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 VALORANT Masters Tokyo/플레이오프/패자조

덤프버전 :

||



1. 개요
2. 일정
3. 1라운드
3.1. 1경기 DRX 0 : 2 NRG
3.1.1. 경기 전
3.1.2. 경기 내용
3.1.2.1. 1세트
3.1.2.2. 2세트
3.1.3. 총평
3.1.3.1. 패자조 2라운드 진출 - NRG Esports
3.1.3.2. 탈락 - DRX
3.2. 2경기 EDG 2 : 0 LOUD
3.2.1. 경기 전
3.2.2. 경기 내용
3.2.2.1. 1세트
3.2.2.2. 2세트
3.2.3. 총평
3.2.3.1. 패자조 2라운드 진출 - Edward Gaming
3.2.3.2. 탈락 - LOUD
4. 2라운드
4.1. 1경기 TL 1 : 2 NRG
4.1.1. 경기 전
4.1.2. 경기 내용
4.1.2.1. 1세트
4.1.2.2. 2세트
4.1.2.3. 3세트
4.1.3. 총평
4.1.3.1. 패자조 3라운드 진출 - NRG Esports
4.2. 2경기 PRX 2 : 1 EDG
4.2.1. 경기 전
4.2.2. 경기 내용
4.2.2.1. 1세트
4.2.2.2. 2세트
4.2.2.3. 3세트
4.2.3. 총평
4.2.3.1. 패자조 3라운드 진출 - Paper Rex
5. 3라운드
5.1. 패자조 3라운드 NRG 1 : 2 PRX
5.1.1. 경기 전
5.1.2. 경기 내용
5.1.2.1. 1세트
5.1.2.2. 2세트
5.1.2.3. 3세트
5.1.3. 총평
5.1.3.1. 패자조 결승 진출 - Paper Rex
6. 4라운드
6.1. 패자조 결승 EG 3 : 2 PRX
6.1.1. 경기 전
6.1.2. 경기 내용
6.1.2.1. 1세트
6.1.2.2. 2세트
6.1.2.3. 3세트
6.1.2.4. 4세트
6.1.2.5. 5세트
6.1.3. 총평
6.1.3.1. 결승 진출 - Evil Geniuses
6.1.3.2. 탈락 (대회 3위) - Paper Rex
7. 패자조 결과


1. 개요[편집]


2023 VALORANT Masters Tokyo의 플레이오프 패자조 대진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패자조 결승[1]을 제외한 모든 경기는 3판 2선승제로 진행하며, 여기서 패배한 모든 팀은 탈락한다.

2. 일정[편집]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3 VALORANT Masters Tokyo 플레이오프 패자조 대진표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M4
(패자
파일:DRX 로고.svg0
M3
(패자
파일:NRG Esports 로고.svg2
6.18 15:00
||<width=25%>

M7
(패자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1
파일:NRG Esports 로고.svg2
6.20 12:00
||<width=25%><|2> ||<width=25%><|2> ||
M2
(패자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2
M1
(패자
파일:LOUD 로고.svg0
6.18 12:00
||

M5
(패자
파일:Paper Rex 로고.svg2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1
6.20 15:00
||


초록색: 다음 라운드 진출

3. 1라운드[편집]



3.1. 1경기 DRX 0 : 2 NRG[편집]




파일:vct_마스터스.svg 중계진
캐스터해설자
정용검김진영유정선

3.1.1. 경기 전[편집]


파일:20230618_DRX_vs_NRG_Before.jpg
2022년 DRX가 3번 만나 단 한 번도 넘지 못했던 옵틱 출신들이 NRG로 건너가 올해도 DRX의 앞에 나타났다. 락인 때는 yay가 있던 C9을 격파해본 DRX가 과연 옵틱의 나머지 멤버들에게도 복수를 해낼 수 있을 지가 관건.

