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경상북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편집]


항목제12대 국회의원 선거경상북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편집]



2.1. 포항시·영일군·울릉군[편집]


포항시·영일군·울릉군
포항시, 영일군, 울릉군 일원[1]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성수(李聖秀)39,7383위


17.74%낙선
2최수환(崔守桓)30,5514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3.63%낙선
3최영만(崔榮萬)2,4896위

파일:신민주당 로고(흰색+배경).png

1.11%낙선
4박경석(朴敬錫)86,526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8.62%당선
5서종렬(徐鍾烈)58,2962위

ta-hash-start=w-77656618388e134648db01eecf7e79ee[[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6.02%당선
6이진탁(李鎭卓)6,3965위


2.85%낙선
선거인 수260,113투표율
87.14%
투표 수226,670
무효표 수2,674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ta-hash-start=w-53fdb13a424de26ee95ff49e5eee95b9[[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성수최수환박경석서종렬
결과17.74%13.63%38.62%(당선)26.02%(당선)
포항시17.11%15.54%38.51%(1위)24.73%(2위)
영일군19.78%11.96%35.83%(1위)28.48%(2위)
울릉군8.08%2.52%64.97%(1위)21.77%(2위)

2.2. 경주시·월성군·청도군[편집]


경주시·월성군·청도군
경주시, 월성군, 청도군 일원[2]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봉섭(沈鳳燮)16,0284위


8.50%낙선
2김일윤(金一潤)56,2752위

ta-hash-start=w-0486089d84114ddf543e7a76356de13c[[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9.86%당선
3박권흠(朴權欽)76,16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0.42%당선
4김순규(金順圭)39,9643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1.20%낙선
선거인 수220,372투표율
86.72%
투표 수191,103
무효표 수2,672


ta-hash-start=w-05d828b9f1d0e20a22b448302bf43458[[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일윤박권흠김순규
결과29.86%(당선)40.42%(당선)21.20%
경주시32.61%(2위)34.19%(1위)22.51%
월성군31.07%(2위)40.49%(1위)19.73%
청도군22.83%(2위)50.83%(1위)21.87%


민한당 김일윤 후보는 원래 국민당 소속이었다가 민한당으로 옮겨 2위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민한당이 공중분해되자 다시 국민당으로 복당했다.

2.3. 김천시·금릉군·상주군[편집]



김천시·금릉군·상주군
김천시, 금릉군, 상주군 일원[3]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한(李琪漢)11,1155위

ta-hash-start=w-527d10c49a0e170c47b750c5c9dd850a[[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5.73%낙선
2김한선(金翰宣)23,3494위


12.04%낙선
3김상구(金相球)95,6571위
49.33%당선
4이재옥(李在玉)33,0542위
17.04%당선
5박정수(朴定洙)30,7183위
15.84%낙선
선거인 수217,389투표율
90.51%
투표 수196,758
무효표 수2,865

김한선김상구이재옥박정수
결과12.04%49.33%(당선)17.04%(당선)15.84%
김천시17.46%32.26%(1위)9.26%30.39%(2위)
금릉군22.95%31.37%(1위)10.94%25.19%(2위)
상주군3.66%67.15%(1위)24.08%(2위)3.76%

2.4. 안동시·의성군·안동군[편집]


안동시·의성군·안동군
안동시, 의성군, 안동군 일원[4]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생(金永生)30,1602위
15.40%[5]당선
2오경의(吳景義)22,0094위
11.24%낙선
3신진욱(申鎭旭)27,0623위
13.82%낙선
4권정달(權正達)116,5561위
59.53%당선
선거인 수218,920투표율
78.56%
투표 수171,989
무효표 수2,584

김영생오경의신진욱권정달
결과15.40%(당선)11.24%13.82%59.53%(당선)
안동시7.86%15.69%(2위)9.51%66.92%(1위)
의성군24.48%(2위)5.30%21.58%48.62%(1위)
안동군12.82%13.40%(2위)9.49%64.27%(1위)


2.5. 구미시·군위군·칠곡군·선산군[편집]


구미시·군위군·칠곡군·선산군
구미시, 군위군, 칠곡군, 선산군 일원[6]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재홍(朴在鴻)79,6791위
46.99%당선
2장덕환(張悳煥)27,6483위
16.30%낙선
3이선희(李善喜)2,3914위
1.41%낙선
4김현규(金鉉圭)59,8132위
35.28%당선
선거인 수193,820투표율
88.74%
투표 수171,989
무효표 수2,458

박재홍장덕환김현규
결과46.99%(당선)16.30%35.28%(당선)
구미시55.64%(1위)12.16%30.87%(2위)
군위군42.47%(2위)8.64%47.79%(1위)
칠곡군40.41%(1위)23.93%33.80%(2위)
선산군42.90%(1위)20.10%35.67%(2위)

당초 신한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려다 정권의 외압으로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현규 의원이 2위로 당선되었고, 당선 직후 신한민주당에 복당하였다.

