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짱구는 못말려(게임)

덤프버전 :

||


1. 개요
2. 변신 아이템
3. 공격 아이템
4. 소환구슬
5. 미니게임
6. 스테이지 공략
7. 적들
7.1. 놀이터
7.2. 마을
7.3. 도시
7.4. 우주선
7.5. 정글
7.6. 신전입구
7.7. 신전
8. 비기
9. 여담


1. 개요[편집]


1997년에 Reality Weaver에서 제작하고 삼성전자에서 유통한 한국산 최초의 짱구 게임. 이 게임의 흥행으로 후속작도 여러 편 나왔지만 시리즈 중에서 가장 평이 좋은 건 단연 1편, 발매 이후로도 한참 동안 여러 곳에서 증정품으로 끼워주기도 했는지라 90년도 전후생들에게 추억의 게임으로 남아있다.

짱구는 못말려가 수입된 초창기, 서울문화사에서 로컬라이징된 판으로 한창 주가를 올리면서 짱구는 못말려 최초 극장판인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부리부리 왕국의 보물이 공개된 시기에 나온 게임이다.[1] 반다이가 예전에 (대부분 토세 등지에 하청을 줘서 만든) 게임보이/슈퍼패미콤 용으로 만든 짱구 게임들과 진행 양상이 비슷하다. 그래픽도 깔끔하고 레벨디자인과 볼륨도 썩 괜찮은 편. 중간 이벤트를 포함해 모든 씬이 한국어 풀 더빙이다. 처음 보는 몹이나 힘든 지형을 지나면 이벤트 씬이 발생하는 등 상당히 퀄리티가 높다. 다만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편에 비해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편의 완성도가 약간 떨어지고, 미니게임과 본게임 사이의 전환 등[2] 디테일한 부분에 약간 아쉬움이 남는 작품.

스토리는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편과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편을 그대로 사용했다. 기본적인 장르는 슈퍼마리오 류의 횡스크롤 액션.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편은 비교적 힘이 들어가 있으나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편은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편에 비해 중간중간 이벤트나 애니메이션, 대사 등이 부실하다.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편은 3/4 스테이지는 슈팅게임으로 장르가 일순간 변모.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편은 맵이 엄청나게 넓어지며 숨겨진 장소가 곳곳에 포진되어있다. 전방 점프를 할 때 일반 게임과 다르게 점프보다 앞으로 가는 판정이 먼저 나가기 때문에 낭떠러지 끝에서 점프할 때 조심해야 한다. 시스템상 세이브 포인트가 없어 물이나 낭떠러지로 떨어지면 대책이 없다. 그 외에도 겹쳐진 적을 밟으면 한명은 잡지만 나머지 적에게 무조건 피격판정이 나는 버그가 있으니 자제하자.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편의 보스는 짱구의 공격 한 번 한 번에 반응하기 때문에 어렵지만,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편의 보스들은 3~4방을 밟아줘야 반응한다. 체력 깎기는 쉽지만 역습에 조심.

짱구 엄마(박영란)짱구 아빠(맹병태), 그리고 짱구흰둥이가 배경으로 있는 메인 화면에서 아무 것도 안 하고 1분 이상 가만히 있으면 헉헉거리는 신음소리를 내며 짱구가 "빨리 선택하라구!" 라고 재촉한다. 그러게 가만히 앉아있지 누가 춤추랬냐? 근데 앉아만 있던 부모님도 진땀을 뺀다. 심지어 옆에있던 흰둥이도 같이 지친다. 잘 보면 죄철을 위해 좌우반전한 단행본판을 기준으로 하여 캐릭터를 디자인했기에, 짱구 엄마의 머리 방향이 반대다.

중간 세이브 기능은 없지만 스테이지는 세이브되어 한 번이라도 진행했던 스테이지는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 마음대로 고를 수가 있다.

패키지 내부에 부록으로 짱구 스티커 모음이 한 장 들어있었다.

