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탈 팰리스 FC

덤프버전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3-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크리스탈 팰리스 FC/2023-24 시즌 문서
크리스탈 팰리스 FC/2023-24 시즌번 문단을
크리스탈 팰리스 FC/2023-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크리스탈 팰리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의 어원이 된 과거 영국의 건축물에 대한 내용은 수정궁 문서
수정궁번 문단을
수정궁# 부분을
, 여자 축구 구단에 대한 내용은 크리스탈 팰리스 FC(여자)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Crystal Palace FC
정식 명칭Crystal Palace Football Club[1]
별칭이글스 (The Eagles)
글레이저스 (The Glaziers)
약칭CRY
창단1905년 9월 10일 (118주년)
소속 리그프리미어 리그 (Premier League)
연고지런던 크로이던 구 (Croydon) 사우스 노우드 (South Norwood)
홈구장셀허스트 파크 (Selhurst Park)
(25,486명 수용)
라이벌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 M23 더비
밀월 FC, 찰턴 애슬레틱 FC - 남런던 더비
구단주스티브 패리시
해리스 블리처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Harris Blitzer Sports & Entertainment)[2]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로이 호지슨 (Roy Hodgson)
주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엘 워드 (Joel Ward)
부주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크 게히 (Marc Guehi)
역대 한국인 선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청용 (2015~2018)
공식 웹사이트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우승 기록
EFL 챔피언십 (2부)
(2회)
1978-79, 1993-94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크리스티안 벤테케 (Christian Benteke)
(2016년, From 리버풀 FC, 2,800만 £)
최고 이적료 방출아론 완비사카 (Aaron Wan-Bissaka)
(2019년, To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5,000만 £)
최다 출장짐 캐넌 (Jim Cannon) - 660경기 (1973-1988)
최다 득점피터 심슨 (Peter Simpson) - 165골 (1929-1935)
리그 득점왕
(1회)
이안 라이트(1991-1992)
2023-24 시즌 유니폼
파일:2324 크리스탈 팰리스 홈.jpg파일:2324 크리스탈 팰리스 원정.jpg파일:2324 크리스탈 팰리스 써드.jpg파일:2324 크리스탈 팰리스 GK 홈.jpg파일:2324 크리스탈 팰리스 GK 원정.jpg
HOMEAWAYTHIRDGK HOMEGK AWAY
메인 스폰서유니폼 메이커
파일:Cinch.png파일:마크론 로고.png


1. 개요
2. 상징
2.2. 독수리
3. 특징
3.1. 댄스
3.2. 울트라스
4. 더비 매치
5. 역사
5.1. 시즌별 리그 순위
6. 여담
7. 선수단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1.bp.blogspot.com/grace%2527s+day+out+2011+004.jpg
1905년 영국 런던의 남부 지역을 연고로 창단한 축구 클럽. 인근에 있었던 런던의 건축물 크리스탈 팰리스(Crystal Palace, 수정궁)에서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고, 이 때문에 대한민국의 축구 팬들도 흔히 수정궁이라고 애칭 삼아 부른다.

2013년 프리미어 리그 승격 이후로 현재까지 쭉 두자릿수 순위를 유지하며, 한번도 강등을 당한적이 없는 팀이다.


2. 상징[편집]



2.1. 수정궁[편집]


  • 1851년 당시 세계최초로 개최되는 제 1회 만국박람회를 위해, 벽돌을 사용하지 않고 유리와 철을 중심으로 건물을 만들었는데 이것을 수정궁 즉, 크리스탈 팰리스라고 불렀다. 이 때 일했던 노동자들이 힘을 모아 1905년 축구단을 창단해 '크리스탈 팰리스' 라는 이름을 붙였고 팀 애칭은 유리 세공일을 하던 노동자들의 이름을 따 유리세공사(Glaziers)로 불렀다. 팀 엠블럼에는 화재로 소실되고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옛 수정궁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런던에 소재한 자치구인 크로이던 구를 연고로 한다.