3.1.2.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DRX, bteam=NRG,
aban=로터스, bban=프랙처, aban2=바인드, bban2=어센트,
p_apic=펄, p_bpic=헤이븐, p_cpic=스플릿,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파일:vct_마스터스.svg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1경기
(2023. 06. 18. 12:00)
DRX02NRG Esports
××--
탈락결과2라운드 진출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3 VALORANT Masters Tokyo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1경기 라인업
파일:DRX 로고.svg파일:vct_마스터스.svg파일:NRG Esports 로고.svg[[파일:NRG Esports 로고 white.svg
DRXNRG Esports
김구택
(stax)
샘 오
(s0m)
구상민
(Rb)
푸잔 메타
(FNS)
김기석
(Zest)
어스틴 로버츠
(Crashies)
유병철
(BuZz)
빅터 웡
(Victor)
김명관
(MaKo)
아르디스 스바레넥스
(ardiis)

3.1.2.1. 1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펄, set=1, teamD=DRX, teamA=NRG,
dpic1=하버, dpic2=제트, dpic3=스카이, dpic4=바이퍼, dpic5=킬조이,
apic1=스카이, apic2=킬조이, apic3=바이퍼, apic4=하버, apic5=제트,
dplayer1=Zest,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MaKo, dplayer5=Rb,
aplayer1=crashies, aplayer2=Victor, aplayer3=FiNESSE, aplayer4=s0m, aplayer5=ardiis,
dScore=11, aScore=<b>13 )]
DRX가 전반전에 8점을 따내며 앞서나간다. 그러나 NRG가 후반전에 잇달아 해체를 성공시키며 먼저 매치 포인트를 만들었고, DRX가 11점까지 재차 쫒아왔으나 마지막 NRG의 깡해체가 성공하며 NRG가 세트를 가져간다.

3.1.2.2. 2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헤이븐, set=2, teamD=NRG, teamA=DRX,
dpic1=스카이, dpic2=킬조이, dpic3=바이퍼, dpic4=하버, dpic5=제트,
apic1=소바, apic2=제트, apic3=브리치, apic4=오멘, apic5=킬조이,
dplayer1=crashies, dplayer2=Victor, dplayer3=FiNESSE, dplayer4=s0m, dplayer5=ardiis,
aplayer1=Zest,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MaKo, aplayer5=Rb,
dScore=<b>13, aScore=5 )]
NRG가 DRX를 손바닥 위에서 가지고 놀았다라고 봐도 될 정도로 체급 차이가 크게 났다. 마지막 라운드인 18라운드 ardiis의 칼날 폭풍쇼와 함께 DRX의 도쿄에서의 여정은 끝이 났다.

3.1.3. 총평[편집]


파일:20230618_DRX_vs_NRG_Result.jpg

3.1.3.1. 패자조 2라운드 진출 - NRG Esports[편집]

1세트는 조금 고전하며 승리를 쟁취했으나 2세트에서는 아예 DRX보다 몇 수 앞을 내서는 플레이로 말 그대로 DRX를 갖고 놀며 2:0 완승에 성공하며 패자조 2라운드에 진출했다.

3.1.3.2. 탈락 - DRX[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2.1.3.2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2경기 EDG 2 : 0 LOUD[편집]




파일:vct_마스터스.svg 중계진
캐스터해설자
정용검김진영유정선

3.2.1. 경기 전[편집]


파일:20230618_LOUD_vs_EDG_Before.jpg
EMEA 챔피언에게 분패한 EDG가 이번에는 아메리카 챔피언 LOUD를 상대하게 된다. 패자조 1라운드라고는 믿을 수 없는, 누가 떨어져도 아쉬울 빅매치가 되었다.

