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그라티온 왕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러시아 제국의 장군에 대한 내용은 표트르 바그라티온 문서
표트르 바그라티온번 문단을
표트르 바그라티온# 부분을
, 바그라티온 작전에 대한 내용은 바그라티온 작전 문서
바그라티온 작전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르메니아어Բագրատունի바그라투니/바그라티드
조지아어ბაგრატიონი바그라티오니

파일:바그라투니아르메니아.png파일:COA_-_Royal_House_of_Bagrationi.png
아르메니아 왕국의 바그라투니 왕조 상징조지아 왕국의 바그라티온 왕조 상징

1. 개요
2. 역사
3. 왕정 복고
4. 역대 군주
4.1. 건국 이전
4.1.1. 타오-클라제티 공작
4.1.2. 타오 공작
4.1.3. 클라제티 공작
4.1.4. 이베리아 국왕
4.2. 조지아 왕국(1008년 ~ 1259년)
4.3. 1차 이국 분열 시대(1259년 ~ 1330년)
4.3.1. 서부 조지아 왕국
4.3.2. 동부 조지아 왕국
4.4. 1차 통합 조지아 왕국(1330년 ~ 1387년)
4.5. 2차 이국 분열 시대(1387년 ~ 1401년)
4.5.1. 1차 이메레티 왕국
4.5.2.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4.6. 2차 통합 조지아 왕국(1401년 ~ 1489년)
4.7. 삼국 분열 시대(1489년 ~ 1762년)
4.7.1. 2차 이메레티 왕국
4.7.2. 카헤티 왕국
4.7.3. 카르틀리 왕국
4.8.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1762년 ~ 1800년)


1. 개요[편집]


아르메니아 왕국에서 약 800년대부터 1045년경까지, 조지아 왕국에서 780년경부터 19세기 초까지 군림한 왕가이다.


2. 역사[편집]


바그라티온은 본래 '바그라투니'라고 불리던 아르메니아의 유력 귀족 가문으로 아르메니아 왕국조지아 왕국 두 나라의 왕가였다. 아르메니아의 바그라투니 왕조는 1045년에 셀주크 제국의 공격을 받아 멸망하면서 단절되었다. 한 때 같은 왕가를 공유했었던 역사 때문인지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사이는 이웃 나라 관계치곤 그렇게 나쁘지 않다고 한다. 1008년 통일 조지아 왕국이 수립되었고, 다비트 4세(재위 1089년~1125년)와 타마르 여왕(재위 1184년~1213년) 때는 조지아 역사의 "황금 시대"로 일컬어진다. 초기 수도는 쿠타이시였으나 1122년 트빌리시로 이전한다. 트빌리시는 현재 조지아의 수도다. 그러나 얼마 안 가 호라즘 제국몽골 제국의 습격으로 황금 시대는 막을 내렸다.

1490년에 통일 조지아 왕국은 카르틀리(ქართლი), 카헤티(კახეთი), 이메레티(იმერეთი)로 3분할된다. 그러면서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 역대 왕조들의 봉신으로 연명해 나간다. 1762년 카케티의 에레클레(헤라클리우스) 2세가 카르틀리의 왕위도 확보하여 카르틀리카케티 왕국(Kartli-Kakheti, 수도 트빌리시)이 개창하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Kingdom_of_Kartli-Kakheti.svg.png
카르틀리카케티 왕국의 국기[1]

이후 북쪽에서 러시아 제국의 세력이 접근하면서 정교회의 보호자임을 내세운다. 1783년 에레클레 2세는 예카테리나 2세 치하의 러시아와 게오르기옙스크 조약을 맺으면서 카르틀리카케티 왕국은 러시아의 보호국이 된다. 이후 러시아 제국은 1801년에 카르틀리카케티 왕국을 완전 합병한다. 서쪽의 이메레티 왕국도 1810년 같은 운명을 걷게 되어, 바그라티온 왕조의 군림이 끝났다.

이후 바그라티온 왕가는 러시아의 고위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에 종군했던 러시아의 장군 표트르 바그라티온 또한 이 가문의 왕자였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고 1921년에 붉은 군대트빌리시를 점령하면서 가문 구성원들은 재산과 작위 몰수를 받아들이든지, 아니면 서유럽으로 이주해야 했다. 이들 중 일부는 1991년 이후 귀국했다.


3. 왕정 복고[편집]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조지아의 역대 공화국 행정부들이 계속 삽질을 하자 분노가 터진 조지아 국민들 중에서는 바그라티온 왕가를 복위시킨 후 입헌군주제를 실시하자는 여론이 상당하다. 1998년만 해도 왕정복고에 대해서는 16%만이 지지하여 냉담한 편이었으나, 이후 여론 조사에서 2007년 45%, 2013년 79%의 지지를 받았다.[2] 사실상 러시아의 위성국화와 분리주의 때문에 사분오열로 쪼개지기 직전인 조지아에서 유일하게 소속된 모든 국가들이, 심지어 밑의 사이 안 좋은 아르메니아조차 과반수 이상으로 동의하는 여론 중에 하나다.

