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테너 다몬테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감독
[[에흘란 홀름|에흘란 홀름

Nukeduck
]]
코치
[[테너 다몬테|테너 다몬테

Damonte
]]|리차드 수

Richard
|[[노동현|노동현

Arrow
]]
분석
조셉 펌로이

Sygh
|사무엘 힌

Montagne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벨기에 국기.svg [[가브리엘 라우|가브리엘 라우

Bwipo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폴란드 국기.svg [[카츠페르 스워마|카츠페르 스워마

Inspire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덴마크 국기.svg [[니콜라이 옌센|니콜라이 옌센

Jense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하드 압둘말렉

Massu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크왈리나|앨런 크왈리나

Busio
]]
LCS 참가팀 로스터




테너 다몬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구분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파일:NA_LCS_Logo.png
2013
스프링
파일:TSM_Logo.png
Dan Dinh
서머
파일:Cloud9 아이콘.svg
Alex Penn
2014
스프링
Chalrie · Dan Dinh
서머
파일:TSM_Logo.png
Locodoco
2015
스프링
서머
파일:CLG Blue Logo.png
Blurred Limes · Zikzlol
2016
스프링
Zikzlol
서머
파일:TSM_Logo.png
Parth · Weldon
2017
스프링
Parth · Curry · Revehaza
서머
2018
스프링
파일:Team Liquid 2023 아이콘.svg
Cain · Dodo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파일:LCS2020.png
2019
스프링
파일:Team Liquid 2023 아이콘.svg
Cain · Dodo
서머
2020
스프링
파일:Cloud9 아이콘.svg
Reapered · Rapidstar · Reignover · Westrice
서머
파일:TSM_Logo.png
Parth · Lustboy · Haitham
파일:LCS 로고.svg
2021
미드
시즌
쇼다운

파일:Cloud9 아이콘.svg
Reignover · Westrice · Mithy · Max Waldo
챔피언십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Reapered · Freeze · Lustboy
2022
스프링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
Turtle · Artemis · Rigby · Draxyr · Razvan Nistor
챔피언십
파일:Cloud9 아이콘.svg
Max · Veigar v2 · Reven · autumn · Zeyzal
2023
스프링
파일:Cloud9 2023 아이콘.svg
Mithy · autumn · Tails · Veigar v2 · Selfie · Armao
챔피언십
파일:NRG Esports 로고.svg[[파일:NRG Esports 로고 white.svg
Thinkcard · Croissant · Apollo · Damonte · sOAZ · Juves · Mash
* LCS 락인은 프리 시즌 이벤트 대회로서 정규 시즌 대회가 아니므로 제외합니다.





}}} ||

[ 펼치기 · 접기 ]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FlyQuest 코디네이터
Damonte

테너 다몬테 (Tanner Damonte)
출생
1997년 12월 2일 (26세)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포지션
미드[1]
소속
[ 펼치기 · 접기 ]
Monster Kittens
(2015.01.10 ~ 2015.01.16)
Infinity Esports
(2015.01.16 ~ 2015.02)
Cerberus eSports
(2015.04 ~ 2015.04.21)
Noble Esports
(2015.04.21 ~ 2015.04.27)
affNity
(2015.07.19 ~ 2015.10.03)
Serpentis eSports
(2015.10.03 ~ 2015.12.03)
Enemy
(2016.01.20 ~ 2016.04.21)
Echo Fox
(2016.02.17 ~ 2017.01)
the monkeys
(2016.04.16 ~ 2016.05)
Destined For Glory
(2016.05 ~ 2016.05.25)
Nova eSports
(2016.06.01 ~ 2016.07.22)
Delta Fox
(2016.07 ~ 2017.06.02)
Echo Fox
(2017.05.26 ~ 2017.12.08)
FOX Academy
(2017.12.08 ~ 2018.07.05)
Echo Fox
(2018.07.05 ~ 2018.11.19)
Clutch Gaming
(2018.11.26 ~ 2019.10.28)

Dignitas
(2019.10.28 ~ 2019.11.18)
Hipgrabbers
(2019.12.14 ~ 2019.12.21)
Dignitas Academy
(2019.12.16 ~ 2020.06.05)
Golden Guardians
(2020.06.05 ~ 2020.11.16)
100 Thieves
(2020.11.19 ~ 2021.03.18)
100 Academy
(2021.03.18 ~ 2021.05.24)
NRG 코치[1]
(2021.07.13 ~ 2023.11.29)

[1] 팀명 변경 CLG → NRG, 2023년 4월 6일
FlyQuest 코디네이터
(2023.12.14 ~)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Tanner "Damonte" Damonte
미국리그 오브 레전드 지도자. 現 LCS의 FlyQuest 소속 퍼포먼스 코디네이터.

2. 상세[편집]


2016년부터 북미의 강현종 릭 폭스가 마지막까지 품고 있는 양아들이다. 토종 미드 씨가 마른 북미 기준 뛰어난 메카닉으로 골든글루와 함께 2부 수문장 역할을 하지만, 1군에 올라와서는 적은 기회에서 눈에 띄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선수.

그러나 피닉스로 미드가 교체된 2018년부터 호시탐탐 주전 자리를 넘보고 있다. 그리고 서머 시즌 피닉스와 상극인 속공메타, 원딜 없는 메타의 대두로 계속 기회를 받다가 기어이 주전을 차지했다. 과연 로스트가 뉴질랜드 용병이라 피닉스 거르고 다몬테 기용이 사실상 강제되는 것인가 여부는 알 수 없다.[2]

솔직히 골든글루보다도 메카닉은 낫다고 보장까진 못하지만, 절대로 골든글루 급의 유리멘탈까지는 아닌 편이다. 챔프폭도 골든글루나 피닉스 등과 비슷비슷하게 정통 메이지 그것도 라인전이 강한 챔프를 선호하는 편이지만, 저 둘보다는 로밍 플레이가 조금이라도 매끄럽다 평할 수도 있다. 다만 18서머부터 리퍼디의 개조를 받은 골든글루가 이전보다 훨씬 나아진 모습으로 팀을 결승으로 이끄는 와중에 다몬테는 팀의 구멍으로 전락하며 까이고 있다.