파일:external/kjellhanssen.files.wordpress.com/1906-crystal-palace.jpg

  • 홈구장 셀허스트 파크 (Selhurst Park)와 홈 유니폼 색깔은 블루와 레드이다.
파일:external/www.daveling.co.uk/march2014holmesdale.jpg


2.2. 독수리[편집]


  • 크리스탈 팰리스의 엠블럼에 독수리를 도입한 시기는 1973년부터 1976년까지 감독으로 있었던 말콤 앨리슨 시절이다. 서포터즈의 또 다른 애칭은 독수리들 (Eagles).
파일:external/365.worldsoccershop.com/crystal-palace-logos.jpg

  • 마스코트는 독수리.
파일:external/www.croydonguardian.co.uk/2595553.jpg

  • 2010년 9월, 크리스탈 팰리스 홈 구장 셀허스트 파크에 흰머리 독수리 카일라가 첫 선을 보였다. 벤피카처럼 실제로 경기장에 독수리가 날아다닌다.



파일:external/i.dailymail.co.uk/26A2538600000578-0-image-a-17_1426336413047.jpg

  • 2020년 6월 19일, 독수리 카일라가 세상을 떠났다고 구단측에서 발표했다.


3. 특징[편집]



3.1. 댄스[편집]


  • 축구 구단치고는 드물게 치어리더들을 보유한 팀이기도 하다. 크리스탈 팰리스는 EPL 유일의 치어리더를 보유한 클럽이다. 덕분에 외국에서는 크리스탈 팰리스의 가장 큰 전력은 치어리더들이라는 유머를 하기도 한다. 경기장을 방문하면, 치어리더들이 팬들에게 함께 사진도 찍어준다.

파일:external/ncache.ilbe.com/ecd63e1301e1e5f1a51d05c13582c673.jpg
  • 치어리더들은 음악에 맞춰 율동을 선보이는 뮤직비디오를 공개하는데, 그때마다 누리꾼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얻고 있다.

  • 크리스탈팰리스의 치어리더 크리스탈스에게 정신이 팔린 캐스터해설위원이 방송사고를 냈다.


댄스 머신이라 불리던 앨런 파듀 감독의 댄스 움짤이 유명하다. 2015-16 FA컵 결승전이었는데, 수정궁이 선제골을 넣자 신나게 댄스. 그리고 3분 후, 골을 먹고 역전패를 당했다.
파일:external/file2.instiz.net/966ba7e6210576dd90ca7f600ca5bf2b.gif


3.2. 울트라스[편집]



▲ 크리스탈 팰리스와 울트라스 응원문화

치어리더와 울트라스, 서로 상극인 응원문화가 공존하는 묘한 팀이다. Homesdale Fanatics 라는 이름으로 잉글랜드에서 거의 없다시피 한 울트라스가 활동한다. 유투브 검색해보면 이들을 주축으로 한 팰리스 어웨이 팬 2000명이 아스날 홈팬 5만 여 명을 데꿀멍시키는 영상을 찾을 수 있다.


4. 더비 매치[편집]



4.1. M23 더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M23 더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런던 더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런던 더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크리스탈 팰리스는 템스 강 이남, 런던의 남쪽에 있는 팀이다. 홈구장 셀허스트 파크 가까이에 유럽 최고의 코리아타운이라고 불리는 뉴 몰든(New Malden)지역이 있다. 자동차로 40분, 기차로 50분 거리라서 가깝다고 하기는 힘들다.[3]


5. 역사[편집]




크리스탈 팰리스, 즉 수정궁의 운영 회사는 원래 1861년 아마추어 팀인 크리스탈 팰리스 FC를 창단 및 관리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1875년에 금전적 문제로 인해 다음 해 해당 축구팀의 운영을 중지했지만 1890년대 수정궁 공원에 좋은 축구 구장을 짓고 FA를 설득해서 95년부터 FA컵 결승전을 그 구장에서 열리도록 했다.