그 동안 바그라티온 왕조는 왕위요구자가 두 명이었으나, 왕위요구자 누그자르 바그라티온의 딸이자 차기 계승자인 안나와 또다른 왕위요구자 다비드 바그라티온이 결혼해서 두 계통의 통합된 후계자인 기오르기(2011년 출생)를 낳았다. 현재는 이혼했다.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일리아 2세 총대주교,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조지아 대통령도 근왕주의자로 분류하였다.


4. 역대 군주[편집]


[ 펼치기 · 접기 ]

타오-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쇼트 1세바그라트 1세(타오-클라제티)아다르나세 2세과람
타오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1세구르겐 1세(타오)아다르나세 3세아쇼트 2세
타오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구르겐 2세바그라트 1세아쇼트 3세아다르나세 4세
타오 공작
제9대제10대제11대-
바그라트 2세(타오)다비트 3세바그라트 3세-
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숨바트 1세(클라제티)다비트 1세(클라제티)바그라트 1세(클라제티)숨바트 2세
클라제티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2세(클라제티)바그라트 2세(클라제티)숨바트 3세바그라트 3세(클라제티)
이베리아 국왕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다르나세다비트 2세숨바트 1세바그라트 2세
이베리아 국왕
제5대---
구르겐 1세---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바그라트 3세기오르기 1세바그라트 4세기오르기 2세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4세데메트리우스 1세다비트 5세데메트리우스 1세
조지아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기오르기 3세타마르기오르기 4세루수단
조지아 왕국
제13대제14대--
다비트 6세다비트 6세
다비트 7세
--
서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6세콘스탄틴 1세(서부 조지아)미켈(서부 조지아)바그라트 1세(서부 조지아)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7세데메트리우스 2세바흐탄그 2세다비트 8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5세바흐탄그 3세다비트 8세기오르기 6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9대---
기오르기 5세---
1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
기오르기 5세다비트 9세바그라트 5세-
1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
알렉산드레 1세(이메레티)기오르기 1세(이메레티)콘스탄틴 2세(이메레티)-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2대--
바그라트 5세기오르기 7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7세콘스탄틴 1세알렉산드레 1세바흐탄그 4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8세바그라트 6세알렉산드레 2세콘스탄틴 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알렉산드레 2세바그라트 3세(이메레티)기오르기 2세(이메레티)레반(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로스톰(이메레티)바그라트 4세(이메레티)기오르기 3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3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5세(이메레티)바흐탄그 츠추나슈빌리아르칠리(이메레티)디미트리오스 구리엘리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4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4세기오르기 5세(이메레티)시몬(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마미아 구리엘리기오르기 6세(이메레티)기오르기 7세(이메레티)기오르기 8세(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알렉산드레 5세기오르기 9세(이메레티)마무카솔로몬 1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5대제26대제27대-
테이무라즈(이메레티)다비트 2세(이메레티)솔로몬 2세-
카헤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8세알렉산드레 1세(카헤티)기오르기 2세(카헤티)레반(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알렉산드레 2세(카헤티)다비트 1세(카헤티)콘스탄틴 1세(카헤티)테이무라즈 1세
카헤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아르칠리(이메레티)에레클레 1세다비트 2세(카헤티)콘스탄틴 2세(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13대제14대--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에레클레 2세--
카르틀리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콘스탄틴 2세다비트 10세기오르기 9세루아르사브 1세
카르틀리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시몬 1세다비트 11세기오르기 10세루아르사브 2세
카르틀리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7세시몬 2세로스톰바흐탄그 5세
카르틀리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11세에레클레 1세카이호스로(카르틀리)예세
카르틀리 왕국
제17대제18대--
바흐탄그 6세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
초대제2대--
에레클레 2세기오르기 12세--





4.1. 건국 이전[편집]




4.1.1. 타오-클라제티 공작[편집]




4.1.2. 타오 공작[편집]




4.1.3. 클라제티 공작[편집]




4.1.4. 이베리아 국왕[편집]




4.2. 조지아 왕국(1008년 ~ 1259년)[편집]




4.3. 1차 이국 분열 시대(1259년 ~ 1330년)[편집]



4.3.1. 서부 조지아 왕국[편집]




4.3.2. 동부 조지아 왕국[편집]




4.4. 1차 통합 조지아 왕국(1330년 ~ 1387년)[편집]




4.5. 2차 이국 분열 시대(1387년 ~ 1401년)[편집]



4.5.1. 1차 이메레티 왕국[편집]




4.5.2. 2차 동부 조지아 왕국[편집]




4.6. 2차 통합 조지아 왕국(1401년 ~ 1489년)[편집]




4.7. 삼국 분열 시대(1489년 ~ 1762년)[편집]



4.7.1. 2차 이메레티 왕국[편집]




4.7.2. 카헤티 왕국[편집]




4.7.3. 카르틀리 왕국[편집]




4.8.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1762년 ~ 1800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9:32:55에 나무위키 바그라티온 왕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우연의 일치로 영국 잉글랜드콘월 주기와 닮았다.[2] 2013년 11월 조사: 조지아가 국왕을 가져야 하는가? 78.9% 찬성. 조지아에 군주제가 복고되어야 하는가? 56.8% 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