2.6. 영주시·영양군·영풍군·봉화군[편집]


영주시·영양군·영풍군·봉화군
영주시, 영양군, 영풍군, 봉화군 일원[7]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한구(吳漢九)66,1361위
44.50%당선
2박시균(朴是均)26,3803위
17.75%낙선
3이철희(李哲熙)20,2604위
13.63%낙선
4홍사덕(洪思德)35,8282위
24.10%당선
선거인 수169,000투표율
89.26%
투표 수150,844
무효표 수2,240

오한구박시균이철희홍사덕
결과44.50%(당선)17.75%13.63%24.10%(당선)
영주시40.66%(1위)15.27%14.03%30.02%(2위)
영양군45.04%(1위)21.50%9.52%23.92%(2위)
영풍군39.41%(1위)21.04%14.91%24.63%(2위)
봉화군53.50%(1위)15.30%14.18%17.00%(2위)

2.7. 달성군·고령군·성주군[편집]


달성군·고령군·성주군
달성군, 고령군, 성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차문(林且文)7,8024위
7.13%낙선
2김종기(金鍾基)44,5711위
40.77%당선
3김창환(金昌煥)27,0193위
24.71%낙선
4이용택(李龍澤)29,9192위
27.37%당선
선거인 수128,204투표율
86.84%
투표 수111,336
무효표 수2,025

김종기김창환이용택
결과40.77%(당선)24.71%27.37%(당선)
달성군38.73%(1위)19.18%34.53%(2위)
고령군45.53%(1위)23.88%(2위)20.96%
성주군40.21%(1위)32.39%(2위)22.44%

2.8. 영덕군·청송군·울진군[편집]


영덕군·청송군·울진군
영덕군, 청송군, 울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찬우(金燦于)23,8823위
19.84%낙선
2김중권(金重權)51,6241위
42.89%당선
3황병우(黃昞禹)27,6962위
23.01%당선
4박종욱(朴鍾郁)3,1095위
2.58%낙선
5오준석(吳俊碩)14,0424위
11.66%낙선
선거인 수139,537투표율
87.76%
투표 수122,460
무효표 수2,107

김찬우김중권황병우오준석
결과19.84%42.89%(당선)23.01%(당선)11.66%
영덕군36.76%(2위)39.66%(1위)14.00%7.51%
청송군4.77%29.28%(2위)57.65%(1위)5.13%
울진군11.80%55.28%(1위)9.74%20.38%(2위)

2.9. 영천시·영천군·경산군[편집]


영천시·영천군·경산군
영천시, 영천군, 경산군 일원[8]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재욱(朴在旭)25,0653위
17.17%낙선
2조병환(曺丙煥)6,7656위
4.63%낙선
3염길정(廉吉正)45,9781위
31.50%당선
4이재연(李在淵)23,5644위
16.14%낙선
5안병달(安柄達)8,8245위
6.04%낙선
6권오태(權五台)35,7242위
24.48%당선
선거인 수172,985투표율
87.50%
투표 수148,199
무효표 수2,279

박재욱염길정이재연권오태
결과17.17%31.50%(당선)16.14%24.48%(당선)
영천시6.60%41.30%(1위)3.67%31.59%(2위)
영천군11.61%31.01%(2위)5.94%35.17%(1위)
경산군25.73%27.61%(2위)28.86%(1위)13.73%


2.10. 문경군·예천군[편집]


문경군·예천군
문경군[9],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반형식(潘亨植)20,8932위
16.47%당선
2채문식(蔡汶植)62,4351위
49.23%당선
3김문석(金文錫)18,1703위
14.32%낙선
4김기수(金基洙)15,7384위
12.41%낙선
5신영국(申榮國)9,5625위
7.54%낙선
선거인 수144,686투표율
88.86%
투표 수128,571
무효표 수1,773

반형식채문식김문석김기수신영국
결과16.47%(당선)49.23%(당선)14.32%12.41%7.54%
문경군7.80%67.56%(1위)9.78%3.91%10.92%(2위)
예천군28.64%(1위)23.54%20.69%24.32%(2위)2.79%

[1] 지금의 포항시, 울릉군 일원[2] 지금의 경주시, 청도군 일원[3] 지금의 김천시, 상주시 일원[4] 지금의 안동시, 의성군 일원[5] 12대 총선 최저득표율 당선[6] 지금의 구미시, 군위군, 칠곡군 일원[7] 지금의 영주시, 영양군, 봉화군 일원[8] 지금의 경산시, 영천시 일원[9] 지금의 문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