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수(품새)

덤프버전 :

분류


WT 태권도품새
[ 펼치기 · 접기 ]
유급자 품새 태극(太極)
태극 1장태극 2장태극 3장태극 4장
태극 5장태극 6장태극 7장태극 8장
성인 유급자 품새 태권
태권 1장태권 2장태권 3장태권 4장
태권 5장태권 6장태권 7장태권 8장
유급자 품새 팔괘(八卦)
팔괘 1장팔괘 2장팔괘 3장팔괘 4장
팔괘 5장팔괘 6장팔괘 7장팔괘 8장
유단자 품새
고려(高麗)금강(金剛)태백(太白)평원(平原)
십진(十進)지태(地跆)천권(天拳)한수(漢水)
일여(一如)
경기용 품새
비각(飛脚)한류(韓流)힘차리(Himchari)야망
새별(Saebyeol)나르샤(Nareusya)어울림(Eoullim)새아라(Saeara)
한솔(Hansol)나래(Narae)온누리(Onnuri)
파일:wt.png



1. 개요
2. 의미
3. 처음 나오는 동작
4. 훈련 영상
5. 수련시 유의사항



1. 개요[편집]


태권도의 품새 중 하나.

한 마디로 설명하면 엄청 어렵다. 물 수자를 그리면서 일정한 보폭으로 하니까 특히 어렵다. 하지만 이걸 8년 익히고 가야 9년 일여로 가니까 9단으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


2. 의미[편집]


8단이 수련하는 품새. 품새선은 '물 수'자()이다.
이름처럼 물의 융화성과 깨끗함을 나타낸 품새이다.

3. 처음 나오는 동작[편집]


준비자세는 모아겹손서기

  • 공격
    • 메주먹 양옆구리치기
    • 거들어칼재비
  • 막기
    • 손날 몸통 헤쳐막기
    • 안팔목 아래 표적막기
    • 손날 금강막기

4. 훈련 영상[편집]




5. 수련시 유의사항[편집]


  • 기합을 두 번 넣는다.(꼬아서기 등주먹 앞치기(16품, 25품)) 이름에서도 나와있듯이 물결처럼 유연하면서도 무서운 힘을 발휘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해야 한다. 두 메주먹 옆구리치기와 손날 바깥치기를 할 때에 높이에 주의한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3:27:33에 나무위키 한수(품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