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s-l1600.asia.jpg
정식 명칭(オール・)アジア・タッグ王座
All Asia Tag Team Championship
현재 챔피언 팀ERUPTION
사카구치 유키오 & 오카타니 히데키
(121대)
챔피언 등극2023년 11월 3일
이전 챔피언 팀BURNING
아키야마 쥰 & 스즈키 코타로
소속 단체전일본 프로레슬링
all Japan Pro Wrestling
벨트 창설일1955년 11월 16일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기록
4. 역대 챔피언 팀 목록
4.1. 일본레슬링협회



1. 개요[편집]


전일본 프로레슬링챔피언십 중 하나이다.


2. 역사[편집]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은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이다. 1955년 11월 16일 일본레슬링협회에서 킹 콩 차야와 타이거 조긴더 싱이 일본레슬링협회의 설립자인 역도산과 헤럴드 사카다를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꺾으면서 만들어졌다. 원래는 일본레슬링협회에서 위상이 제일 높은 태그팀 타이틀이었지만,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이 미국에서 개최되면서 타이틀의 위상이 내려갔다. 1973년 일본레슬링협회가 망한 후, 1976년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독자적인 타이틀인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창설을 발표하자,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의해 부활했다. 현재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과 함께 전일본에서 2개의 태그팀 타이틀 중 하나이다. 현재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현역 타이틀이기도 하다.

파일:다운로드입니다 아시아 태그팀.jpg
과거 디자인

삼관 헤비급 챔피언십과 같이 타이틀의 노후화로 인하여 디자인을 변경하였다.


3. 기록[편집]


초대 챔피언킹 콩 차야 & 타이거 조긴더 싱
최다 획득 챔피언(팀)캔암 익스프레스
(더그 퍼나스 & 댄 크로팟)
5회
최다 획득 챔피언(개인)요시무라 미치아키10회
최장기간 챔피언킹 콩 차야 & 타이거 조긴더 싱1,660일
최단기간 챔피언언터처블
미사와 미츠하루 & 오가와 요시나리
1일 미만
통산 보유 기간킹 콩 차야 & 타이거 조긴더 싱1,660일
최다 연속 방어Wild Burning
아키야마 준 & 오오모리 타카오
12회
통산 최다 방어Wild Burning
아키야마 준 & 오오모리 타카오
12회


4. 역대 챔피언 팀 목록[편집]



4.1. 일본레슬링협회[편집]


