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국교육대학교 체육대회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종목
3.1.1. 참가 팀
3.1.2. 역대 전적
3.2.1. 참가 팀
3.2.2. 역대 전적
3.3.1. 참가 팀
3.3.2. 역대 전적
3.4.1. 참가 팀
3.4.2. 역대 전적
3.5.1. 참가 팀
3.5.2. 역대 전적
3.6.1. 참가 팀
3.6.2. 역대 전적
3.7.1. 참가 팀
3.7.2. 역대 전적
3.8.1. 참가 팀
3.8.2. 역대 전적
4. 기타



1. 개요[편집]


전국교육대학교 체육대회(全國敎育大學校 體育大會)는 대한민국의 10개 교육대학[1]이 모여 벌리는 대학교 정기전을 말한다. 약칭은 전교대.

편의상 한 문서에 서술되어 있지만 종합체육대회가 아니라 각 종목이 별개의 대회다. 다만, 구성원이 비슷하다보니 종합체육대회와 큰 차이를 느끼긴 어렵다. 실제로 종목에 상관없이 학생들은 전교대라고만 부른다.

매년 각 대학이 돌아가며 주최를 맡으며 일반적으로 주최 학교 지역의 체육 시설에서 대회를 열다. 각 종목에 해당하는 협회,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후원해서 선수들은 기념품과 약간의 참가비를 받기도 한다.


2. 역사[편집]


본 문서에 적힌 대회와 다른 1970년부터 열린 ‘전국교육대학 체육대회’가 이미 있었다. 현존하는 10개의 교육대학교 이외에도 강릉교대, 군산교대, 마산교대, 목포교대, 안동교대, 제주교대 등 총 16개 교대가 모여 종합 체육 대회를 열어 자웅을 겨뤘다고 한다.

당시 대회 종목으로는 축구, 배구, 핸드볼, 탁구, 육상(100, 400m 달리기, 포환, 마라톤 포함), 사격 등이 있었다. 그러나 5개 교육대학에 대하여 통폐합이 결정되던 즈음으로 체육대회는 명맥이 끊어졌고, 현재는 일부 종목만이 각자 따로 열리고 있다.


3. 종목[편집]



3.1. 티볼[편집]


본 문서 중에서 가장 유명한 종목으로 그냥 전교대라고 하면 보통 티볼대회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나다순인 타종목과 달리 제일 먼저 서술하였다.

공식명칭은 ‘KBO 미래유소년지도자 전국교육대학교 티볼대회’이며, 2007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한국야구위원회에서 주관, 전국교육대학교 티볼위원회와 한국티볼연맹에서 후원,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협찬 하는 대회로 보통 6월 1~2주차에 열린다.

우승은 100만원, 준우승은 70만원, 공동 3위는 50만원, 최우수선수상/페어플레이상은 20만원을 주고, 트로피도 준다. 2014년 개정된 룰로 우승시 소형 트로피 증정 및 대형 트로피 1년간 대여, 3연속 우승시 대형 트로피를 영구 증정한다.

또한 매년 대회가 개최될 때마다 프로선수로 활약했던 선수들이 직접 경기장을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비법을 전수하는 원포인트 레슨 시간을 가진다. 원포인트 레슨 부문은 타격과 수비 부문이며, 프로선수는 투수, 타자 상관없이 두 분이 와서 지도해준다.


3.1.1. 참가 팀[편집]


독특한 점은 대학별로 각 지역 연고 구단의 후원을[2] 받는단 점인데 그래서인지 서울교대와 경인교대는 각각 LG/두산, SSG/KT 두 팀씩 나온다.

대학팀명자매구단비고
경인교육대학교마이볼kt wiz
경인교육대학교마이볼SSG 랜더스[3]
공주교육대학교-[x]한화 이글스[h]
광주교육대학교T-ingKIA 타이거즈[*h ]
대구교육대학교스윙삼성 라이온즈
부산교육대학교스윗스팟롯데 자이언츠
서울교육대학교뷰티풀LG 트윈스
서울교육대학교뷰티풀두산 베어스
전주교육대학교Hit & RunKIA 타이거즈[a]
진주교육대학교나인하트NC 다이노스
청주교육대학교워너비스한화 이글스[*a ]
춘천교육대학교캐치볼키움 히어로즈


3.1.2. 역대 전적[편집]


