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빈저(말)

덤프버전 :

파일:IFHA.jpg 론진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 연도별 1위
[ 펼치기 · 접기 ]

영국·아일랜드·프랑스 인터내셔널 클래시피케이션 창설
197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얼레지드 (131)-7
197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얼레지드 (134)-6
1979
파일:프랑스 국기.svg 쓰리 트로이카스 (132)-5
1980
파일:영국 국기.svg 무어스타일 (127)-4
1981
파일:영국 국기.svg 셔가 (136)-4
198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골든 플리스 (131)-3
1983
파일:영국 국기.svg 샤리프 댄서 (130)-3
198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엘 그란 세뇨르 (135)-3
1985
파일:영국 국기.svg 슬립 앵커 (132)-3
독일·이탈리아 참여
1986
파일:영국 국기.svg 댄싱 브레이브 (138)-3
1987
파일:영국 국기.svg 레퍼런스 포인트 (133)-2
1988
파일:영국 국기.svg 워닝 (132)-1
1989
파일:영국 국기.svg 올드 빅 · 파일:영국 국기.svg 질잘 (133)-1
1990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주르 (132)-1
1991
파일:영국 국기.svg 제너러스 (136)-1
199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세인트 조바이트 (135)
1993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포닉 (130)
미국·캐나다 참여
1994
파일:영국 국기.svg 발란신 (130)
1995
파일:미국 국기.svg 시가 (132)
1996
파일:미국 국기.svg 시가 (135)
일본·아랍에미리트·홍콩 참여
199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팽트르 셀레브르 (137)
호주·뉴질랜드 참여
1998
파일:미국 국기.svg 스킵 어웨이 (131)
1999
파일:영국 국기.svg 데일라미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몬쥬 (135)
2000
파일:영국 국기.svg 두바이 밀레니엄 (134)
2001
파일:영국 국기.svg 사키 (133)
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록 오브 지브롤터 (128)
국제경마협회(IFHA) 주최
200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호크윙 (133)
2004
파일:미국 국기.svg 고스트재퍼 (131)+1
2005
파일:프랑스 국기.svg 허리케인 런 (130)
2006
파일:미국 국기.svg 인바소르 (129)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만두로 (131)
2008
파일:미국 국기.svg 컬린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뉴 어프로치 (130)
200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시 더 스타즈 (136)
2010
파일:영국 국기.svg 하빈저 (135)
2011
파일:영국 국기.svg 프랑켈 (136)
2012
파일:영국 국기.svg 프랑켈 (140)**
2013
파일:프랑스 국기.svg 트레브 · 파일:호주 국기.svg 블랙 캐비어 (130)
2014
파일:일본 국기.svg 저스터웨이 (130)
2015
파일:미국 국기.svg 아메리칸 패로아 (134)
2016
파일:미국 국기.svg 애로게이트 (134)
2017
파일:미국 국기.svg 애로게이트 (134)
2018
파일:영국 국기.svg 크랙스맨 · 파일:호주 국기.svg 윙크스 (130)
2019
파일:영국 국기.svg 크리스탈 오션 · 파일:영국 국기.svg 이네이블 · 파일:프랑스 국기.svg 발트가이스트 (128)
2020
파일:영국 국기.svg 가이야스 (13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닉스고 (129)
2022
파일:미국 국기.svg 플라이트라인 (140)
*1977~1991년 및 2004년의 레이팅은 2013년에 재조정되었다.
**M (마일) (Mile,1,301m ~ 1,899m) 부문과 I (중거리) (Intermediate 1,900m ~ 2,100m) 부문 동시 석권




2010년 론진 세계 연도대표마
파일:HARBINGER.jpg
이름Harbinger
출생2006년 3월 12일 (18세)
성별수컷
털색갈색(Bay)
아비Dansili
어미Penang Pearl
외조부Bering
성적9전 6승 [6-1-1-1]
총상금765,003 영국 파운드
주요
우승
G1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2010)
G2하드윅 스테이크스(2010)
G3고든 스테이크스(2009)
존 포터 스테이크스(2010)
오몬데 스테이크스(2010)
레이팅WTRRL135[1위] (2010)
타임폼140
주요
자마
디어드러(2014)
페르시안 나이트(2014)
모즈 캇짱(2014)
블래스트 원피스(2015)
놈코어(2015)
니시노 데이지(2016)
나뮈르(2019)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종마 생활
4.1. 주요 산구
4.2. 주요 BMS(Broodmare Sire) 산구
5. 기타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영국의 전 경주마이자 일본의 종마. 마명 Habinger는 "선구자"를 의미한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Dansili
1996
Danehill
1986 파일:미국 국기.svg
Danzig
Razyana
Hasili
199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Kahyasi
Kerali
Penang Pearl
1996 파일:프랑스 국기.svg
Bering
1983
Arctic Tern
Beaune
Guapa
1988
Shareef Dancer
Sauceboat
* Northern Dancer 4×5×4 15.625%
* Natalma 5×5×5 9.375%