  • 선수 옆 괄호() 속 숫자는 선수 개인의 타이틀 획득 횟수이다.
#태그 팀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방어전 성공 횟수비고
1킹 콩 차야 & 타이거 조긴더 싱1회1955년 11월 16일 (1,660일)#회[확인불가][1]
-공석-1960년 6월 2일-[2]
2댄 밀러 & 프랭크 발루아1회1960년 6월 2일 (5일)0회[3]
3역도산 & 토요노보리1회1960년 6월 7일 (606일)0회
4루터 린제이 & 리키 월도1회1962년 2월 3일 (12일)0회
5역도산 & 토요노보리2회1962년 2월 15일 (109일)0회
6버디 오스틴 & 마이크 샤프1회1962년 6월 4일 (27일)0회
7역도산 & 토요노보리3회1962년 7월 1일 (#일)[4]0회
-공석-1963년 1월-[5]
8역도산 & 토요노보리4회1963년 5월 6일 (223일)0회[6]
-공석1963년 12월 15일-[7]
9토요노보리(5) & 요시무라 미치아키1회1964년 2월 20일 (84일)#회[확인불가][8]
10칼립소 허리케인 & 진 키니스키1회1964년 5월 14일 (15일)#회[확인불가]
11자이언트 바바 & 토요노보리(6)1회1964년 5월 29일 (370일)#회[확인불가]
12디스트로이어 & 빌리 레드 라이언스1회1965년 6월 3일 (42일)#회[확인불가]
13자이언트 바바(2) & 토요노보리(7)2회1965년 7월 15일 (174일)#회[확인불가]
-공석-1966년 1월 5일-[9]
14조 카롤로 & 킬러 칼콕스1회1966년 5월 26일 (2일)0회[10]
15마츠다 히로 & 요시무라 미치아키(2)1회1966년 5월 28일 (30일)1회
16에디 그레이엄 & 킬러 칼콕스(2)1회1966년 6월 27일 (4일)#회[확인불가]
17자이언트 바바 & 요시무라 미치아키(3)1회1966년 7월 1일 (127일)#회[확인불가]
-공석-1966년 11월 5일-[11]
18김일 & 요시무라 미치아키(4)1회1966년 12월 3일 (#일)[12]1회[13]
-공석1967년 4월-[14]
19안토니오 이노키 & 요시무라 미치아키(5)1회1967년 5월 26일 (158일)1회[15]
-공석1967년 10월 31일-[16]
20김일 & 요시무라 미치아키(6)2회1968년 1월 6일 (184일)2회[17]
21클론다이크 빌 & 스컬 머피1회1968년 7월 8일 (22일)0회
22김일 & 요시무라 미치아키(7)3회1968년 7월 30일 (175일)2회
-공석-1969년 1월 21일-[18]
23안토니오 이노키(2) & 김일(4)1회1969년 2월 3일 (150일)#회[확인불가][19]
-공석-1969년 1월 21일-[20]
24안토니오 이노키(3) & 요시무라 미치아키(8)2회1969년 8월 9일 (62일)#회[확인불가][21]
-공석-1969년 10월 10일-[22]
25안토니오 이노키(4) & 요시무라 미치아키(9)3회1969년 10월 30일 (#일)[23]3회[24]
-공석-1971년 12월-[25]
26사카구치 세이지 & 요시무라 미치아키(10)1회1971년 12월 12일 (425일)1회[26]
-공석-1973년 1월 30일-[27]
27더 그레이트 코지카 & 마츠오카 겐이츠1회1973년 3월 3일 (48일)0회[28]
-봉인-1973년 4월 20일-일본 프로레슬링 협회 해산


4.2. 전일본 프로레슬링[편집]


