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주부 프로스트/2012 시즌

덤프버전 :

'''||




1. LOL 인비테이셔널[편집]


MiG Frost의 원조인 MiG의 팀명으로 출전한 롤 인비테이셔널에서는 매라신의 등장을 알리며 결승에서 CLG를 꺾고 방송대회 첫 우승을 달성한다.


2.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편집]


MiG Frost로 참가한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에서는 참가 전까지 리그 최고의 팀으로 평가 받았다. 당시 최고의 탑솔러로 평가받던 과 신(神) 매라, 애니비아 장인 빠별, 전자 두뇌 클템, 그리고 오더를 담당하던 로코도코가 뭉쳐 있었기에 특색이 강했다. 게다가 4강 5세트에서는 드라마틱한 경기까지 보여주며 우승을 점치는 이들이 많았다. 그러나 결승전에서 상대적으로 2군으로 평가받던 MiG Blaze에게 0:3으로 덜미를 잡히며 고개를 숙이며 준우승을 해버리고 만다.


3.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편집]


이때의 결과 때문인지 리빌딩을 단행, 최윤섭이 빠지고 장건웅이 원딜로, 그리고 새로운 탑솔러인 샤이을 영입했다.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16강에서 아마추어 팀 RoMg에게 대패할 정도로 불안한 출발을 하였지만 홍민기의 신들린 블리츠크랭크 로켓 손을 통해 2승 1패로 8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또다시 형제 팀인 블레이즈와 맞붙었는데, 모두의 예상을 뒤엎는 혈전 끝에 프로스트가 블레이즈를 3:2로 제압하며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결승에서 CLG.EU를 상대로 패패승승승 역스윕을 달성하며 정말로 고대하던 롤챔스 우승을 차지했다. 덤으로 시즌 2 롤드컵 직행 티켓을 확보했다.


4.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편집]


시즌 2 롤드컵에서도 예선 3승, 8강 2:0, 4강 2:1로 승승장구했지만 결승에서 TPA 조합의 핵심인 오리아나와 문도를 계속 풀어주는 실수를 범하면서 1:3으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여담으로 이 당시 한국어 욕설 보이스가 송출된 해프닝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Azubu Frost 욕설 송출 사건 문서 참조.


5. 팀별 둘러보기[편집]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LCK 2012 시즌 팀별
파일:339px-Azubu_Frost_allmode.png파일:NaJin_e-mFire_Sword.webp파일:339px-Azubu_Blaze_allmode.png
AZFNJ SWDAZB
파일:CJ 엔투스 로고.svg파일:IM_logo.webp파일:NaJin_e-mFire_Shield.webp
CJIMNJ SHD
해당 팀별 목록은 2012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4:30:43에 나무위키 아주부 프로스트/2012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