연도회수개최지우승준우승비고
2007제1회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부산교육대학교공주교육대학교
2008제2회서울교대 운동장광주교육대학교공주교육대학교
2009제3회서울교대 운동장서울교육대학교 (LG)대구교육대학교
2010제4회사직 야구장부산교육대학교청주교육대학교
2011제5회무등 야구장부산교육대학교청주교육대학교
2012제6회의암 야구장부산교육대학교진주교육대학교
2013제7회경인교대 운동장청주교육대학교공주교육대학교
2014제8회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부산교육대학교청주교육대학교
2015제9회마산 야구장청주교육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
2016제10회공주박찬호야구장광주교육대학교청주교육대학교
2017제11회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청주교육대학교광주교육대학교
2018제12회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부산교육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 (LG)[4]
2019제13회서울대공원 야구장광주교육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 (LG)[5]
2020COVID-19로 인해 미실시
2021제14회보은군 스포츠파크대구교육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6]
2022제15회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대구교육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7]
2023제16회보은군 스포츠파크부산교육대학교경인교육대학교 (SSG)[8]


3.2. 농구[편집]


공식명칭은 ‘전국교육대학교 학생 농구 대회’이며, 2001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KBO의 주관아래 이루어지는 티볼 대회나 협회의 지원을 받는 배구, 핸드볼 등의 종목과는 달리 학생들이 순수 자부담으로 대회가 치러져 아쉬운 점이 있지만 20년 넘게 지속되어 온 역사와 전통이 있는 대회이다. 2000년 초반에는 전년도 우승팀이 다음 대회를 개최를 하는 방식이었으며 점프볼 잡지에 몇 차례 기사가 실리기도 했던 대회이다. 대회 최다 우승팀은 10회 이상 우승을 차지한 대구교육대학교(다섯)이다.

경인교대가 통폐합 되고 나서도 한동안 경기캠퍼스 인천캠퍼스로 나누어서 출전하였다. 10개교대 외에 교원대학교 초등교육 농구 동아리와 제주대학교 초등교육대학 농구 동아리가 참가한 적도 있다.

2016년부터 통합 전국교육대학교 농구 대회가 신설되어 여름방학에는 재학생 전교대, 겨울방학에는 통합 전국교육대학교 농구 대회(교당 재학생, 졸업생 청년, 졸업생 장년 또는 졸업생 한 팀 등 최대 3팀까지 참가 가능; 현재까지 5회 대회까지 개최)를 개최한다.


3.2.1. 참가 팀[편집]


대학팀명비고
경인교육대학교클래스
공주교육대학교B.I.G
광주교육대학교슬램
대구교육대학교다섯
부산교육대학교클린
서울교육대학교서울교대 농구부
전주교육대학교CRANE
진주교육대학교티오피
청주교육대학교스캠프
춘천교육대학교ACE


3.2.2. 역대 전적[편집]




3.3. 배구[편집]


공식명칭은 ‘대한배구협회장기 전국교육대학교 배구대회’이며, 1999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매년 여름방학을 기해 개최되고 남자부와 여자부 별도로 진행한다.


3.3.1. 참가 팀[편집]


대학팀명비고
경인교육대학교빽어택
공주교육대학교공주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리베로
대구교육대학교Attackline
부산교육대학교A-quick
서울교육대학교서울교대 배구부
(남자부/여자부)
전주교육대학교Hyper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전광석화
진주교육대학교플라잉
청주교육대학교스파이크
춘천교육대학교우리배구부


3.3.2. 역대 전적[편집]


연도회수개최지우승비고
1999제1회남자부
여자부
2000제2회남자부
여자부
2001제3회남자부
여자부
2002제4회남자부
여자부
2003제5회남자부
여자부
2004제6회남자부
여자부
2005제7회남자부
여자부
2006제8회남자부
여자부
2007제9회남자부
여자부
2008제10회남자부
여자부
2009제11회남자부
여자부
2010제12회서울교대 체육관남자부서울교육대학교
여자부진주교육대학교
2011제13회광주교대 체육관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
2012제14회전주교대 체육관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부산교육대학교
2013제15회인제군 체육관남자부
여자부부산교육대학교
2014제16회대구교대 체육관남자부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여자부부산교육대학교
2015제17회남자부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여자부부산교육대학교
2016제18회인제군 체육관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진주교육대학교
2017제19회남자부
여자부
2018제20회인제군 체육관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광주교육대학교
2019제21회단양국민체육센터남자부
여자부
2020제22회단양국민체육센터남자부
여자부
2021제23회남자부
여자부
2022제24회단양국민체육센터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대구교육대학교
2023제25회단양국민체육센터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경인교육대학교


3.4. 배드민턴[편집]


평생에 최대 4번만 참가할 수 있는 대회


공식명칭은 ‘전국교육대학교 배드민턴대회’이며, 2012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참고로 전국교육대학교 교직원 배드민턴대회는 2002년부터 열렸다. 교대배라고도 부른다.