양 팀 다 화끈하지만 엄청난 교전능력을 가진 팀이기에 눈은 굉장히 즐거운 매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3.2.2.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LOUD, bteam=EDG,
aban=펄, bban=어센트, aban2=스플릿, bban2=헤이븐,
p_apic=로터스, p_bpic=프랙처, p_cpic=바인드,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파일:vct_마스터스.svg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2경기
(2023. 06. 18. 15:00)
Edward Gaming20LOUD
-××-
2라운드 진출결과탈락


3.2.2.1. 1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1, teamD=LOUD, teamA=EDG,
dpic1=네온, dpic2=스카이, dpic3=바이퍼, dpic4=킬조이, dpic5=오멘,
apic1=사이퍼, apic2=제트, apic3=오멘, apic4=스카이, apic5=레이즈,
dplayer1=aspas, dplayer2=cauanzin, dplayer3=Saadhak, dplayer4=Less, dplayer5=tuyz,
aplayer1=CHICHOO, aplayer2=ZmjjKK, aplayer3=Haodong, aplayer4=nobody, aplayer5=Smoggy,
dScore=6, aScore=<b>13 )]
피지컬이면 피지컬, 수싸움에서는 수싸움 등 모든 면에서 EDG가 한 수 위의 모습을 보이며 승리를 가져갔다.

3.2.2.2. 2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2, teamD=EDG, teamA=LOUD,
dpic1=킬조이, dpic2=제트, dpic3=브림스톤, dpic4=스카이, dpic5=브리치,
apic1=네온, apic2=브리치, apic3=케이/오, apic4=바이퍼, apic5=오멘,
dplayer1=CHICHOO, dplayer2=ZmjjKK, dplayer3=Haodong, dplayer4=nobody, dplayer5=Smoggy,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b>13, aScore=10 )]
LOUD가 세트 전패 탈락이라는 수치스러운 기록을 달성하고 PO 진출팀 중 제일 먼저 짐을 쌌다.

EDG가 물 오른 피지컬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LOUD가 무슨 생각에서인지 자신의 피지컬을 과신하고 수비 때 무리한 운영을 계속해서 한 것이 치명타로 돌아왔다.


3.2.3. 총평[편집]


파일:20230618_LOUD_vs_EDG_Result.png

3.2.3.1. 패자조 2라운드 진출 - Edward Gaming[편집]

대 이변이 터졌다. 아무리 라우드가 승자조에서 패배하고 내려왔다고 한들 그 강하다는 아메리카 1시드의 팀이라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그깟 아메리카 1시드가 뭐라는 둥 2:0이라는 희대의 스윕을 해내면서 기적적으로 패자조 2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3.2.3.2. 탈락 - LOUD[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2.1.2.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2라운드[편집]



4.1. 1경기 TL 1 : 2 NRG[편집]




파일:vct_마스터스.svg 중계진
캐스터해설자
채민준정인호윌리엄

4.1.1. 경기 전[편집]


파일:20230620_TL_vs_NRG_Before.jpg
EG에게 무력하게 패배한 TL과 DRX를 가뿐히 잡고 올라온 NRG의 치열한 지략 대결이 예상된다.

4.1.2.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NRG, bteam=TL,
aban=프랙처, bban=펄, aban2=로터스, bban2=바인드,
p_apic=헤이븐, p_bpic=어센트, p_cpic=스플릿,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공격)]
파일:vct_마스터스.svg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1경기
(2023. 06. 20. 12:00)
Team Liquid12NRG Esports
×××
탈락결과3라운드 진출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3 VALORANT Masters Tokyo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1경기 라인업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vct_마스터스.svg파일:NRG Esports 로고.svg[[파일:NRG Esports 로고 white.svg
Team LiquidNRG Esports
돔 설카스
(soulcas)
샘 오
(s0m)
엘리아스 올크코넨
(Jamppi)
푸잔 메타
(FNS)
이고르 블라소프
(Redgar)
어스틴 로버츠
(Crashies)
아야스 아흐메친
(nAts)
빅터 웡
(Victor)
사이프 지브라엘
(Sayf)
아르디스 스바레넥스
(ardiis)