Windows XP에서도 플레이는 가능하다. 안 된다면 약간 설정을 조정해서 플레이 가능하다. 다만 '짱구 엄마'나 '유리 엄마' 같은 소환 구슬 사용 시 랙이 걸려버리는 경우가 있다. BGM의 경우 다른 짱구 게임처럼 게임 설치 파일에 음악이 내장된 게 아니라, 하프라이프처럼 CD 자체에 BGM이 내장되어 있다. 이 CD를 오디오나 CD 플레이어에 넣으면 BGM을 들을 수 있다. 불법복제를 막기 위해 이렇게 만들었다 카더라.


2. 변신 아이템[편집]


먹자마자 효과가 발휘되어 아이템 종류에 맞게 변신하며 적에게 공격받으면 바로 풀린다.




3. 공격 아이템[편집]


단점이 있다면 이 게임이 아이템 배치가 영 좋지 않아서 공격 아이템들은 (특히 야구공) 거의 다 2 스테이지에만 등장한다는 거다. 다른 스테이지에서 쓰려면 여기서 모아서 아껴서 가져가야 한다.



여담으로 이 물폭탄을 이용해 점수와 짱구의 HP를 무제한으로 늘리는 버그가 있다. 8번 비기 항목 참조.


4. 소환구슬[편집]


짱구는 못말려의 캐릭터들이 출동해서 짱구를 도와주는 아이템. 성우는 수입 후 초창기 성우기 때문에 옛날부터 짱구를 보던 세대가 아닌 사람들에겐 처음 듣는 목소리일 것이다.[7]








5. 미니게임[편집]


그닥 보상이 특별히 주어지지 않는다. 스테이지 중반에 게임기 모양을 한 오브젝트에 접근하면 미니게임이 실행된다. 안 하고 피해 가거나 일부러 틀려서 대충 넘어가도 상관은 없지만, 최종 스테이지의 퍼즐 맞추기만큼은 꼭 클리어해야 한다.







6. 스테이지 공략[편집]










7. 적들[편집]



7.1. 놀이터[편집]


놀이터 초반에는 유리, 훈이, 맹구가 울면서 "놀이터에서 노는데 초등학생 깡패들이 자기들 구역이라면서 쫓아냈어" 라고 짱구에게 도움을 청하는데 하지만 정작 이 깡패들의 모습은 원작에서 장미반 아이들로 등장하는 아이들이다.. 사실상 외관만 그대로 도장 찍어낸 듯하다.




참고로 저 위에 둘은 없에면 아야!라고 소리를 치는데 얘는 '퍽' 소리가 난다.. 살 때문이야


7.2. 마을[편집]









7.3. 도시[편집]






7.4. 우주선[편집]





7.5. 정글[편집]






7.6. 신전입구[편집]







7.7. 신전[편집]





8. 비기[편집]


제작하다 발생한 버그인 것인지 아니면 일부러 만든 치트키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두 가지의 비기가 존재한다.

첫 번째 비기는 도시, 하이그레 기지에서 F5를 누르면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간다. 도시에서 F5를 누르면 하이그레 기지, 하이그레 기지에서 F5를 누르면 정글로 넘어간다. 단, 다른 스테이지에서는 먹히지 않는다.

두 번째 비기는 라이프(하트)늘리기 비기인데 작중 최강이다. 물폭탄을 발사해서 적을 죽이는 순간 엔터키를 누르면 적이 죽는 효과음과 함께 하트가 늘어나는 효과음이 동시에 들린다. 그 상태로 기다리다가 다시 엔터를 누르면 점수는 점수대로 올라가고 하트는 하트대로 올라가게 된다. 시간이 오래지나면 지날수록 하트와 점수가 더 많이 올라간다.[20]
타이밍이 조금 중요하긴 한데 몇 번 시도하면 금방 된다. 그리고 물폭탄이여야만 이 치트키가 먹힌다. 야구공은 안 먹히므로 참고 바람.

