연승기간 동안 무실점 행진을 이어오고 있고, 홍건희 역시 WHIP가 조금 높긴 하지만 본인 커리어 중 가장 많은 20세이브를 달성하며 뒷문을 단단하게 지켜주고 있다.

타선의 경우 7월이 되자 로하스와 정수빈이 살아나고 있고, 박세혁의 보상선수로 온 박준영이 맹타를 휘두르고 있으며, 강승호가 만루홈런을 때려내는 등 6월 달에 행보를 제대로 반성한 모습을 보였다. 양의지와 김재호는 두산의 타선에서 많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고, 양석환 역시 수비가 안정이 되면서 중요한 순간에 결승 홈런을 날리는 등 두산의 거포로서 활약하고 있으며,[12] 장승현도 타격감이 많이 올라오면서 양의지가 부상으로 잠시 지명타자로만 출전했을 때도 좋은 타격과 수비능력을 보여주면서 양의지의 뒤를 든든하게 받쳐주고 있다.

여담으로 두산은 한 경기에서 10점 이상을 내면 다음 날 필패한다는 공식(…)이 있는데 그것을 깼다는 것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다.

문제는 허경민과 김재환의 부진. 특히 김재환의 부진이 너무나도 뼈아픈데, 전반기가 끝나감에도 고작 .240, 7홈런에 29타점이라는 주전으로 올라 선 이후 먹튀라고 해도 손색없을 정도로 가장 초라한 성적만 남기고 있다는 것. 이승엽 감독도 김재환 없는 타선은 무의미하다고 했으므로 후반기 김재환의 부활이 절실하다.

6. 7월 14일 ~ 7월 20일 올스타 브레이크 (사직)[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7월에 열릴 2023 KBO 올스타전에 대한 내용은 KBO 올스타전/2023년 문서
KBO 올스타전/2023년번 문단을
KBO 올스타전/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7월 21일 ~ 7월 23일 VS KIA 타이거즈 (광주) 1승[편집]


對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선발결과
10차전산체스5:2
시즌 전적
10전 7승 0무 3패
잔여 경기 : 6경기
중계
파일:MBC SPORTS+ 로고.svg

선발 로테이션
구분7월 21일
예상알칸타라
변경변경 없음

7.1. 7월 21일(금)[편집]


7월 21일, 18:30 ~ 21:30 (3시간),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9,779명
선발123456789RHEB
두산알칸타라0000113005513
KIA산체스0100000102902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박재홍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허경민(6회 2사서 좌월 홈런)
홈런로하스11호(5회1점 산체스) 허경민4호(6회1점 산체스) 소크라테스12호(8회1점 김명신)
3루타박준영(7회)
2루타김재환(1회) 소크라테스(2회) 김도영(3회) 양석환(7회)
실책이유찬(9회)
도루자김태근(9회)
병살타이우성(6회)
폭투알칸타라(5회) 김명신(7회)
심판김준희 권영철 차정구 김병주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알칸타라103062593226022112.00
박치국30241442001002.86
김명신2201⅓51651101113.02
홍건희0321141540003002.25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알칸타라 7월 20일, 김태근 7월 21일
말소이병헌 7월 16일, 양찬열 7월 18일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21일 금요일 KIA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7월 13일 문학 SSG전 경기가 우천취소되어 이 경기에서 10연승에 다시 도전한다.

<경기 내용>
2회말 소크라테스에게 2루타를 맞고 이우성의 안타로 선취점을 내주었지만 알칸타라가 추가 실점을 막았다. 이후 산체스에게 고전하는 듯 했지만 5회초 로하스의 솔로 홈런과 6회초 허경민의 역전 솔로 홈런으로 경기의 흐름을 가져오는데 성공했다. 이후 7회초 양석환의 2루타, 로하스의 사구와 박계범의 몸에 맞는 볼로 2사 주자 만루의 기회를 만들었고 박준영이 싹슬이 3루타를 치며 5:1로 달아나는데 성공했다. 이후 7회말 알칸타라가 내려가고 박치국이 올라왔지만 1사 1, 3루를 내주며 흔들리자 김명신이 투입되었다. 7회 김명신이 무실점으로 막았지만 8회말 소크라테스에게 솔로 홈런을 맞았다. 하지만 이후 추가실점없이 이닝을 마무리하고 9회 홍건희가 마무리하며 10연승에 성공했다.