  • 선수 옆 괄호() 속 숫자는 선수 개인의 타이틀 획득 횟수이다.
#태그 팀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방어전 성공 횟수비고
28더 그레이트 코지카 & 오쿠마 모토시1회1976년 3월 26일 (190일)2회[29]
29오츠 형제
(제리 오츠 & 테드 오츠)
1회1976년 10월 2일 (19일)0회
30아키히사 타카치호 & 삼손 쿠스와다1회1976년 10월 21일 (238일)2회
31더 그레이트 코지카 (3) & 오쿠마 모토시2회1977년 6월 16일 (143일)2회
32애니멀 하마구치 & 마이티 이노우에1회1977년 11월 6일 (108일)4회
33더 그레이트 코지카 (4) & 오쿠마 모토시3회1978년 2월 22일 (#일)[30]0회
-공석-1978년 8월-[31]
34더 그레이트 코지카 (5) & 오쿠마 모토시4회1978년 2월 22일 (723일)5회[32]
35본 에릭 가문
(데이브 본 에릭 & 케빈 본 에릭)
1회1981년 5월 23일 (19일)0회
36이시카와 타카시 & 사토 아키오1회1981년 6월 11일 (#일)[33]4회
-공석-1983년 1월-[34]
37아슈라하라 & 마이티 이노우에(2)1회1983년 2월 23일 (368일)8회[35]
-공석-1984년 2월 26일-[36]
38아슈라 하라(2)와 이시카와 다카시(2)1회1983년 2월 23일 (249일)0회[37]
-공석-1984년 10월 22일-
39이시카와 다카시(3) & 사토 아키오(2)2회1985년 4월 15일 (94일)0회[38]
40이신 군단
(애니멀 하마구치 & 테라니시 이사무)
1회1985년 7월 18일 (#일)[39]1회
41호나가 노리오 & 테라니시 이사무(2)1회1985년 7월 (#일)[40]1회[41]
42마이티 이노우에(3) & 이시카와 다카시(4)1회1985년 10월 31일 (364일)1회
43아슈라하라(3) & 슈퍼 스트롱 머신1회1986년 10월 30일 (#일)[42]0회
-공석-1987년 3월-[43]
44마이티 이노우에(4) & 이시카와 다카시(5)2회1987년 7월 30일 (223일)2회[44]
45풋루즈/레볼루션
(삼손 후유키 & 카와다 토시아키)
1회1988년 3월 9일 (184일)2회
46나카노 신이치 & 다카노 슌지1회1988년 9월 9일 (6일)0회
47풋루즈/레볼루션
(삼손 후유키 & 카와다 토시아키)
2회1988년 9월 15일 (263일)4회
48캔암 익스프레스
(더그 퍼나스 & 댄 크로팟)
1회1989년 6월 5일 (137일)3회
49풋루즈/레볼루션
(삼손 후유키 & 카와다 토시아키)
3회1989년 10월 20일 (133일)1회
50캔암 익스프레스
(더그 퍼나스 & 댄 크로팟)
2회1990년 3월 2일 (38일)1회
51코바시 켄타 & 타이거 마스크 2세1회1990년 4월 9일 (38일)0회
-공석-1990년 5월 17일-[45]
52나가노 신이치(2) & 타우에 아키라1회1990년 6월 5일 (14일)0회[46]
-공석-1990년 6월 19일-[47]
53쟈니 에이스 & 코바시 켄타(2)1회1990년 9월 7일 (#일)[48]2회[49]
-공석-1991년 2월-[50]
54브리티시 브루어즈
(다이너마이트 키드 & 쟈니 스미스)
1회1991년 4월 6일 (14일)0회[51]
55캔암 익스프레스
(더그 퍼나스 & 댄 크로팟)
3회1991년 4월 20일 (79일)2회
56쟈니 에이스 & 코바시 켄타(3)2회1991년 7월 8일 (10일)0회
57빌리 블랙 & 조엘 디튼1회1991년 7월 18일 (8일)0회
58캔암 익스프레스