첫 번째 비기는 일부러 만든 치트키일 가능성이 높으나 두 번째 비기는 물폭탄의 판정에 관련된 버그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9. 여담[편집]


게임방송인들이 추억에 이끌려서 오랜만에 플레이해 보기도 했는데, 아구트위치에서 이걸 27트 만에 클리어했다. 컵헤드다크소울 난이도에 비유되었다.

인터넷 검색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파일을 실행해보면 BGM이 재생되지 않는다.

스테이지 선택 화면의 짱구 앞에 놓인 게임기는 다름아닌 메가 드라이브의 후기형 모델인 메가 드라이브 2인데, 당시 삼성전자에서 '슈퍼알라딘보이Ⅱ'라는 이름으로 수입하여 판매한 바 있다.

[1] 짱구가 엄마 이름을 영란으로 말하는 등 등장인물 이름도 당연히 서울문화사의 번역을 따른다.[2] 스테이지 중간에 오락기가 덩그러니 놓여있고 지나가면 갑자기 아무 설명도 없이 스타트한다.[3] 정확히는 스페이스를 누를 때마다 공중에서 낮게 점프를 한다.[4] 빠르게 전진할 때 깡패의 야구공에 맞으면 자기가 대미지를 받는다.[5] 다만 보스전에서는 나름 유용하다.[6] 키가 짱구보다 큰데 올라갈 발판이 없기 때문. 근데 닭이나 흰둥이로 처리해버려도 된다.[7] 신짱구(맹짱구) 역의 박영남, 봉미선(박영란) 역의 강희선, 신영식(맹병태) 역의 오세홍과 같이 익숙한 성우진은 1999년 짱구는 못말려가 SBS에서 방송된 후에야 결정된 것이다.[8] 이게 보스전에서 사용하면 오히려 대미지가 1회밖에 들어가지 않아서 독이 된다. 꿀밤 공격은 2~3연타까지 가능하다.[9] 전체공격이라는 점으로 인해 장단점이 확실하다. 신전 입구나 신전에서 박쥐들을 처치하는 데에는 굉장히 유용하나, 보스전에서는 하트를 하나밖에 깎지 못한다.[10] 회색이라고 주장하는 측도 있는데, 사실 잘 보면 회색으로 보이기도 한다.[11] 놀이터에서 1개.[12] 방영 초기에 짱구가 곧휴(…)에 그리는 코끼리 그림에서 따온 것이다.[13] 간혹 요시나가 미도리(채성아)라고 주장하거나 착각하는 이들이 있지만, 명백히 용숙이다. 아무래도 머리모양이 한몫한 듯…[14] 게임 내에선 아주 사납고 난폭하게 나오지만 원작에선 전혀 악역이 아니며, 불량학생들의 두목이라 되어 있지만 실제 캐릭터는 그와는 정 반대로 의리있고 오히려 일진 불량배들을 혼내 주는 인물이다.[15] 다른 슈팅게임들의 보스와 달리 뒤에서 상하로 움직인다고 철구를 피할 수는 없다. 적절히 앞으로 나와야 할 때도 있다.[16] 총 30칸이다.[17] 다만 조심할 점은 밑에 있더라도 미사일에 닿지 않는 정중앙에 있어야 하트를 잃지 않는다.[18] 짱구와 친구들은 설정상 유아부라서 짱구보단 나이가 많다.[19] '야 너겟 낑 이히흐 히흐 히히흐흐 히흐' 사실 이 울음소리는 몇몇 영화에서도 원숭이 사운드로 쓰이는 프리배포 음성이다. 이 중 일부는 메이플스토리의 루팡에게도 쓰이게 된다.[20] 화면에 개수 출력 한계를 넘어 계속계속 올라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7:53:53에 나무위키 짱구는 못말려(게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