그 후 회사 측은 프로 축구단을 만들어서 구장으로 인한 수익을 높여 보겠다는 결심을 했고, 아스톤 빌라의 도움을 받아 1905년 축구단을 만들고, 초대 감독으로 롭 도슨을 임명한다.

창단 직후 같은 해 창단한 첼시와 지역에서 축구를 하던 사우스햄튼과 더불어 잉글랜드 축구협회(FA)에 풋볼 리그에 대한 가입 신청을 했으나 크팰만 거절당했다. 그래서 당시 풋볼 리그와는 경쟁 관계에 있던[4] 서던 리그의 2부에 참가했고, 감독이 전에 부임했던 팀인 미들즈브러를 포함해 여러 곳에서 프로 선수 16명을 모아 와서 첫 시즌에 2부 리그를 우승, 바로 승격해버린다.

1차 대전 이후까지 서던 리그 1부에서 뛰다 1920년 서던 리그의 1부 참가팀 대부분이 풋볼 리그의 3부 리그로 편입될 때 비로소 크리스탈 팰리스도 풋볼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주로 하부리그에서 축구를 하다가 버트 헤드 감독 시대인 1969년에야 최상위 리그에서 뛸 수 있게 되었을 정도로 과거 힘겨운 세월을 보냈다.



이후에도 2~3부 리그를 전전하다 1976년에 팀의 선수였던 테리 베너블스가 은퇴하자마자 감독으로 승진하여 팀을 잘 추스리고 유망주들을 잘 키워내서 폭풍 승격을 이뤄내며 3부리그에 있던 팀을 3년만에 1부 리그까지 승격시키는 데 성공한다.



그리고 베너블스 감독이 떠난 후 크리스탈 팰리스는 8년동안 1부리그로 올라오지 못하다가. 1984년에 취임한 스티브 코펠[5] 감독의 지휘 아래 이안 라이트의 활약에 힘입어 1989년 1부 리그로 돌아왔다.
89-90 시즌 리그에서는 당대 최고의 팀이었던 리버풀에게 9-0으로 두드려맞는 등 고전 끝에 최종 순위 15위에 그쳤지만, FA컵에서는 역사에 기록될만한 난타전 끝에 그 리버풀을 4-3으로 제압하고 결승에 오른다. 이때 결승골을 집어넣은 사람이 뉴캐슬 유나이티드의 감독직을 역임하고 2015년 팰리스의 감독으로 돌아온 앨런 파듀. 웸블리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만난 팰리스는 연장 끝에 맨유를 3-3으로 물고 늘어져 결승전 재경기까지 이끌어냈으나 결국 준우승에 머물렀다. 그러나 팀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팰리스는 이어지는 90-91 시즌 역사상 최고 성적인 1부 리그 3위를 기록하고 풀 멤버스 컵[6] 우승까지 거둔다. 이때가 팰리스의 가장 빛났던 영광의 순간.

그러나 1991년에 이안 라이트가 아스날로 팔려간 후 팰리스의 행보는 순탄치 않았다. 가레스 사우스게이트가 선두로서 고군분투했으나 프리미어 리그의 첫시즌인 1992-93 시즌 득실차에서 밀려 20위로 강등당한다(당시 22개팀).[7] 이듬해 2부 리그를 우승하며 프리미어 리그로 돌아왔지만, 1994-95 시즌 리그의 팀이 22개에서 20팀으로 줄어들면서 4팀이 강등당하게 되는 바람에 팰리스는 22개 팀 중 19위를 기록하고도 또다시 FA에 의해서 강등의 아픔을 당하고 만다. 이후 절치부심해서 1996-97 시즌에 승격전도사 데이브 바셋 감독의 지도 하에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지만 다음 시즌에 결국 강등당했다.