(더그 퍼나스 & 댄 크로팟)
4회1991년 7월 26일 (304일)3회
59초세대군
(기쿠치 츠요시 & 코바시 켄타(4))
1회1992년 5월 25일 (373일)3회
60The Eagle & The Patriot1회1993년 6월 2일 (99일)1회
61캔암 익스프레스
(더그 퍼나스 & 댄 크로팟)
5회1993년 9월 9일 (452일)3회
-공석-1994년 12월 5일-[52]
62Wild Burning
아키야마 준 & 오오모리 타카오
1회1995년 1월 29일 (1,076일)12회[53]
63울프 호크필드 & 쟈니 스미스(2)1회1998년 1월 9일 (270일)3회
64혼다 타몬 & 이즈미다 쥰1회1998년 10월 6일 (130일)1회
65하야부사 & 신자키 진세이1회1999년 2월 13일 (111일)1회
66NO Fear
오오모리 타카오(2) & 타카야마 요시히로
1회1999년 6월 4일 (82일)0회[54]
67언터처블
미사와 미츠하루 & 오가와 요시나리
1회1999년 8월 25일 (1일미만)0회[55]
-공석-1999년 8월 25일-[56]
68혼다 타몬(2) & 이노우에 마사오1회1999년 10월 25일 (235일)3회[57]
-공석-2000년 6월 16일-[58]
69카키하라 마사히토 & 나가이 미츠야1회2001년 6월 8일 (#일)[59]0회[60]
-공석-2001년 8월-[61]
70아라시 & 키타하라 고키1회2001년 9월 8일 (128일)2회[62]
-공석-2002년 1월 14일-[63]
71아라시(2) & 아라야 노부타카1회2002년 4월 13일 (433일)3회[64]
-공석-2003년 6월 20일-[65]
72Rowdy
(사토 코헤이 & 요코이 히로타카)
1회2003년 7월 19일 (83일)3회[66]
73카네무라 킨타로 & 쿠로다 테츠히로1회2003년 10월 10일 (65일)2회[67]
-공석-2003년 12월 14일-[68]
74미스터 간노스케 & 쿠로다 테츠히로(2)1회2003년 10월 10일 (8일)0회[69]
75코지마 사토시 & 카즈 하야시1회2004년 1월 2일 (141일)5회
76후치 마사노부 & 텐류 겐이치로1회2004년 5월 22일 (165일)3회
77나가이 미츠야(2) & 나루세 마사유키1회2004년 11월 3일 (91일)2회
78RO&D
뷰캐넌 & 리코
1회2005년 2월 2일 (114일)0회
-공석-2005년 5월 27일-[70]
79Voodoo Murders
콘도 슈지 & 브라더 야시
1회2005년 6월 19일 (37일)1회[71]
80나카지마 카츠히코 & 사사키 켄스케1회2005년 7월 26일 (460일)3회
-공석-2006년 10월 29일-[72]
81스즈키 미노루 & NOSAWA논외1회2009년 1월 3일 (263일)2회[73]
82S.M.O.P.
(아케보노 & 하마 료타)
1회2009년 9월 23일 (218일)3회
83Voodoo Murders
(빅 대디 voodoo, TARU)
1회2010년 4월 29일 (122일)1회
84뉴 제너레이션 포스
(소야 마나부 & 사나다 세이야)
1회2010년 8월 29일 (204일)2회
85스트롱 BJ
(세키모토 다이스케& 오카바야시 유지)
1회2011년 3월 21일 (90일)2회
86뉴 제너레이션 포스
(소야 마나부 & 사나다 세이야)
2회2011년 6월 19일 (126일)1회
87스트롱 BJ
(세키모토 다이스케 & 오카바야시 유지)
2회2011년 10월 23일 (252일)6회
88S.M.O.P.
(아케보노 & 하마 료타)
2회2012년 7월 1일 (65일)0회
-공석-2012년 9월 4일-[74]
