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짧을 단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2획
중학교
준6급
-
일본어 음독
タン
일본어 훈독
みじか-い
-
표준 중국어
du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短은 '짧을 단'이라는 한자로, '짧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짧다
중국어표준어duǎn
광동어dyun2
객가어tón
민동어dōi[白] / duāng[文]
민남어[1][白] / tuán[文]
오어toe (T2)
일본어음독タン
훈독みじか-い
베트남어đoản

유니코드에는 U+77E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KMRT(人大一口廿)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화살 시)와 소리를 나타내는 (콩 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矢가 짧다는 의미를 가진 한자의 의부(義符)로 사용되는 경우 (난쟁이 왜)가 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중국어[편집]


  • 短 [duǎn]
    • 명사
      • 단점
예) 短处 [duănchŭ] : 단점
  • 동사
    • 부족하다, 모자라다, 결핍되다
예) 短一个 [duăn yīgè] : 하나 모자라다
  • 형용사
    • (시/공간적으로) 짧다
예) 缩短 [suōduăn] : 단축하다

4. 유의자[편집]


  • (짧을 궐)
  • 𥎱[⿰矢犮](짧을 발)
  • 𥏠[⿰矢卑](짧을 비)
  • 𡯑[⿺尣水](짧을 수)
  • 𥏝[⿰矢亞](짧을 아)
  • (짧을 조)
  • (짧을 출)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강이름 두)
  • 𤞟[⿰犭豆](개가짖을 두)
  • (나무그릇 두)
  • 𨁋[⿰𧾷豆](넘어질 두)
  • 𢭃(네움큼 두, 짧을 단)
  • 𥆖[⿰目豆](눈곱 두)
  • (늘어놓을 두)
  • (늘어진모양 두, 세울 수)
  • (말더듬을 두)
  • (목 두)
  • 𩊪[⿰革豆](수레에까는자리 두)
  • (술그릇 두)
  • (음복하는음식 두)
  • (조금성낼 부, 엿볼 두)
  • (해진옷 수)
  • (거절하는소리 투/부)
  • 𨹜[⿰⻖豆](높을 투)
  • (머뭇거릴 투/두)
  • (물고기이름 투)
  • 𥺉[⿰米豆](두)
  • 𭎞[⿰土豆]
  • 𭴧[⿰火豆]
  • 𰖉[⿰日豆]
  • 𪻡[⿰⺩豆]
  • 𥐍[⿰短豆]
  • 𬗖[⿰糸豆]
  • 𫑶[⿰酉豆]
  • 𮝒[⿰車豆]
  • 𪏄[⿰黃豆]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𢵦[⿰扌短](헤아릴 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8:01:1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白] A B 백독[文] A B 문독[1] 주류 대만어 기준[2] 단기간에 승패를 가리는 것 내지 단기간에 일을 끝내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