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여담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

1.1.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
1.2. 도/특별자치도
2. 그 외



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표로 정리)[편집]


(2015년 10월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

1.1.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편집]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서울특별시중구126,237통폐합중구·성동구 갑233,702명
성동구 갑156,945중구·성동구 을200,513명
성동구 을141,033
은평구 갑202,549경계조정은평구 갑251,887명
은평구 을296,872은평구 을247,534명
강서구 갑316,162분구강서구 갑209,612명
강서구 을273,347강서구 을191,151명
강서구 병188,746명
강남구 갑301,688분구강남구 갑197,310명
강남구 을275,894강남구 을190,351명
강남구 병189,921명
과소:1개/과대:3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부산광역시중구·동구138,822통폐합중구·영도구176,125명
서구116,345서구·동구209,013명
영도구129,971
북구·강서구 갑153,050경계조정북구·강서구 갑166,940명
북구·강서구 을246,614북구·강서구 을232,724명
해운대구·기장군 갑302,644분구해운대구 갑226,067명
해운대구·기장군 을272,148해운대구 을196,648명
기장군152,077명
과소:3개/과대:1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대구광역시동구 갑128,619경계조정동구 갑155,086명
동구 을221,435동구 을194,968명
북구 갑144,742경계조정북구 갑192,005명
북구 을298,940북구 을251,677명
과소:1개/과대:1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인천광역시중구·동구·옹진군208,363구역조정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275,896명
서구·강화군 갑352,578서구 갑262,545명
서구·강화군 을218,339서구 을240,839명
연수구315,662분구연수구 갑162,911명
연수구 을152,751명
남동구 갑322,190경계조정남동구 갑261,233명
남동구 을208,458남동구 을269,415명
부평구 갑283,345경계조정부평구 갑278,930명
부평구 을273,372부평구 을277,787명
과소:0개/과대:4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광주광역시동구99,641구역조정동구·남구 갑168,835명
남구221,414동구·남구 을152,220명
북구 갑151,425경계조정북구 갑189,082명
북구 을295,782북구 을258,125명
과소:1개/과대:1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대전광역시유성구334,200분구유성구 갑162,893명
유성구 을171,307명
과소:0개/과대:1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울산광역시해당사항 없음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세종특별자치시해당사항 없음


1.2. 도/특별자치도[편집]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경기도수원시 갑299,473분구수원시 갑254,729명
수원시 을307,296수원시 을233,071명
수원시 병241,534수원시 병199,635명
수원시 정333,925수원시 정235,362명
수원시 무259,431명
성남시 분당구 갑289,742경계조정성남시 분당구 갑260,579명
성남시 분당구 을211,677성남시 분당구 을240,840명
양주시·동두천시302,297분구양주시204,566명
포천시·연천군201,025동두천시·연천군143,191명
여주군·양평군·가평군280,833포천시·가평군217,773명
여주시·양평군218,725명
고양시 덕양구 갑246,113경계조정고양시 갑278,456명
고양시 덕양구 을193,326고양시 을193,326명
고양시 일산동구285,153고양시 병274,156명
고양시 일산서구299,954고양시 정278,608명
남양주시 갑301,839분구남양주시 갑199,761명
남양주시 을348,511남양주시 을232,051명
남양주시 병218,538명
화성시 갑256,282분구화성시 갑175,113명
화성시 을330,614화성시 을174,560명
화성시 병237,223명
군포시287,738분구군포시 갑140,857명
군포시 을146,881명
용인시 갑332,424분구용인시 갑222,941명
용인시 을331,709용인시 을221,951명
용인시 병310,944용인시 병264,440명
용인시 정265,745명
김포시348,398분구김포시 갑180,050명
김포시 을168,348명
광주시311,005분구광주시 갑152,357명
광주시 을158,648명
과소:0개/과대:17개
기존 선거구
수원시 갑(장안구)
수원시 을(권선구 곡선동, 구운동, 권선1동, 권선2동, 금호동, 세류1동, 세류2동, 세류3동, 입북동, 평동)
수원시 병(팔달구, 권선구 서둔동)
수원시 정(영통구)
성남시 분당구 갑(백현동, 삼평동, 서현1동, 서현2동, 수내1동, 수내2동,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 운중동, 이매1동, 이매2동, 판교동)
성남시 분당구 을(구미동, 구미1동, 금곡동, 분당동, 수내3동,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고양시 덕양구 갑(고양동, 관산동, 성사1동, 성사2동, 원신동, 주교동, 화정1동, 화정2동, 흥도동)
고양시 덕양구 을(능곡동, 대덕동, 신도동, 창릉동, 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행주동, 화전동, 효자동)
남양주시 갑(금곡동, 양정동, 평내동, 호평동, 와부읍, 화도읍, 수동면, 조안면)
남양주시 을(도농동, 별내동, 지금동, 오남읍, 진건읍, 진접읍, 별내면, 퇴계원읍)
화성시 갑(남양동, 봉담읍, 우정읍, 향남읍, 마도면, 매송면, 비봉면, 서신면, 송산면, 양감면, 장안면, 정남면, 팔탄면)
화성시 을(기배동,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 반월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화산동, 동탄면)
용인시 갑(처인구(전체), 기흥구 동백동, 마북동)
용인시 을(수지구 상현2동, 기흥구 구갈동, 구성동, 기흥동, 보정동, 상갈동, 상하동, 서농동, 신갈동, 영덕동)
용인시 병(수지구 동천동, 상현1동, 성복동, 신봉동, 죽전1동, 죽전2동, 풍덕천1동, 풍덕천2동)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강원도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170,448통폐합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216,350명
홍천군·횡성군116,216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204,063명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133,649
과소:2개/과대:0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충청북도청주시 상당구경계조정+명칭변경청주시 상당구176,955명
청주시 흥덕구 갑청주시 서원구220,760명
청주시 흥덕구 을청주시 흥덕구253,060명
청원군청주시 청원구180,860명
보은군·옥천군·영동군137,647구역조정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175,530명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240,111증평군·진천군·음성군200,228명
과소:1개/과대:0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충청남도천안시 갑303,770분구천안시 갑217,486명
천안시 을300,763천안시 을217,742명
천안시 병169,305명
공주시111,476통폐합공주시·부여군·청양군214,956명
부여군·청양군103,480
아산시296,958분구아산시 갑153,461명
아산시 을143,497명
과소:2개/과대:3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전라북도전주시 완산구 갑149,853경계조정전주시 갑186,391명
전주시 완산구 을216,481전주시 을216,481명
전주시 덕진구287,881전주시 병251,343명
정읍시116,326통폐합정읍시·고창군175,699명
남원시·순창군114,350남원시·임실군·순창군143,714명
김제시·완주군183,118김제시·부안군146,024명
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104,027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168,759명
고창군·부안군116,375
과소:3개/과대:1개
인후3동을 전주시 덕진구 선거구에서 전주시 완산구 갑 선거구로 이동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전라남도여수시 갑121,876경계조정여수시 갑144,459명
여수시 을168,460여수시 을145,877명
순천시·곡성군309,727명구역조정순천시278,982명
광양시·구례군179,244광양시·곡성군·구례군209,989명
고흥군·보성군113,908통폐합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193,714명
장흥군·강진군·영암군138,187영암군·무안군·신안군183,770명
무안군·신안군125,389
과소:4개/과대:1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경상북도영주시110,012통폐합영주시·문경시·예천군230,117명
문경시·예천군120,105
영천시100,412구역조정영천시·청도군144,121명
경산시·청도군300,751경산시257,042명
상주시102,425통폐합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207,417명
군위군·의성군·청송군104,992
과소:5개/과대:1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경상남도김해시 갑216,227경계조정김해시 갑278,377명
김해시 을312,663김해시 을250,513명
밀양시·창녕군171,350통폐합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269,325명
의령군·함안군·합천군146,515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188,036명
산청군·함양군·거창군139,496
양산시299,725분구양산시 갑145,252명
양산시 을154,473명
과소:1개/과대:2개