4.1.2.1. 1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헤이븐, set=1, teamD=TL, teamA=NRG,
dpic1=브리치, dpic2=제트, dpic3=오멘, dpic4=킬조이, dpic5=스카이,
apic1=스카이, apic2=킬조이, apic3=바이퍼, apic4=하버, apic5=제트,
dplayer1=Jamppi, dplayer2=Sayf, dplayer3=Redgar, dplayer4=nAts, dplayer5=soulcas,
aplayer1=crashies, aplayer2=Victor, aplayer3=FiNESSE, aplayer4=s0m, aplayer5=ardiis,
dScore=12, aScore=<b>14 )]

4.1.2.2. 2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2, teamD=NRG, teamA=TL,
dpic1=소바, dpic2=케이/오, dpic3=킬조이, dpic4=오멘, dpic5=제트,
apic1=소바, apic2=제트, apic3=오멘, apic4=사이퍼, apic5=케이/오,
dplayer1=crashies, dplayer2=Victor, dplayer3=FiNESSE, dplayer4=s0m, dplayer5=ardiis,
aplayer1=Jamppi, aplayer2=Sayf, aplayer3=Redgar, aplayer4=nAts, aplayer5=soulcas,
dScore=8, aScore=<b>13 )]

4.1.2.3. 3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3, teamD=TL, teamA=NRG,
dpic1=스카이, dpic2=제트, dpic3=오멘, dpic4=사이퍼, dpic5=세이지,
apic1=스카이, apic2=레이즈, apic3=바이퍼, apic4=아스트라, apic5=제트,
dplayer1=Jamppi, dplayer2=Sayf, dplayer3=Redgar, dplayer4=nAts, dplayer5=soulcas,
aplayer1=crashies, aplayer2=Victor, aplayer3=FiNESSE, aplayer4=s0m, aplayer5=ardiis,
dScore=5, aScore=<b>13 )]

4.1.3. 총평[편집]


파일:20230620_TL_vs_NRG_Result.png

4.1.3.1. 패자조 3라운드 진출 - NRG Esports[편집]

마스터스 DNA가 발동한 NRG는 달랐다. 1세트에 거둔 대역전승이 결국 NRG의 매치승을 이끌었고, 그 중심에는 지략과 에임 모두 만점 활약을 한 IGL Finesse가 있었다.

4.1.3.2. 탈락 - Team Liquid[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2.1.1.2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2경기 PRX 2 : 1 EDG[편집]




파일:vct_마스터스.svg 중계진
캐스터해설자
채민준정인호윌리엄

4.2.1. 경기 전[편집]


파일:20230620_PRX_vs_EDG_Before.jpg
something의 부재가 크게 드러나며 FNC에게 무너진 PRX와 ZmjjKK을 비롯한 모두의 폼이 갈수록 올라오는 EDG가 아시아 최후의 팀을 가린다.

4.2.2.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EDG, bteam=PRX,
aban=어센트, bban=헤이븐, aban2=바인드, bban2=펄,
p_apic=프랙처, p_bpic=스플릿, p_cpic=로터스,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파일:vct_마스터스.svg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2경기
(2023. 06. 20. 15:00)
Paper Rex21Edward Gaming
×××
3라운드 진출결과탈락


4.2.2.1. 1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EDG, teamA=PRX,
dpic1=킬조이, dpic2=제트, dpic3=브림스톤, dpic4=스카이, dpic5=브리치,
apic1=네온, apic2=브림스톤, apic3=킬조이, apic4=브리치, apic5=레이즈,
dplayer1=CHICHOO, dplayer2=ZmjjKK, dplayer3=Haodong, dplayer4=nobody, dplayer5=Smoggy,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CGRS, aplayer5=Jinggg,
dScore=12, aScore=<b>14 )]

4.2.2.2. 2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2, teamD=PRX, teamA=EDG,
dpic1=제트, dpic2=아스트라, dpic3=바이퍼, dpic4=스카이, dpic5=레이즈,
apic1=바이퍼, apic2=레이즈, apic3=아스트라, apic4=스카이, apic5=제트,
dplayer1=f0rsakeN, dplayer2=mindfreak, dplayer3=d4v41, dplayer4=CGRS, dplayer5=Jinggg,
aplayer1=CHICHOO, aplayer2=ZmjjKK, aplayer3=Haodong, aplayer4=nobody, aplayer5=Smoggy,
dScore=9, aScore=<b>13 )]