<경기 리뷰>
알칸타라의 호투와 허경민의 역전 솔로포, 7회초 2사 만루 박준영의 싹슬이 3루타로 5:2로 승리하며 2018년 6월 이후 두산 베어스 역대 3번째 10연승을 달성했다. 내일 경기를 승리하면 2008년 제리 로이스터 감독의 부임 첫 해 11연승과 타이를 이루는 동시에 국내 감독 중 부임 첫 해 최다 연승을 기록하게 된다. 잠실에선 SSG가 최주환의 홈런을 앞세워 LG를 잡아냈고 대전에서는 박건우의 홈런과 페디에 힘입은 NC가 승리하며 2,4위와의 승차는 변동되지 않고 1위 LG와 6.5게임차에서 5.5게임차로 줄어들었다.

7.2. 7월 22일(토, 우천취소)[편집]


7월 22일, 18:00,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선발123456789RHEB
두산곽빈경기전 우천취소
KIA파노니

비가 오는 관계로 우천취소되었다. 이 경기는 9월 10일 이후 재편성 예정이다.

7.3. 7월 23일(일, 우천취소)[편집]


7월 23일, 18:00,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선발123456789RHEB
두산곽빈경기전 우천취소
KIA파노니

비가 오는 관계로 우천취소되었다. 이 경기는 9월 10일 이후 재편성 예정이다.

8. 7월 25일 ~ 7월 27일 VS 롯데 자이언츠 (잠실) 루징 시리즈[편집]


對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선발결과
9차전나균안5:8
10차전윌커슨7:2
11차전반즈9:1
시즌 전적
11전 5승 0무 6패
잔여 경기 : 5경기
중계
파일:SBS Sports 로고.svg[13]

선발 로테이션
구분7월 25일7월 26일7월 27일
예상브랜든곽빈최원준
변경변경 없음변경 없음변경 없음

8.1. 7월 25일(화)[편집]


7월 25일, 18:30 ~ 22:10 (3시간 32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2,700명
선발123456789RHEB
롯데나균안00000020351133
두산브랜든00402110-8915
캐스터: 이준혁, 해설: 김태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허경민(3회 1사 1루서 좌중간 2루타)
홈런김재환8호(3회2점 나균안) 양석환14호(7회1점 김진욱)
3루타정수빈(1회)
2루타안치홍(2회) 허경민(3회) 로하스(3회) 구드럼(9회) 전준우(9회)
실책박준영(1회) 신윤후2(5회) 진승현(6회)
도루정수빈(6회)
병살타양의지(1회)
포일양의지(7회)
심판이기중 김태완 윤태수 최수원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브랜든31052395215029000.87
이영하1201⅓73262012215.87
박치국3022420000002.80
최승용2601⅓72573000335.82
박정수10001411000004.91
정철원5232610000003.7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25일 화요일 롯데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정수빈, 허경민, 김재환, 로하스, 양석환이 골고루 터져준 것은 긍정적이었지만 추격조인 이영하, 최승용, 박정수가 견디질 못하고 흔들려 9회에만 3점을 내주며 끝끝내 필승조 정철원이 등판해야했다는 점에서 추격조의 불안을 보여준 경기였다.

오늘 경기를 승리로 가져가면서 베어스 최초 11연승과 함께, 이승엽 감독은 국내 감독 데뷔 시즌 최다 연승 신기록을, 제리 로이스터 감독의 감독 데뷔 시즌 최다 연승 기록 타이를 이루게 되었다.