어쨌든 별다른 모습을 보여준건 없지만 코치진들의 평가는 좋은듯 하다. 롤드컵 이후 빠른별이 개인방송에서 북미 LCS내에서 올스타를 뽑으면서 이 선수를 뽑을 정도로 코치진 내 평가는 좋은 편. 그 중에서도 특히 키아나를 굉장히 잘 다룬다. 사실상 북미 최고의 키아나 장인이라 해도 이의가 없을 정도. 그리고 자신의 평가가 왜 좋았는지 2019 서머 플레이오프 6강에서 보여주었다. 승리한 세트의 한타 활약상에서 모두 비역슨을 압도했으며 특히 키아나로 궁대박을 여러번 터뜨려 한타를 지배했다. 플레이오프-롤드컵 선발전에서도 이전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는데 키아나 이외의 AP챔으로도 어느정도 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키아나 장인답게 키아나를 픽하면 최소 평타에 캐리도 하며 CLG와의 4경기에서는 경기를 끝내는 뛰어난 궁활약을 보여줬다. 포벨터가 서머시즌 폼이 심각하게 떨어지고 골든글루는 1군에 못나오는 시점에서 그나마 LCS에서 어느정도 활약하는 유일한 로컬 미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선발전에서도 포벨터를 압도하여 골든글루는 버려두고 토종 북체미의 왕좌를 계승하더니 유럽산인 POE, 비역슨에게도 밀리지 않는 뛰어난 활약으로 팀의 롤드컵 막차 탑승에 한 몫 톡톡히 해줬다. 물론 가장 특출난 카드는 역시 키아나. 덕분에 밴픽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 주었다. 분명 게임당 두어 번은 잘리는데, 그렇게 잘려도 중반 변수창출로 충분히 만회하는데다 한타에서는 수시로 키아나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여주는 하드캐리를 보여준다. 팀으로도 개인으로도 키아나 못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 타 지역 미드들이 한타에서 팀과 함께 예능찍으며 망하는 것과 달리 다몬테의 키아나는 나왔다 하면 언제든 궁대박으로 역전 가능하다는 믿음이 생길 정도.

다만 롤드컵에서는 전체적으로 영 아닌 폼을 보이면서 플레이-인부터 그룹 스테이지 2연패 시점까지 팀을 탈락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키아나 밴에 대한 대처능력이 전무하고 밴카드 하나만으로 넓고 얕은 챔프폭이 되어버리는 점이 치명적. 과연 다못해 선생으로 조롱받다가 태너 타임을 보여주던 그 각성을 롤드컵 중간에도 이뤄낼 수 있을지... 심지어 상대팀이 SKT였다고는 하나 원툴이라던 키아나를 잡고도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키아나 빼고 다못해에서 그냥 다못해가 되었다 마침 한국 롤 커뮤니티에서 자주 나오는 '몬테 드립'을 치기에 딱 좋은 이름인지라 다몬테라서 다 못한다고 놀림받는 건 덤.

2019년 11월 18일 Dignitas와의 계약이 종료되면서 FA 상태가 되었다. # 그런데 썩 괜찮은 로컬미드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LCS팀에서 픽업을 해가지 않아 아카데미에서 뛸 것 같다는 소리가 들리자 북미 팬덤 내에선 북미 내 로컬 선수 육성 관련해서 키보드 배틀이 붙을 정도로 핫한 논쟁거리가 되었다. 결국 12월 17일 아카데미에 입단했다. # 이후 2020 서머 시즌부터 골든 가디언스에 합류했다.

2021 시즌을 앞두고 골든 가디언스를 떠나 100T에 입단했다. 골든 가디언스에서는 폼이 극도로 좋지 않아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 전체적으로 다몬테를 제외하고 좋은 매물을 가져왔다는 평을 받은 100T 입장에서는 다몬테가 얼마나 폼이 부활하느냐에 따라 성적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초반에는 압도적인 나머지 4인의 폼에 잘 묻어가며 팀도 2강체제를 형성하나 싶었으나, 썸데이가 살짝 흔들리면 그 몇배로 흔들리고 S급 미드 만나면 찍혀눌리는 예의 그 모습이 노출되며 결국 료마와 자리를 맞바꿨다. 료마가 잘한다는건 아니지만 2살 어리고 OPL과 MSI에서 보여준 고점이라도 있으니... 키아나 버프 이전까지는 다시 올라오기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아베다게가 영입되었다...

결국 21년 5월 24일, 100T를 탈퇴했다.

그리고 2달도 채 되지 않은 7월, 서머 시즌 도중에 CLG에 합류했다. 점점 노인정화된 로스터를 제대로 보여주는 가운데 과연 포벨터보다 나을지 본인 스스로 증명해야할 차례다.

그러나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출전한 매치에서 전패를 기록하면서 정말 단단히 망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러다가 7월 골가전과 8월 플퀘전에서 각각 1승씩 챙기는데 공헌하면서 그나마 같은 하위권 플옵 경쟁에 고춧가루는 제대로 뿌리고 시즌을 마무리했다.

시즌 종료 후 코치로 전향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미드 → 정글 → 미드[2] 로스트는 분명히 OPL을 뛰다 왔고, 타 리그를 보자면 LPL 베트남 용병 SofM의 경우 쿼터를 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