4.2.2.3. 3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3, teamD=PRX, teamA=EDG,
dpic1=사이퍼, dpic2=오멘, dpic3=스카이, dpic4=게코, dpic5=레이즈,
apic1=사이퍼, apic2=제트, apic3=오멘, apic4=스카이, apic5=레이즈,
dplayer1=f0rsakeN, dplayer2=mindfreak, dplayer3=d4v41, dplayer4=CGRS, dplayer5=Jinggg,
aplayer1=CHICHOO, aplayer2=ZmjjKK, aplayer3=Haodong, aplayer4=nobody, aplayer5=Smoggy,
dScore=<b>13, aScore=8 )]

4.2.3. 총평[편집]


파일:20230620_PRX_vs_EDG_Result.png

4.2.3.1. 패자조 3라운드 진출 - Paper Rex[편집]

PRX가 EDG의 폭풍을 잠재우며 아시아 최후의 팀이 되었다. PRX 특유의 일단 부딪히고 보는 운영이 결국 EDG를 무너뜨렸고, 특히 팀의 식스맨이었던 CGRS의 클러치가 빛났다.

4.2.3.2. 탈락 - Edward Gaming[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2.1.4.1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3라운드[편집]



5.1. 패자조 3라운드 NRG 1 : 2 PRX[편집]



[youtube()]

파일:vct_마스터스.svg 중계진
캐스터해설자
최광원정인호윌리엄

5.1.1. 경기 전[편집]


파일:20230621_NRG_vs_PRX_Before.jpg
북미의 마스터스 터줏대감 NRG와 아시아 최후의 생존자 PRX가 만났다. PRX는 NRG의 전신격 팀인 옵틱을 상대로 마스터스 코펜하겐에서 만나 승리한 적이 있는데, NRG의 ardiis는 같은 대회에서 FPX 소속으로 옵틱과 PRX를 모두 잡고 우승을 해본 기묘한 인연이 있다.

5.1.2.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NRG, bteam=PRX,
aban=프랙처, bban=헤이븐, aban2=어센트, bban2=스플릿,
p_apic=펄, p_bpic=로터스, p_cpic=바인드,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파일:vct_마스터스.svg 플레이오프 패자조 3라운드
(2023. 06. 21. 12:00)
NRG Esports12Paper Rex
×××
탈락결과패자조 결승 진출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3 VALORANT Masters Tokyo
플레이오프 패자조 3라운드 라인업
파일:NRG Esports 로고.svg[[파일:NRG Esports 로고 white.svg파일:vct_마스터스.svg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NRG EsportsPaper Rex
샘 오
(s0m)
칼리시 루사아디
(d4v41)
푸잔 메타
(FNS)
아론 레온하트
(mindfreak)
어스틴 로버츠
(Crashies)
제이슨 수산토
(f0rsakeN)
빅터 웡
(Victor)
파티판 포르시
(CGRS)
아르디스 스바레넥스
(ardiis)
왕징지
(Jinggg)

5.1.2.1. 1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펄, set=1, teamD=NRG, teamA=PRX,
dpic1=스카이, dpic2=킬조이, dpic3=바이퍼, dpic4=하버, dpic5=제트,
apic1=제트, apic2=아스트라, apic3=스카이, apic4=킬조이, apic5=피닉스,
dplayer1=crashies, dplayer2=Victor, dplayer3=FiNESSE, dplayer4=s0m, dplayer5=ardiis,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CGRS, aplayer5=Jinggg,
dScore=13, aScore=<b>15 )]
아메리카의 펄 전승이 PRX에 의해 처음으로 깨졌다.