8.2. 7월 26일(수)[편집]


7월 26일, 18:30 ~ 21:47 (3시간 17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3,620명
선발123456789RHEB
롯데윌커슨0400012007807
두산곽빈0000200002612
캐스터: 정우영, 해설: 김태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노진혁(2회 1사 만루서 우익수 2루타)
2루타박승욱(2회) 노진혁(2회) 김민석(2회) 양의지(4회) 이유찬(5회)
실책이유찬(7회)
도루전준우(3회)
도루자노진혁(7회)
병살타김재환(1회) 강승호(2회) 구드럼(8회)
심판윤태수 최수원 김태완 송수근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곽빈830523100194044442.44
김강률000314320001114.54
김명신22031520010002.98
박정수10051731021204.78
최승용2602⅓72671001005.61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26일 수요일 롯데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이날 경기에 승리하면 KBO리그 감독 부임 첫 해 최다 연승 신기록을 달성하게 된다.

<경기 내용>

<경기 리뷰>
어제 경기를 통해 우려했던 바가 그대로 터진 경기였다. 타선의 장타 부재 및 침묵도 한 몫 했지만 무엇보다도 필승조 이외에 뒷문을 확실하게 단속할 선수가 없어서 6회 시작에 4:2로 뒤져있는 상황에서 추격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수비에서는 이유찬이 평범한 땅볼을 이사만루 상황 그것도 승부처인 경기 후반부에 범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7월 들어서 첫번째 패배경기이며 이승엽 감독의 데뷔 첫 해 최다연승 기록도 11연승에서 막을 내렸다.

다만 필승조를 내세우지 않아서 남은 시리즈 및 주말 LG와의 3연전에 맞설 전력을 아낀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연승이 끊겼다고 아쉬워하기보다 앞으로 남은 경기를 더 잘하려고 마음을 먹는게 좋을 것이다. 11경기를 연속으로 이긴 것과 그 전에는 5할 승률에 5강 티켓을 얻기 위해 어떻게든 잇몸을 버티는 모습이었다면 지금은 전력으로 싸워서 선두를 위협할 수 있는 정도니까 한 경기 졌다고 아쉬워할 필요가 없다.

8.3. 7월 27일(목)[편집]


7월 27일, 18:30 ~ 21:46 (3시간 16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2,511명
선발123456789RHEB
롯데반즈00501201091207
두산최원준0100000001602
캐스터: 정우영, 해설: 김태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안치홍(3회 2사 만루서 우전 안타)
홈런전준우9호(3회3점 최원준)
2루타이정훈(2회) 양의지(2회) 김재호(2회) 구드럼(5회) 김민석(6회) 박승욱(8회)
도루박승욱(6회)
도루자김태근(3회) 박승욱(6회)
주루사이정훈(2회) 양석환(4회) 김민석(6회)
견제사윤동희(1회)
병살타전준우2(5 7회)
심판김태완 송수근 최수원 이기중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최원준28052297209122665.45
이영하1201⅔73652020226.48
박정수1002⅔115381031114.66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최원준
말소안승한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27일 목요일 롯데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경기 리뷰>
3회초부터 5실점을 하면서 무기력하게 끌려가면서 졌다. 타선이 2일 동안 3득점에 그치면서 연승 후유증이 있는건지 의심이 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주말 시리즈 상대인 LG는 26일 연장 12회까지 가면서 필승조를 다 쓰고 졌고, 27일 경기도 난타전이 되면서 계투진을 다 썼지만 두산은 이번 3연전 필승조를 거의 쓰지 않으면서 주말 시리즈 총력전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주말 시리즈를 최소 위닝으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타격의 부활이 절실한 상황.