1998년 강등 이후 수년 동안 2부 리그에서 법정관리를 당하는 등 부진한 세월을 보낸 팰리스는 2003-04 시즌 누구도 예상치 못했던 스트라이커 앤디 존슨의 맹활약을 앞세워 2004년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지만, 존슨이 프리미어 리그에서 21골을 퍼부었음에도 이듬해의 강등을 피할 수는 없었다. 2004-05 시즌은 37라운드까지도 강등 확정 팀이 없었을 정도로 치열한 강등권 싸움이 벌어졌었다..
이후 풋볼 리그 챔피언쉽에서 재정난으로 인한 승점 삭감에 또다시 법정관리 등의 험한 꼴을 겪어 오던 팰리스는 2012-13시즌 누구도 예상치 못했던 신성 윙포워드 맨유에서 임대온 윌프리드 자하의 맹활약을 앞세워 2013년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고, 그후 현재까지 1부리그에 생존해있다.

5.1. 시즌별 리그 순위[편집]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역대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05-06-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21
1906-07-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9
1907-08-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4
1908-09-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6
1909-10-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7
1910-11-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4
1911-12-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7
1912-1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5
1913-14-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2
1914-15-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5
1915-16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16-17
1917-18
1918-19
1919-20-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3
1920-2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
1921-22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4
1922-23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6
1923-24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5
1924-25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1
1925-2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3
1926-2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27-2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28-2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
1929-30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9
1930-3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
1931-3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4
1932-3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33-3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2
1934-3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35-3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36-3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4
1937-3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7
1938-3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
1939-40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40-41
1941-42
1942-43
1943-44
1944-45
1945-46
1946-4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8
1947-4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3
1948-4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2
1949-50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7
1950-5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4
1951-5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9
1952-5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3
1953-5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2
1954-5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0
1955-5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3
1956-5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0
1957-5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4
1958-594풋볼 리그 포스 디비전7
1959-604풋볼 리그 포스 디비전8
1960-614풋볼 리그 포스 디비전2
1961-6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5
1962-6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1
1963-6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2
1964-65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7
1965-66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1
1966-67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7
1967-68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1
1968-6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
1969-70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0
1970-71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8
1971-72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0
1972-73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1
1973-74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0
1974-7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5
1975-7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5
1976-7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3
1977-78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9
1978-7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
1979-80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3
1980-81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2
1981-82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5
1982-83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5
1983-84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8
1984-85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5
1985-86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5
1986-87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6
1987-88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6
1988-8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3
1989-90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5
1990-91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3
1991-92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0
1992-931FA 프리미어 리그20
1993-94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
1994-951FA 프리미어 리그19
1995-96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3
1996-97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6
1997-981FA 프리미어 리그20
1998-99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4
1999-00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5
2000-01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1
2001-02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0
2002-03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4
2003-04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6
2004-051FA 프리미어 리그18
2005-062풋볼 리그 챔피언십6
2006-072풋볼 리그 챔피언십12
2007-082풋볼 리그 챔피언십5
2008-092풋볼 리그 챔피언십15
2009-102풋볼 리그 챔피언십21
2010-112풋볼 리그 챔피언십20
2011-122풋볼 리그 챔피언십17
2012-132풋볼 리그 챔피언십5
2013-141프리미어 리그11
2014-151프리미어 리그10
2015-161프리미어 리그15
2016-171프리미어 리그14
2017-181프리미어 리그11
2018-191프리미어 리그12
2019-201프리미어 리그14
2020-211프리미어 리그14
2021-221프리미어 리그12
2022-231프리미어 리그11


5.2. 역대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리스탈 팰리스 FC/역대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편집]



  • 2014-15 시즌, 이청용이 입단했었던 팀이다.


  • 중국 축구팬들한테도 잘 알려져 있는 팀인데 예전에 판즈이가 3 시즌, 순지하이가 1시즌 동안 이 구단에서 뛴 적이 있었다.

  • 2014-15 시즌 EPL을 구성하는 20개 팀 중 하나. 2013-14 시즌 EPL 구단 가운데 가장 늦게 문서가 생성되었다.