광역자치단체19대 총선 선거구의 명칭기존 선거구의 인구변화획정된 선거구 명칭획정된 선거구 인구
제주특별자치도해당사항 없음


2. 그 외[편집]


헌법재판소는 '공직선거법 제 24조 제 2항 별표1 국회의원지역선거구구역표'가 헌법에 합치하다고 선고를 했으면 즉, 선거구 획정 시 인구비례는 3:1, 최소 인구와 최대 인구와의 편차를 상하 50%까지 허용하는 결정 선고를 내렸다고 가정하자.

인구기준이 어떻게 정했을지는 모르겠지만 10만 5천~30만 5천 정도로 하였을 것이다. 그러면 선거구가 20대 총선 때만큼 많이 변경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수도권은 의석 수가 늘어났을 것이고 농어촌 선거구 지역구는 농어촌 홀대론을 내세우며 지역구를 지켜냈을 확률이 높다. 즉,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구는 늘어났을 가능성이 높았다.

일단 광주 동구(99,614명)는 무조건 하한선 미달이었다. 그리고 경북 영천시(100,412명)도 하한선 미달이었을 확률이 높았다. 그 외 경북 상주시(102,425명), 충남 부여군-청양군(103,480명), 전북 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104,027명)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소 영호남에 각각 1석씩 줄어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광주광역시 안에서 합구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전남이나 전북에서 1석을 줄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아마 노원구(576,821명)는 60만명 미만이어서 노원구 갑을로 나눴을지도 모른다.

문제는 늘어나는 선거구인데, 인구 편차가 1:3이라고 하여도 많은 선거구들이 인구상한선 선거구를 초과하였을 것이다.

다음은 분구 확정되었을 선거구이다.
인천광역시 : 연수구(315,662명)
대전광역시 : 유성구(334,200명)
경기도 : 수원시(1,182,228명)(5분구), 남양주시(650,350명)(3분구), 용인시(975,077명)(4분구), 김포시(348,398명), 광주시(311,005명)
충청남도 : 천안시(604,533명)(3분구)

지자체 안에서 경계를 조정했거나, 다른 선거구에 일부 줬을 가능성이 높은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
서울특별시 : 은평구 갑/을(499,421명), 강서구 갑/을(589,509명), 강남구 갑/을(577,582명)
부산광역시 : 해운대구-기장군 갑/을(574,792명)
인천광역시 : 서구-강화군 갑/을(570917명), 남동구 갑/을(530,648명), 부평구 갑/을(556,717명)
광주광역시 : 북구 갑/을(447,207명)
경기도 : 성남시 분당구 갑/을(501,419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31:21에 나무위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여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