9. 7월 28일 ~ 7월 30일 VS LG 트윈스 (잠실) 피스윕[편집]


對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선발결과
8차전켈리9:2
9차전이지강7:6
10차전최원태10:0
시즌 전적
10전 2승 0무 8패
잔여 경기 : 6경기
중계
파일:SPOTV2 로고.svg

선발 로테이션
구분7월 28일7월 29일7월 30일
예상알칸타라김동주브랜든
변경변경 없음변경 없음변경 없음

최근 LG는 그동안 장점이었던 타격이 타격침체로 인해 급격한 하락세를 겪고 있다. 이에 비해 두산은 최근 긴 연승을 달리며 분위기가 최고조에 달해있는 상태. 더욱이 3연전 선발대진에서도 켈리와 이지강은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데 반해 두산은 알칸타라와 김동주가 괜찮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고, 플럿코가 등판하는 날은 두산의 에이스 브랜든이 맞대결을 갖는다. 계투진 역시 엘지쪽의 체력소모가 훨씬 심한 상황. 충분히 스윕할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고, 두산한테 유리한 시리즈인 만큼, 이 시리즈에서 잘하면 1위에 거의 가까워질 수 있을 것으로 보였지만...누가 설레발 소리를 내었는가

9.1. 7월 28일(금)[편집]


7월 28일, 18:30 ~ 21:42 (3시간 12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6,987명
선발123456789RHEB
LG켈리20310001291405
두산알칸타라0100001002810
캐스터: 이승현, 해설: 이대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오스틴(1회 2사 2루서 좌월 홈런)
홈런오스틴12호(1회2점 알칸타라) 문보경4호(3회3점 알칸타라)
3루타강승호(7회)
2루타오지환2(7 9회)
실책로하스(2회)
도루신민재(2회) 오스틴(3회) 조수행(7회)
병살타박계범(2회)
폭투김강률(7회)
심판문동균 구명환 박종철 나광남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알칸타라10405⅔27103259212662.36
김강률0001⅔842610201112.00
김정우0001⅔114694021228.53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김정우
말소박정수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28일 금요일 LG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경기 내용>
5회말 현재 투타가 하나 되어 죽을 쑤고 있다

<경기 리뷰>
멸망했다. 기대를 모은 알칸타라가 예상외로 탈탈 털리며 경기가 원사이드하게 흘러가며 대패하고 말았다. 다만 정수빈과 김재환, 로하스, 그리고 박준영이 빠진 1.5군으로 플레이했기 때문에 다음에는 모른다. 그리고 4위 NC 역시 같은 날 KT에게 멸망하면서 4위와의 승차는 유지되었다.

9.2. 7월 29일(토)[편집]


7월 29일, 18:00 ~ 22:15 (4시간 15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21,126명
선발12345678910RHEB
LG이지강00004000217907
두산김동주000031020061026
캐스터: 이승현, 해설: 이대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오지환(10회 1사 3루서 좌익수 2루타)
3루타강승호(8회)
2루타문보경(9회) 김현수(10회) 오지환(10회)
실책김태근(5회) 김재호(9회)
도루신민재(3회) 박준영(6회) 강승호(6회)
도루자홍창기(1회) 문성주(7회) 허경민(8회)
주루사김재환(5회)
병살타김현수(1회) 오지환(4회)
포일양의지(5회)
폭투김동주(3회) 김명신(5회)
심판박종철 나광남 구명환 함지웅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김동주2404⅓1774112053223.38
김명신22051942012223.33
최승용260273761011005.45
정철원5231⅓71972001213.80
홍건희04211⅔72072000112.39

등록&말소 상황
상태선수
등록이형범, 양찬열
말소김정우, 홍성호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29일 토요일 LG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이번 시리즈를 결정지는 가장 중요한 경기가 될지도 모른다. 뜨겁게 달아오른 분위기에 갑자기 식은 두산과, 초상집 분위기에서 어떻게 살아난 LG. 두산은 익주 초 까지만 하더라도 11연승으로 파죽지세로 치고 올라갈 모양이었지만 남은 시리즈 2경기와 어제경기 투수는 투수 째로 무너지고 야수진은 실책과 빈타에 허덕이는 갑작스롭게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LG는 kt와의 시리즈에서 5연패를 기록하고 마지막 경기에 어렵게 이겨내며 그간 터지지 않던 타선이 연이틀 터져서 두경기를 잡았다. 거기다가 윈나우로써 최원태를 영입한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두산은 남은 두경기 LG에게 상대가 되는 모습을 보이게 남은 경기를 다 이길 필요가 있다.