  • 정말 꾸준하게 중위권[8]을 찍으며 10년 이상 EPL에서 생존하고 있는 클럽이다. 과거 생존왕의 대명사로 불렸던 위건 애슬레틱처럼 드라마틱한 강등탈출 과정은 없지만, 세계에서 가장 치열한 리그인 프리미어리그에서 빅클럽이 아닌데도 이렇게 안정적으로 살아남는 클럽은 드물다. 중하위권 팀의 퍼거슨이라고 불리는 로이 호지슨 감독의 능력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 Apple TV+ 오리지널 시리즈인 테드 래소의 주역급 팀, AFC 리치먼드의 모티브가 된 팀이다. 극중 연고지나 팀컬러도 똑같고 크리스탈 팰리스의 홈 구장인 셀허스트 파크에서 촬영이 진행되었다.


7. 선수단[편집]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크리스탈 팰리스 FC 2022-23 1군 명단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샘 존스톤Sam Johnstone
2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조엘 워드Joel WardC
3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타이릭 미첼Tyrick Mitchell
5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제임스 톰킨스James Tomkins
6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마크 게히Marc GuéhiVC
7MF파일:프랑스 국기.svg마이클 올리스Michael Olise
8MF파일:콜롬비아 국기.svg헤페르손 레르마Jefferson Lerma
9FW파일:가나 국기.svg조던 아이유Jordan Ayew
10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에베레치 에제Eberechi Eze
11MF파일:브라질 국기.svg마테우스 프랑사Matheus França
13GK파일:스페인 국기.svg비센테 과이타Vincente Guaita
14FW파일:프랑스 국기.svg장필리프 마테타Jean-Philippe Mateta
15FW파일:가나 국기.svg제프리 슐루프Jeffrey Schlupp
16DF파일:덴마크 국기.svg요아킴 안데르센Joachim Andersen
17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나다니엘 클라인Nathaniel Clyne
19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윌 휴즈Will Hughes
22FW파일:프랑스 국기.svg오드손 에두아르Odsonne Édouard
26DF파일:미국 국기.svg크리스 리차즈Chris Richards
28MF파일:말리 국기.svg셰이크 두쿠레Cheick Doucouré
29MF파일:프랑스 국기.svg나우이루 아마다Naouirou Ahamada
30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딘 헨더슨Dean Henderson
31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레미 매튜스Remi Matthews
44MF파일:네덜란드 국기.svg자이로 리데발트Jaïro Riedewald
구단 정보
구단주: 스티브 패리시 / 감독: 로이 호지슨 / 홈 구장: 셀허스트 파크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최종수정일: 2023년 8월 21일
[각주]





8.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3:07:32에 나무위키 크리스탈 팰리스 F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ˈkrɪstəl ˈpælɪs/[2] 조슈아 해리스와 데이비드 블리처가 세운 합자 회사로, NBA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NHL뉴저지 데블스의 운영사이다.[3] 뉴 몰든과 가장 거리가 가까운 팀은 AFC 윔블던이다. [4] 경쟁 관계에 있었다고 하지만 명백히 서던 리그가 풋볼 리그에 비해 열세였다. 서던 리그 팀이 FA컵에서 우승한 적은 1900-01 시즌의 토트넘 핫스퍼 뿐이었다. 바로 다음 시즌 아직 서던 리그에서 뛰던 사우스햄튼 세인트 메리스 FC도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셰필드 유나이티드 FC에게 재경기 끝에 패배해 준우승에 머물렀다.[5] 맨유 선수 출신으로, 설기현레딩에서 뛰던 시절 레딩 감독이기도 하다.[6] 헤이젤 참사로 유럽 대항전에 출전하지 못하게 된 영연방 축구 클럽들이 한시적으로 운용한 영연방 모든 클럽의 국제대회.[7] 92-93시즌 당시 프리미어쉽은 22개팀 중 하위 4개팀(22위,21위,20위,19위 팀)이 강등당하고 하부리그 2개팀이 승격해서 93-94시즌부터 20개팀으로 운영하도록 했다[8] 2012-13 챔피언십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으로 승격한 이래 11-10-15-14-11-12-14-14-12-11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