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나일강

덤프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007229 10%,transparent 10%), linear-gradient(to bottom, #d21034 10%, #FFF 10%, #FFF 90%, #000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888"
[[수단 공화국|[[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수단 공화국
관련 문서
}}}}}} }}}
<^|1><height=34><colcolor=#fff><bgcolor=#0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78930 10%,#FCDD09 10%,#FCDD09 90%,#da121a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에티오피아
관련 문서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한반도 ]
[ 아시아 ]

아시아
중국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아이허
동남아시아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추 강 · 일리 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 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 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아프리카 ]
[ 아메리카 ]



청나일강
Blue Nile
파일:청나일강.jpg
발원지에티오피아 고원
하구나일강
유입 해역지중해
길이1,450 km
유역에티오피아 · 수단
유역 면적325,000km2

1. 개요
2. 상세
3. 기타



1. 개요[편집]


청나일강아프리카의 강이다.


2. 상세[편집]


청나일강은 나일강의 뿌리가 되는 강으로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해서 흐른다. 청나일강은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해서 흐른 뒤에 르완다에서 시작되는 백나일강과 합쳐진다. 청나일강은 백나일강과 함께 나일강을 이루면서 이집트, 수단, 남수단을 통과해서 흐른다.

길이는 본류 취급받는 백나일강에 비해서는 훨씬 짧지만 우기에는 유량이 백나일강을 압도하게 된다. 전체적인 유량으로도 나일강 하류 유량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나일강의 다른 지류인 아트바라 강도 청나일강과 비슷하게 우기에는 유량이 급증하여 백나일강을 뛰어넘는 특징을 가진다.

청나일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우기에 유량이 너무 높아져 물의 색이 검은색에 가깝게 보이기 때문이다. 한국어로 '푸른색'이 녹색과 청색 둘을 의미하듯, 수단어로 '검은색'은 파란색을 의미하기도 한다.

3. 기타[편집]


청나일강은 상술했다시피 백나일강과 함께 나일강을 이루는 강이지만, 에티오피아 정부에서 청나일강에 댐을 세운다고 밝히면서 에티오피아와 이집트는 나일강을 두고 수원 갈등이 있는 편이다. 이집트의 경우, 나일강이 이집트의 식수원이지만, 에티오피아측에서 전기 생산을 위해 댐을 세울려고 하면서 갈등이 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이여수스가 청나일강 일원에 2011년부터 진행하는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 공사 과정에서 벌어진 이집트,수단과의 갈등을 성공적으로 중재해낸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