<경기 내용>
이승엽 감독이 5회 VAR 항의로 인한 퇴장 악재가 끼어있었다.

1루심 나광남이 2번의 결정적인 오심으로 두산을 도와주었지만 연장 혈투 끝에 패배하고 말았다.

<경기 리뷰>
5회에 4:0으로 밀리고 있다가 조금씩 쫓아가서 8회에 기어이 4:6으로 뒤집은 저력을 보여준 것 까지는 좋았다. 하지만 9회에 불펜진의 부진과 이유찬의 포구 실책이 나와 기어이 동점이 됐고, 겨우 잡은 끝내기 찬스에서도 삼진으로 물러나면서 이유찬은 오늘도 역적 역할을 톡톡히 했다. 후반기 경기에 나올 때마다 실책성 플레이를 남발해 연패에 지분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결국 연장까지 승부가 이어지더니 결국 7:6으로 재역전패하고 말았다. 올 시즌 LG 상대로는 그냥 호구 그 자체가 따로 없다. 5년만에 상성이 뒤바뀐 모습. 구단 연승 신기록만으로는 아쉬운지 굳이 연패 기록도 갈아치울 생각인가 보다 끔찍하다 이로써 11연승 뒤 4연패라는 좋지 않은 분위기에서 내일 선발 등판하는 브랜든의 어깨가 굉장히 무거워졌다.

여담으로 이 날 박정원 구단주가 직관을 왔다. 그런데 구단주가 직관을 하러 온 경기에서 정작 선수들이 그야말로 삽을 뜨는 경기력을 보여주는 바람에 두산 팬들은 선수들이 회장님의 자금을 먹튀하고 있다는 드립을 치고 있다.

9.3. 7월 30일(일)[편집]


7월 30일, 17:00 ~ 19:54 (2시간 54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9,500명
선발123456789RHEB
LG최원태215011000101207
두산브랜든0000000000212
캐스터: 이승현, 해설: 이대형


양팀 주요기록
결승타문보경(1회 2사 1,2루서 좌익수 2루타)
2루타문보경(1회) 허도환(5회) 오스틴(6회) 김태근(6회)
실책양의지(3회)
도루문성주(1회) 강승호(5회)
도루자홍창기(2회)
병살타정주현(8회) 손호영(9회)
폭투브랜든(4회) 백승현(7회)
심판구명환 함지웅 나광남 문동균
두산 베어스 투수기록
선수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4사삼진실점자책평균자책
브랜든32042397177051872.57
이영하1202104893011226.75
이형범1003103392011004.32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7월 30일 일요일 LG전 경기 총 평가
<경기 프리뷰>
두산의 에이스 브랜든이 나선다. 원래 엘지는 플럿코가 나설 예정이었으나 감기증세로 트레이드로 엘지에 온 최원태로 선발이 변경됬다. 최원태가 요 몇년동안 두상바인것을 감안하면 선발대진에서는 확실히 유리한 경기이지만 또 어떻게 될지는 모른다. 이 경기마저 패하면 11연승 뒤 5연패란 끔찍한 흐름에 對 LG전 우세 불가가 확정된다. 그리고 이승엽 감독은 류중일 전 LG 감독이 LG팬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 지를 잘 곱씹어볼 필요가 있을것이다.[14]

<경기 내용>
선발 브랜든이 4이닝 8실점으로 무너지면서 일찌감치 경기가 폭파했다. 특히 3회에 나온 양의지의 결정적인 3루 송구 실책으로 경기는 돌이킬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말았다.[15]

최원태가 키움에 있을 땐 만루홈런 등으로 잘 공략했던 타선은 이날 무기력함의 끝판왕을 보여줬다. 5회 2사까지 최원태에 퍼펙트로 끌려갔으며 경기 내내 단 2안타만 치면서 도저히 이길 수 없는 흐름이었다.