경기방식은 세계 혼합단체전인 수디르만컵 대회 규정을 참고로 하여 교대 사정에 맞추어 남복, 여복, 혼복, 남단, 혼복 등으로 수정하여 규정이 만들어졌다.


3.4.1. 참가 팀[편집]


대학팀명비고
경인교육대학교배드신
공주교육대학교HIGHCLEAR
광주교육대학교-[*x ]
대구교육대학교콕스
부산교육대학교화이트 버드
서울교육대학교콕테일
전주교육대학교배테랑
진주교육대학교디셉션
청주교육대학교약수터
춘천교육대학교날아라 닭털공


3.4.2. 역대 전적[편집]


연도회수개최지종합우승비고
2012제1회경인교육대학교
2013제2회경인교대(경기) 체육관1부 공주교육대학교
2부 춘천교육대학교
2014제3회진주교대 체육관진주교육대학교
2015제4회청주교대 체육관청주교육대학교
2016제5회춘천호반체육관
2017제6회청주교대 체육관청주교육대학교
2018제7회부산교대 체육관진주교육대학교
2019제8회공주교대 체육관
2020COVID-19로 인해 미실시
2021


3.5. 육상[편집]


공식명칭은 ‘전국교육대학교 육상경기대회’이며, 2013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한국대학육상경기연맹의 주최로 열린다. 남·녀 각각 100m, 400m, 남자 1,500m, 여자 800m, 100mR, 멀리뛰기, 높이뛰기, 포환던지기 등 남·녀 각 7개씩 14개 종목이 진행된다.


3.5.1. 참가 팀[편집]


대학팀명비고
경인교육대학교-[*x ]
공주교육대학교-[*x ]
광주교육대학교-[*x ]
대구교육대학교페이스메이커
부산교육대학교-[*x ]
서울교육대학교서울교대 육상부
전주교육대학교-[*x ]
진주교육대학교-[*x ]
청주교육대학교-[*x ]
춘천교육대학교춘천교대 육상부


3.5.2. 역대 전적[편집]


연도회수개최지종합우승비고
2013제1회충북 청주서울교육대학교
2014제2회경북 예천
2015제3회경북 구미공주교육대학교
2016제4회경북 예천공주교육대학교
2017제5회경북 구미공주교육대학교
2018제6회경북 영주서울교육대학교
2019제7회경북 예천서울교육대학교
2020COVID-19로 인해 미실시
2021
2022제8회진주교육대학교


3.6. 축구[편집]


공식명칭은 ‘KFA 전국교육대학교 축구대회’이며, 2014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남자부와 여자부 별도로 진행된다.


3.6.1. 참가 팀[편집]


대학팀명비고
경인교육대학교남자: 에인스
여자: 풋사과
공주교육대학교남자: 레드카드
여자: 어시스트
광주교육대학교남자: FC GNUE
여자: FFC
대구교육대학교적토마
부산교육대학교슈팅
서울교육대학교풋사랑
전주교육대학교남자: Pioneer
여자: 트라이엄프
진주교육대학교DCD
청주교육대학교남자: 빽태클
여자: TIBIA.B
춘천교육대학교FC CNUE


3.6.2. 역대 전적[편집]


연도회수개최지우승비고
2014제1회목포국제축구센터남자부
여자부
2015제2회목포국제축구센터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공주교육대학교
2016제3회파주 NFC남자부광주교육대학교
여자부춘천교육대학교
2017제4회파주 NFC남자부
여자부경인교육대학교
2018제5회목포국제축구센터남자부광주교육대학교
여자부광주교육대학교
2019제6회남자부대구교육대학교
여자부
2020COVID-19로 인해 미실시
2021
2022제7회목포국제축구센터남자부공주교육대학교
여자부부산교육대학교


3.7. 테니스[편집]


공식명칭은 ‘전국교육대학교 학생테니스대회’이며, 1988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타 종목과 달리 학생이란 말이 들어갔는데 이는 1985년부터 열린 ‘전국교육대학교 교수테니스대회’도 있기 때문이다.

