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물(탐라국)

덤프버전 :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군주
[ 펼치기 · 접기 ]

신화
시대
신화상족보상
첫째둘째셋째초대
양을나고을나부을나고을나왕
삼국
시대
족보상 (~6세기)
제15대제26대제27대제30대
고후담왕지운왕담왕
문헌상 기록 (7세기)
제?대제?대제?대
도동음률유리도라고여
족보상 (9~10세기)
제43대제44대제45대
경직왕민왕자견왕
기타 고후 |
왕자*
고청 |
도내*
고계
담왕 | 도동음률
고려
시대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왕자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조선
시대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우도지관
문충세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1. 개요
2. 생애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탐라국의 추장(酋長). 고려사, 고려사절요에서 등장한다.


2. 생애[편집]


壬子 以耽羅酋長周物·子高沒, 並爲雲麾大將軍上護軍.

(1024년 7월) 임자(壬子) 탐라의 추장 주물(周物), 아들 고몰(高沒)을 운휘대장군상장군에 임명했다.

고려사 세가 권제5 현종(고려) 15년


1024년 음력 7월 27일, 고려로부터 아들 고몰과 함께 운휘대장군 상호군(雲麾大將軍 上護軍)[1]에 임명되었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0:21:00에 나무위키 주물(탐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무신계로 종3품 장군직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