<경기 리뷰>
전날 이유찬의 난과 함께 당한 충격적인 패배의 여파인 듯 전체적으로 심각하게 침체된 분위기였으며 이 팀이 어떻게 11연승이나 했을까 싶을 정도로 먼지나게 털리면서 만회점 조차 뽑지 못한채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특히 선수단이 태업하나싶은 모습까지도 여럿 보여주면서 현장과 집관 할 거 없이 팬들의 여론을 싸늘하게 만들었다.[16] 상대팀에게 스윕당할 위기에서도 독기있는 모습 하나 없이 상대팀과 실실 대면서 대화하고, 실책하면서 허허 웃는 모습이나 보이니 응원이 제대로 나올리가...

이날 스윕패로 LG와의 전적도 2승 8패로 이제 우세불가가 되었으며, 5년전과는 아주 다르게 LG의 훌륭한 곰탕이 되어주는 등 아예 보약 같은 존재로 전락했다. 이렇게 11연승으로 기분좋게 시작했던 7월은 결과적으로는 11승 5패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연승 뒤의 연패 후유증인지 이후 5연패로 공수가 철저히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며 매우 비참하게 마감해버렸다. 4위 NC 역시 kt에게 스윕패를 당하면서 3위 방어에는 성공했지만, 이제 4위와의 순위 격차는 1게임 밖에 남지 않았다.

LG, SSG전에서 도합 4승 14패에 승패마진 -10, 잠실 홈경기 8전 8패[17]로 매우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순위 싸움에서 치명적인 마이너스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 KIA에 2승 1무 16패의 2009년의 LG, NC에 1승 15패의 2016년의 롯데, 두산에 각각 3승 13패, 1승 15패였던 2018년의 롯데와 LG, LG에 3승 13패의 2019년의 kt, 두산에 3승 13패의 2019년 삼성, 2년 연속 두산에 3승 13패의 2019~2020년의 KIA[18], kt에 2승 2무 12패의 2021년의 SSG는 특정팀 상대 압살이 순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례다.

10. 7월 총평[편집]


용두사미 한 단어로 표현가능한 7월이었다.

7월 초까지만 해도 팀 타율 3할, 팀 방어율 2위의 활약을 펼쳤고, 11연승이라는 구단 최고 연승 신기록을 세우며 최고의 한 달을 보낼 것만 같았지만, 많은 우천 취소의 영향인지 마지막 주에는 마치 신기루마냥 실력이 사라지며 완전히 망했다. 11연승 기간동안 공수에서 좋은 모습을, 특히 투수진이 크게 활약하면서 2위 이상의 도약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7월 마지막 주 홈 6연전에서 5연패를, 특히 LG에게 피스윕을 당해버리면서[19] 앞선 11연승이 아무 의미가 없어져버리게 되었다. 마지막 주 동안 강력했던 선발진이 모두 붕괴하였고 이로 인해 약점이라 지적받았던 추격조의 불안함과 타선의 너무나도 낮은 저점이 여실히 드러나며 왜 이 팀이 작년에 9위를 하게 되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

팀의 중심이 되어주어야 하는 양의지는 연패 기간동안 공수에서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유찬은 태업설까지 나올 정도의 끔찍한 수비와 타격을 보여주며 올해 올스타전에 어떻게 나간 것인지 의문부호만 남기게 하는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그나마 5연패 기간 동안 정수빈이 제 몫을 해줬고, 박준영이라는 알짜배기 거포 내야수와 김태근이라는 새로운 외야 자원의 발견이 눈에 띈다. 하지만 박준영은 연패 기간동안 타격 능력이 급락하면서 아름다운 3주로 마무리될 수도 있는 상황.