89주니어 스타즈
(카네모토 코지 & 다나카 미노루)
1회2012년 10월 21일 (97일)2회[75]
90사토 히카루 & 야마토 히로시1회2013년 1월 26일 (15일)0회
91주니어 스타즈
(카네모토 코지 & 다나카 미노루)
2회2013년 2월 10일 (74일)1회
92BURNING
(아오키 아츠시 & 스즈키 코타로)
1회2013년 4월 25일 (276일)4회
93BURNING
(아키야마 준(2) & 카네마루 요시노부)
1회2014년 1월 26일 (93일)3회
94팀 드림 퓨처스
(이시이 케이스케 & 이리에 시게히로)
1회2014년 4월 29일 (109일)4회
95Xceed
스즈키 코타로(2) & 미야하라 켄토
1회2014년 8월 16일 (140일)1회
96다크 킹덤
나가이 미츠야(3) & 미나미노 다케시
1회2015년 1월 3일 (78일)1회
97울티모 드래곤 & 카네마루 요시노부(2)1회2015년 3월 22일 (206일)1회
-공석-2012년 9월 4일-[76]
98양키 투 겐주
(코다카 이사미 & 미야모토 유코)
1회2015년 11월 15일 (252일)6회[77]
99아오키 아츠시(2) & 사토 히카루(2)1회2016년 7월 24일 (126일)4회
100오니타 아츠시 & 후치 마사노부(2)1회2016년 11월 27일 (205일)1회
101Evolution
(아오키 아츠시(3) & 사토 히카루(3))
2회2017년 6월 20일 (68일)2회
102블랙 타이거 VII(2) & TAKA 미치노쿠1회2017년 8월 27일 (34일)0회
103Nextream
(노무라 나오야 & 아오야기 유마)
1회2017년 9월 30일 (119일)4회
-공석2018년 1월 27일-[78]
104아키야마 준(3) & 나가타 유지1회2018년 2월 3일 (176일)2회[79]
105Nextream
(노무라 나오야 & 아오야기 유마)
2회2018년 7월 29일 (210일)4회
-공석2019년 2월 25일-[80]
106Sweeper
제이크 리 & 이와모토 코지
1회2019년 3월 21일 (45일)0회[81]
107카와카미 류이치 & 키쿠타 카즈미1회2019년 5월 5일 (44일)1회
108Sweeper
제이크 리 & 이와모토 코지
2회2019년 6월 18일 (279일)4회
109양키 투 겐주
(코다카 이사미 & 미야모토 유코)
1회2020년 3월 23일 (145일)3회
110퍼플 헤이즈
(제우스 & 이자나기)
1회2020년 8월 15일 (388일)6회
111스트롱하츠
(엘 린다만 & T-Hawk)
1회2021년 9월 7일 (117일)2회
112토탈 이클립스
(코다마 유스케 & 오오모리 호쿠토)
1회2022년 1월 2일 (193일)6회
113Voodoo Murders
(미노루(3) & 토시조)
1회2022년 7월 14일 (66일)2회
114Evolution
타무라 단 & 사토 히카루(4)
1회2022년 9월 18일 (42일)1회
115요시타츠 & TAJIRI1회2022년 10월 30일 (31일)1회
116코다마 유스케(2) & 하나바타케마사 오1회2022년 11월 27일 (11일)0회
117오오모리 타카오(3) & 이노우에 마사오(2)1회2022년 12월 7일 (27일)0회
118켄도 카신 & NOSAWA논외1회2023년 1월 3일 (47일)0회
119오니타 아츠시(2) & 요시타츠(2)1회2023년 2월 19일 (226일)5회
120BURNING
아키야마 쥰(3) & 스즈키 코타로(2)
1회2023년 9월 18일 (46일)1회
121ERUPTION
사카구치 유키오 & 오카타니 히데키
1회2023년 11월 3일 (216일)