3. 커리어[편집]


2010년 KGVI&QES
2010년, 커리어 처음이자 마지막 G1 경기인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에서 G1 5승마 케이프 블랑코(Cape Blanco)[1], 오이로파 상과 생 클루 대상 우승마 윰자인(Youmzain), 홍콩 바즈 우승마 다리아카나(Daryakana), 엡섬 더비마이자 이후 같은 해의 개선문상에서 우승하는 워크포스를 상대로 11마신을 벌리며 코스 레코드를 갱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다. 이 단 한 번의 경주로 타임폼 임시 레이팅 142[2]를 부여받아 당대 최강의 자리에 오르며, 직후 진영이 개선문상 출주를 선언하자 순식간에 예상 1번 인기를 받게 된다. 예정했던 로테이션은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 → 개선문상.

그러나 겨우 14일 후, 가벼운 운동 중 오른쪽 앞다리 관골 골절이 발견되어 수술을 진행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지만 이틀 후인 8월 7일 결국 은퇴를 발표하게 된다.


4. 종마 생활[편집]


마일부터 장거리까지 넓은 폭의 거리적성을 가진 자마들을 배출하고 있지만, 2022년 자마 블래스트 원피스가 은퇴 후 종마가 되지 못하고 승마로 전업하면서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아리마 기념 우승 후 은퇴한 수말이 씨종마가 되지 못한 사례는 블래스트 원피스가 최초이며, 이는 선데이 사일런스 - 딥 임팩트계가 압도하고 있는 일본 종마 시장에서 하빈저 자마들의 혈통은 종마로서의 가치가 없다는 걸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에 대해 경마 팬들 사이에서 SS계의 인브리드(근친)를 피하기 위해 임시로 쓰고 버리는 희석액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블래스트 원피스가 은퇴하기 직전에 또 다른 하빈저 산구 페르시안 나이트도 종마가 되지 못하고 바로 유도마로 전업해버리면서 이러한 주장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4.1. 주요 산구[편집]


  • 굵게 표시한 경기는 GI/JpnI 경주.


4.2. 주요 BMS(Broodmare Sire) 산구[편집]



5. 기타[편집]




6.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그룹
트랙
odds[3]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09년 (3세)
4.16뉴마켓디튼 스테이크스클래스 4잔디 1m[4]3/122착라이언 무어Militarist I
5.6체스터미승리전클래스 4잔디 1m 2½f[5]6/411착(Changingoftheguard I)
7.28굿우드고든 스테이크스G3잔디 1m 4f[A]11/411착(Firebet)
8.18요크그레이트 볼티저 스테이크스G2잔디 1m 4f[A]13/817착Monitor Closely
10.24뉴버리세인트 사이먼 스테이크스G3잔디 1m 4f[A]6/143착High Heeled
2010년 (4세)
4.17뉴버리존 포터 스테이크스G3잔디 1m 4f[A]11/231착라이언 무어(Manifest)
5.7체스터오몬데 스테이크스G3잔디 1m 5½f[6]13/811착(Age Of Aquarius)
6.19애스콧하드윅 스테이크스G2잔디 1m 4f[A]8/1111착(Duncan)
7.24애스콧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G1잔디 1m 4f[A]4/121착[레코드]올리비에 펠리에(Cape Blanco)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2:04:32에 나무위키 하빈저(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위] [1] 당시에는 G1 1승이었다. 이 다음 경주에서 바로 2번째 G1을 우승한다.[2] 이후 조정되어 최종 레이팅은 140.[3]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4] 약 1609m[5] 약 2112m[A] A B C D E F 약 2414m[6] 약 2716m[레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