연장 13:13 상황, 1대1 상황에서 시간이 부족해 스파이크를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s0m은 죽지 않고 버티기만 하면 되는 상황에서, 자신을 잡으러 오는 CGRS를 역으로 따려고 하다가 라운드 종료 0.5초 전에 오히려 킬을 따이게 되어 PRX에게 매치 포인트를 내주는 치명적인 실책을 저질렀다. 다음 라운드에 PRX가 그대로 게임을 끝내버리며 1세트를 가져갔기에 s0m 본인에게도, 팀 전체적으로도 뼈아프게 다가올 부분이다.[2]

5.1.2.2. 2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PRX, teamA=NRG,
dpic1=사이퍼, dpic2=오멘, dpic3=스카이, dpic4=게코, dpic5=레이즈,
apic1=스카이, apic2=레이즈, apic3=바이퍼, apic4=오멘, apic5=킬조이,
dplayer1=f0rsakeN, dplayer2=mindfreak, dplayer3=d4v41, dplayer4=CGRS, dplayer5=Jinggg,
aplayer1=crashies, aplayer2=Victor, aplayer3=FiNESSE, aplayer4=s0m, aplayer5=ardiis,
dScore=6, aScore=<b>13 )]



5.1.2.3. 3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3, teamD=PRX, teamA=NRG,
dpic1=하버, dpic2=브림스톤, dpic3=스카이, dpic4=게코, dpic5=레이즈,
apic1=스카이, apic2=레이즈, apic3=바이퍼, apic4=브림스톤, apic5=체임버,
dplayer1=f0rsakeN, dplayer2=mindfreak, dplayer3=d4v41, dplayer4=CGRS, dplayer5=Jinggg,
aplayer1=crashies, aplayer2=Victor, aplayer3=FiNESSE, aplayer4=s0m, aplayer5=ardiis,
dScore=<b>13, aScore=11 )]

5.1.3. 총평[편집]


파일:20230621_NRG_vs_PRX_Result.png

5.1.3.1. 패자조 결승 진출 - Paper Rex[편집]

something의 이탈로 퍼시픽 팀들 중 가장 전력이 불안하다고 평가받은 것과 달리 CGRS가 날이 갈수록 경기력이 무섭게 성장하며 아시아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켜냈다. Pacific 1팀, Americas 1팀, EMEA 1팀으로 황금 밸런스가 맞춰진 건 덤.

5.1.3.2. 탈락 - NRG Esport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2.1.2.2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4라운드[편집]



6.1. 패자조 결승 EG 3 : 2 PRX[편집]



[youtube()]

파일:vct_마스터스.svg 중계진
캐스터해설자
채민준김진영유정선

6.1.1. 경기 전[편집]


파일:20230624_EG_vs_PRX_Before.jpg
아시아 최후의 팀과 아메리카 최후의 팀이 최종 결승을 눈앞에 두고 만났다. 여기서 패배하는 팀의 소속 지역이 가장 먼저 전멸하게 된다.

6.1.2.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5, ateam=EG, bteam=PRX,
aban=바인드, bban=헤이븐,
p_apic=프랙처, p_bpic=로터스, p_apic2=스플릿, p_bpic2=펄, p_cpic=어센트,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공격, 4attack=수비, 5attack=수비)]
파일:vct_마스터스.svg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2023. 06. 24. 12:00)
마쿠하리 멧세
Evil Geniuses32Paper Rex
×××××
결승 진출결과3위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3 VALORANT Masters Tokyo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라인업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파일:vct_마스터스.svg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Evil GeniusesPaper Rex
켈든 푸펠로
(Boostio)
칼리시 루사아디
(d4v41)
에단 아놀드
(Ethan)
아론 레온하트
(mindfreak)
알렉산더 모르
(JAWGEMO)
제이슨 수산토
(f0rsakeN)
토빈 리
(C0M)
파티판 포르시
(CGRS)
맥스 마자노프
(Demon1)
왕징지
(Jinggg)