[확인불가] A B C D E F G H I J 방어기록 확인 불가[1] 가을 토너먼트 결승에서 역도산과 해롤드 사카타를 3전 2패로 꺾었다.[2] 팀 해체로 타이틀을 반납했다.[3] 3전 2선승제로 결승에서 역도산 & 요시무라 미치아키를 꺾었다.[4] 챔피언십을 방어한 날짜는 불분명하며, 이는 방어기간이 184일에서 214일 사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5] 토요노보리의 부상으로 공석.[6] 프레드 앳킨스와 킬러 코왈스키를 이기고 획득.[7] 역도산이 야쿠자 조직원이던 무라타 가쓰시(村田勝志)에게 칼에 찔린 이후 복막염으로 사망하여 공석.[8] 커티스 이오케아 왕자와 돈 마누키안를 이기고 획득.[9] 토요노보리가 단체를 떠나면서 공석.[10] 자이언트 바바와 요시무라 미치아키를 꺾고 획득.[11] 바바와 요시무라가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하면서 공석.[12] 챔피언쉽을 방어한 날짜는 불분명하다.[13] 에디 모레아와 타잔 조로를 이기면서 획득.[14] 김일이 교통사고로 다치면서 공석.[15] 아이크 에이킨스와 왈도 폰 에릭을 이기면서 획득.[16] 이노키가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타이틀을 획득하면서 공석.[17] 빌 밀러와 릭 헌터를 이기면서 획득.[18] 요시무라 미치아키가 탈단하면서 공석화.[19] 톰 존스와 버스터 로이드를 이기면서 획득.[20] 김일올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십 방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웠다.[21] 크러셔 리소프스키 & 아트 미할릭을 이기면서 획득.[22] 아토믹 & 버디 오스틴과의 판정 논란으로 공석.[23] 챔피언쉽을 방어한 날짜는 불분명하며, 이는 방어 기간이 762일에서 792일 사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24] 재경기에서 아토믹과 버디 오스틴을 이기면서 획득.[25] 안토니오 이노키가 일본 레슬링 협회를 탈단하면서 공석.[26] 도리 펑크 주니어와 딕 머독을 이기면서 획득.[27] 요시무라가 탈단하면서 공석.[28] 킬러 칼 크룹과 커트 폰 슈타이거를 이기면서 획득.[29]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전일본 흥행에서 두 명의 한국 대표를 꺾고 타이틀을 부활시켰다.[30] 방어일이 불분명하며, 이는 재위 기간이 160일에서 189일 사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31] 코지카와 오쿠마는 6개월 동안 타이틀을 방어하지 않아 박탈.[32] 부치 밀러와 스위트 윌리엄스를 이기면서 획득.[33] 방어일이 불분명하며 이는 204일에서 234일 사이에 통치가 지속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34] 사토 아키오가 부상을 당하면서 공석.[35] 더 그레이트 코지카 & 오쿠마 모토시를 꺾고 획득.[36] 이노우에가 NWA 월드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십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웠다.[37] 토마스 아이비와 제리 모로우를 꺾고 획득.[38] 애니멀 하마구치와 쿠리스 마사노부를 꺾고 획득.[39] 챔피언쉽을 방어한 날짜는 불분명하며 이는 통치가 1일에서 13일 사이에 지속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40] 방어일이 불분명하며 92일에서 104일 사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41] 애니멀 하마구치 & 쿠리스 마사노부를 꺾고 획득.[42] 방어일이 불분명하며 이는 재위 기간이 122일에서 152일 사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43] 슈퍼 스트롱 머신이 탈단하면서 공석.[44]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쿠리스 마사노부와 테라니시 이사무를 꺾고 획득.[45] 마스크를 벗은 미사와가 싱글 경력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웠다.[46] 데이비 보이 스미스와 쟈니 스미스를 꺾으면서 획득.[47] 나카노 신이치가 전일본 탈단하고 sws로 이적하면서 공석.[48] 방어일이 불분명하며 이는 재위 기간이 147일에서 174일 사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49] 바비 풀튼과 토미 로저스를 꺾으면서 획득.[50] 쟈니 에이스가 부상을 당하면서 공석.[51] 기쿠치 츠요시와 코바시 켄타를 꺾고 획득.[52]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하기 위해 공석화.[53]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바비 풀튼과 토미 로저스를 꺾고 획득.[54] 이후 세계 태그팀 챔피언쉽도 등극하여 3관이 되었다.[55] 세계 태그팀 챔피언쉽도 걸여있는 시합에서 승리하여 획득.[56] 다른 레슬링 선수들이 타이틀을 보유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웠다.[57]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마우나케아 모스만과 쟈니 스미스를 꺾고 획득.[58] 전일본 선수 이탈사건으로 인해 혼다 타몬, 이노우에 마사오가 프로레슬링 NOAH로 이적해 공석화.[59] 방어일이 불분명하며 재위 기간이 54일에서 83일 사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60] 마카베 신야나가타 유지를 꺾고 획득.[61] 카키하라가 부상을 당하면서 공석.[62] 오쿠무라 시게오와 아라야 노부타카를 꺾고 획득.[63] 안조 요지, 텐류 겐이치로와의 논 타이틀전 패배 이후 결장하면서 공석.[64] 나가이 미츠야와 오쿠무라 시게오를 꺾고 획득.[65] 세계 태그팀 챔피언쉽을 획득하면서 타이틀을 공석화한다.[66]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투르메릭 스톰(혼마 토모아키 & 미야모토 카즈시)을 꺾고 획득.[67] 프로레슬링 ZERO-ONE의 Evolution 투어에서 획득.[68] 카네무라가 병으로 결장하면서 공석.[69] 카사이 준과 텐구 카이저를 이기고 획득.[70] 리코가 은퇴하면서 공석.[71]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혼마 토모아키나카지마 카츠히코를 꺾고 획득.[72] 사사키 켄스케가 부상을 당하면서 공석.[73] 토너먼트 결승에서 니시무라 오사무와 후치 마사노부를 꺾고 획득.[74] 아케보노가 페렴으로 결장하면서 공석.[75] 대회 결승에서 미야모토 가즈시, 혼마 토모아키를 꺾고 획득.[76] 울티모 드래곤과 카네마루는 코다카 이사미와 미야모토 유코에게 패해 타이틀을 자진 포기했다.[77] 스즈키 코타로와 나카지마 요헤이를 꺾고 획득.[78] 아오야기가 발목 부상으로 결장하여 공석.[79] 노무라 나오야와 사이 료지를 꺾고 획득.[80] 노무라와 아오야기의 탈단으로 공석화.[81] 토너먼트 결승에서 하시모토 다이치와 키미타니 히데오를 꺾고 획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1:02:31에 나무위키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