대한테니스협회와 전국교육대학교 테니스동아리 연합회가 공동 주최하고, 일반부(3,4 학년)와 신인부(1,2 학년)로 나눠서 경쟁을 펼친다.


3.7.1. 참가 팀[편집]


대학팀명비고
경인교육대학교러브에이스
공주교육대학교POINT
광주교육대학교풋폴트
대구교육대학교백구
부산교육대학교ACE-LOVE
서울교육대학교탄아해
전주교육대학교포인트
진주교육대학교타이브레이크
청주교육대학교아가페에이스
춘천교육대학교테라


3.7.2. 역대 전적[편집]


연도회수개최지종합우승비고
1988제1회
1989제2회
1990제3회
1991제4회
1992제5회
1993제6회
1994제7회
1995제8회
1996제9회전주교육대학교
1997제10회전주교육대학교
1998제11회전주교육대학교
1999제12회
2000제13회전주교육대학교
2001제14회전주교육대학교
2002제15회
2003제16회
2004제17회전주교육대학교
2005제18회전주교육대학교
2006제19회
2007제20회
2008제21회
2009제22회전주교육대학교
2010제23회
2011제24회경인교대 체육관전주교육대학교
2012제25회전주교육대학교
2013제26회부산교대 체육관전주교육대학교
2014제27회전주교대 테니스장
2015제28회양구군 테니스파크청주교육대학교
2016제29회진주교대 테니스장공주교육대학교
2017제30회
2018제31회양구군 테니스파크
2019제32회양구군 테니스파크
2020COVID-19로 인해 미실시
2021


3.8. 핸드볼[편집]


공식명칭은 ‘핸드볼발전재단이사장배 전국교육대학교 핸드볼선수권대회’이며, 2010년부터 시작한 대회이다. 남자부와 여자부 별도로 진행된다.


3.8.1. 참가 팀[편집]


대학팀명비고
경인교육대학교위드볼
공주교육대학교-[*x ]
광주교육대학교-[*x ]
대구교육대학교플라잉
부산교육대학교손오공
서울교육대학교핸즈업
전주교육대학교Hit & Run
진주교육대학교-[*x ]
청주교육대학교피니쉬
춘천교육대학교춘천교대 핸드볼부


3.8.2. 역대 전적[편집]


연도회수개최지우승비고
2010제1회남자부
여자부
2011제2회SK올림픽핸드볼경기장남자부
여자부
2012제3회남자부
여자부
2013제4회SK올림픽핸드볼경기장남자부진주교육대학교
여자부
2014제5회남자부
여자부진주교육대학교
2015제6회SK올림픽핸드볼경기장남자부경인교육대학교
여자부부산교육대학교
2016제7회한국체육대학교 오륜관남자부공주교육대학교
여자부공주교육대학교
2017제8회SK올림픽핸드볼경기장남자부경인교육대학교
여자부경인교육대학교
2018제9회SK올림픽핸드볼경기장남자부경인교육대학교
여자부부산교육대학교
2019제10회서울교육대학교 체육관남자부경인교육대학교
여자부광주교육대학교
2020제11회남자부
여자부
2021제12회송호대학교 체육관남자부광주교육대학교
여자부
2023제13회횡성국민체육센터남자부부산교육대학교
여자부경인교육대학교


4. 기타[편집]


  • 청주교대 체육교육과는 전교대 입상으로 졸업 요건을 갈음할 수 있다.

  • 전반적으로 영남권 교대가 강세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전교대와 별도로 대구, 부산, 진주 3파전인 삼교대를 또 열 정도로 열정적인 점이 크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0:38:30에 나무위키 전국교육대학교 체육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종합대학 초등교육과인 이화여대, 제주대,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배구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도 참가한다.[2] 유니폼 등.[3] SK 와이번스에서 변경.[x] 별도의 동아리가 없으며 매년 지원자를 받아서 진행된다.[h] Home [a] Away [4] 원포인트 레슨 지도자 : 손민한, 이강돈[5] 원포인트 레슨 지도자 : 이만수, 이종열[6] 원포인트 레슨 지도자 : 조용준, 안치용[7] 원포인트 레슨 지도자 : 주형광, 김문호[8] 원포인트 레슨 지도자 :장종훈, 송진우(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