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달리스트/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메달리스트 (미정)
メダリスト
Medalist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키비주얼1탄.jpg
작품 정보 ▼

장르스포츠, 피겨 스케이팅, 성장
원작츠루마 이카다(つるまいかだ)
감독야마모토 야스타카
부감독○○
조감독○○
시리즈 디렉터○○
시리즈 구성하나다 줏키
각본
캐릭터 디자인카메야마 치나츠(亀山千夏)
미술 감독○○
색채 설계○○
촬영 감독○○
편집○○
음향 감독○○
음악○○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제작ENGI
제작메달리스트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 ○○. ○○. ~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스트리밍(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편당 러닝타임○○분
화수○○화
시청 등급미정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5. 주제가
5.1. OP
5.2. ED
6. 회차 목록
7. 평가
7.1. 방영 전
7.2. 방영 후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메달리스트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야마모토 야스타카, 방영 시기는 미정.


2. 공개 정보[편집]



2.1. PV[편집]


PV 제○탄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티저비주얼.jpg
티저 비주얼


3. 줄거리[편집]


스케이터로서 좌절을 맛본 청년 아케우라지 츠카사의 앞에 나타난 피겨 스케이팅의 세계를 동경하는 소녀, 유이츠카 이노리.

링크를 향한 집념을 품은 이노리에게 자극을 받은 츠카사는 자신이 이노리의 코치가 되기로 한다.

재능을 점점 개화시키는 이노리와, 지도자로서 성장해 나가는 츠카사.

한 팀이 된 두 사람은 영광의 "메달리스트"를 향해 전진한다!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메달리스트/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편집]



5.1. OP[편집]


OP (○○~○○화)
원제목
번역명
번안명
TV ver.
Full ver.
노래-
작사-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2. ED[편집]


ED (○○~○○화)
원제목
번역명
번안명
TV ver.
Full ver.
노래-
작사-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6.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제1화日: 미정


7. 평가[편집]



7.1. 방영 전[편집]


원작이 차세대 만화대상 2022년도 부문에 뽑힐 만큼 인기작이라서 애니화 자체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피겨 스케이팅 장르라는 특성상 회전과 안무 등 작화로 그리기 어려운 고난이도 동작들이 많은데다[2] 감독 야마모토 야스타카와 제작사 ENGI도 필모작 중 작화가 특출나다는 평은 받지 못했던 만큼 퀄리티에 대한 우려가 많다.

일단 야마모토 야스타카 감독이 감독 역량은 있으며 ENGI에도 하시모토 류키(橋本隆希)라는 실력있는 애니메이터는 한 명 있으므로 중요한 에피소드는 하시모토에게 몰아주는 방식으로 만든다면 일부 에피소드는 괜찮게 나올 가능성은 있다.


7.2. 방영 후[편집]




8.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23:27:10에 나무위키 메달리스트/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최고급 애니메이터를 썼던 유리!!! on ICE조차 제작 스케줄이 무너졌는데 애니메이터 섭외력이 떨어지는 ENGI가 이를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 때문에 안무 동작은 3D CG로 대체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문제는 ENGI는 3D 쪽도 특별한 인맥이 없어서 결국 이전작 가메라: 부활에서 퀄리티 논란을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