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9e7ba0a2-0a6f-44.jpg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Jeonju Commercial Information High School
全州商業情報高等學校
파일:gyogyo1.gif

개교1944년
유형상업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형태공립
교장문병원
교감백O경
교사 수64명
(2023학년도 기준)
학생 수403명
(2023학년도 기준)
주소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따박골2길 2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훈
3.2. 교가
4. 학과[1]
4.1. 회계정보과
4.2. 금융정보과
5. 학교 시설
6. 학교 특징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노선




1. 개요[편집]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全州商業情報高等學校)[2][3]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따박골2길 21에 위치한 상업고등학교이다.


2. 학교 연혁[편집]


날짜연혁
1944. 4. 24전주여자상업실천학교 개교
1946. 11. 8전주여자상업초급중학교 승격
1956. 4. 9전주여자상업고등학교 개교
1992. 1. 23전주시 중화산동 신축교사로 이전
2007. 9. 1전주영상미디어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3. 3. 1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21. 3. 1제32대 문병원 교장선생님 부임
2023. 1. 10제65회 졸업식(졸업생 총인원 26,736명)


3. 교훈 및 상징[편집]



3.1. 교훈[편집]


파일:전주상업정보고 교훈.gif


3.2. 교가[편집]


파일:상정고 교가.gif

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들을 수 있다.


4. 학과[4][편집]


과는 2개지만 사실 취업에는 영향이 없다.


4.1. 회계정보과[편집]



4.2. 금융정보과[편집]




5. 학교 시설[편집]


파일:상정고배치도.png


6. 학교 특징[편집]


처음에 들어왔을 때 취업을 목표로 들어왔겠지만 사실상 중간에 진학으로 바꾸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대졸로도 힘든 취업을 고졸로 할 수 있는 특혜가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학교에서 잘 하면 공무원은 물론이고 공기업, 대기업을 대졸보다 비교적 쉽게 들어갈 수 있다. 물론 개개인이 얼마나 열심히 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교사들이 많이 도와주기도 한다.
교사마다 다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컴퓨터활용능력, 워드프로세서, 전산회계운용사[5][6]를 요구하며, 수행평가 자격증 점수에도 들어가니 1학년 때 꼭 따두는 것을 추천한다. 한 번 따두면 3년 내내 자격증 점수는 만점으로 받을 수 있다.


7. 출신 인물[편집]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8.1. 버스 노선[편집]


정류소 명칭번호
전주상업정보고101, 108, 200, 354, 355, 381, 383
풍림아이원101, 108, 200, 354, 355, 381, 38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2:35:18에 나무위키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전에는 금융정보과 대신 e비즈니스과가 있었다.[2] 상정고라 줄여 부르기도 한다.[3] 워낙 이름이 자주 바뀌어서 택시를 타고 갈 때 기사들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는 '옛날 전여상' 또는 '영미고'라 하면 알아듣는다.[4] 예전에는 금융정보과 대신 e비즈니스과가 있었다.[5] 3학년 때 3급을 필기면제로 딸 수 있다.[6] 지역인재 9급 공무원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필수 자격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