이대로 2003년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LG의 전철을 밟을 지, 아닐지의 기로에 서있다. 무엇보다 기존 전력이 계속된 부상과 부진에 시달리는 중이라 후반기 버티기가 가능할 지 의문이다.

그래도 표면적으로는 11승 5패로 나름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은 맞으니 어떻게든 다음주 연패를 끊어내고 다시금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력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향후 상위권으로 올라가느냐, 작년처럼 하위권으로 처지냐를 판별하게 될 것이다. 사실 시즌 전부터 현실적인 목표가 포스트시즌 진출이었던 만큼 앞으로 현재 페이스를 조금 더 끌어올리며 유지해야만 포스트시즌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11.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8:52:43에 나무위키 두산 베어스/2023년/7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말 3연전 중 2차전부터 7월 일정이자 부산이 아닌 울산에서 3경기가 진행된다.[2] 대구가 아닌 포항에서 3경기가 진행된다.[3] 사실 6월 말에 보여줬던 성적에 비교하면 훨씬 나아진 기록인데, 저번 주 5경기 동안 득점권 상황 타율이 8푼 3리로 1할이 채 안 되었다.[4] 특히 이번 4연승 기간 동안 멀티 이닝을 세 번이나 소화해주며 연승에 큰 기여를 하였다.[5] 올시즌 팀 첫 만루홈런이다.[6] 반대로 2위인 SSG와는 6경기차가 유지됐다. 사실 6경기차가 그렇게 적은 차이도 아니라물론 이 때 와는 다르다 왠만하면 3위 굳히기를 바라보고 있는 중이다.[7] 여담이지만 이 렛두로 시리즈가 3연전 내내 큰 호평을 받아 구단 측에서는 후반기에 다시 한 번 후속 렛두로 시리즈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8] 공교롭게도 이번 시즌 기록한 2승 모두 키움을 상대로 기록했다.[9] 다만 SSG와 경기를 할때 두산은 잔루베어스 모드였으니 다음에 만날때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10] 물론, 이미 7월이 시작되고 지금까지 전승을 이어왔으며 3연전 모두 우천취소가 되면 7월 전반기를 전승으로 끝내는 것이라 두산이 꼭 손해를 보지는 않는다. 또한 올스타 브레이크로 선수들도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좋은 기세를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11] 팀 순위가 결정되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가 7~8월인 것을 생각하면 현재 페이스를 유지하기만 하면 전망은 최고라고 할 수 있다.[12] 4월과 양의지와 함께 6월에 팀 타선을 이끌면서 체력이 많이 소진되었는지 안타 개수가 줄어들었지만 정수빈, 박준영 등 다른 타자들이 이를 보충해주고 있다.[13] 7월 25일 경기는 뉴미디어 중계로 TV 채널은 파리 생제르맹 FC VS 알 나스르 FC의 일본 투어 친선경기 종료 후 생중계[14] 류중일의 LG 감독 재임 시절 3년 중 2년을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음에도 워낙 2018년 두산전 1승 15패의 임팩트가 강하기 때문에 이순철보다 덜한 준금지어 수준이다.[15] 만루 상황에서 박해민의 적시타때 2,3루 주자가 들어온 건 어쩔 수 없었지만 양의지가 3루로 뛰던 허도환을 무리하게 잡으려고 송구 실책을 범하고 말았고, 송구가 뒤로 빠진 사이 허도환은 물론 박해민까지 홈에 들어와버렸다.[16] 현장 직관 팬들이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아예 육성 응원을 포기한 모습이 중계 화면에 잡혔다.[17] 두 팀에게 나란히 4전 4패를 당했고, 홈에서 1패를 당한 뒤 다음 홈경기 시리즈에서 피스윕을 당한 것도 같다.[18] 순위는 각각 7, 6위였다.[19] 두산과의 시리즈 전 LG는 이제 막 5연패를 탈출한 상황이었을 정도로 분위기가 최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