6.1.2.1. 1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EG, teamA=PRX,
dpic1=브림스톤, dpic2=브리치, dpic3=레이즈, dpic4=소바, dpic5=킬조이,
apic1=네온, apic2=브림스톤, apic3=킬조이, apic4=브리치, apic5=레이즈,
dplayer1=Demon1, dplayer2=Ethan, dplayer3=JAWGEMO, dplayer4=C0M, dplayer5=Boostio,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CGRS, aplayer5=Jinggg,
dScore=<b>13, aScore=7 )]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EG, teamA=PRX,
1d=delim, 1a=,
2d=defuse, 2a=,
3d=, 3a=aelim,
4d=, 4a=boom,
5d=defuse, 5a=,
6d=defuse, 6a=,
7d=defuse, 7a=,
8d=delim, 8a=,
9d=delim, 9a=,
10d=delim, 10a=,
11d=, 11a=boom,
12d=delim, 12a=,
13d=delim, 13a=,
14d=delim, 14a=,
15d=, 15a=aelim,
16d=delim, 16a=,
17d=delim, 17a=,
18d=, 18a=boom,
19d=, 19a=aelim,
20d=, 20a=aelim,)]
대놓고 PRX의 네온을 넣은 2엔트리 조합을 카운터치는 양상으로 1세트를 압승을 거둔 EG였다.

6.1.2.2. 2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EG, teamA=PRX,
dpic1=제트, dpic2=스카이, dpic3=오멘, dpic4=바이퍼, dpic5=킬조이,
apic1=사이퍼, apic2=오멘, apic3=스카이, apic4=게코, apic5=레이즈,
dplayer1=Demon1, dplayer2=Ethan, dplayer3=JAWGEMO, dplayer4=C0M, dplayer5=Boostio,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CGRS, aplayer5=Jinggg,
dScore=12, aScore=<b>14 )]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EG, teamA=PRX,
1d=delim, 1a=,
2d=delim, 2a=,
3d=, 3a=boom,
4d=, 4a=aelim,
5d=, 5a=aelim,
6d=, 6a=boom,
7d=, 7a=aelim,
8d=, 8a=aelim,
9d=, 9a=aelim,
10d=defuse, 10a=,
11d=defuse, 11a=,
12d=defuse, 12a=,
13d=defuse, 13a=,
14d=delim, 14a=,
15d=, 15a=aelim,
16d=, 16a=aelim,
17d=, 17a=aelim,
18d=defuse, 18a=,
19d=delim, 19a=,
20d=, 20a=aelim,
21d=, 21a=aelim,
22d=defuse, 22a=,
23d=, 23a=aelim,
24d=defuse, 24a=, )]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연장1, teamD=EG, teamA=PRX,
25d=, 25a=aelim,
26d=delim, 26a=, )]


찡이 또 다시 물오른 에임을 과시하며 멱살잡고 팀을 위기에서 구해내고 시리즈 동점을 만들었다.

6.1.2.3. 3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3, teamD=EG, teamA=PRX,
dpic1=제트, dpic2=스카이, dpic3=레이즈, dpic4=바이퍼, dpic5=아스트라,
apic1=제트, apic2=아스트라, apic3=바이퍼, apic4=스카이, apic5=레이즈,
dplayer1=Demon1, dplayer2=Ethan, dplayer3=JAWGEMO, dplayer4=C0M, dplayer5=Boostio,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CGRS, aplayer5=Jinggg,
dScore=10,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EG, teamA=PRX,
1d=delim, 1a=,
2d=delim, 2a=,
3d=, 3a=aelim,
4d=defuse, 4a=,
5d=delim, 5a=,
6d=delim, 6a=,
7d=delim, 7a=,
8d=delim, 8a=,
9d=, 9a=aelim,
10d=, 10a=aelim,
11d=, 11a=boom,
12d=delim, 12a=,
13d=delim, 13a=,
14d=delim, 14a=,
15d=delim, 15a=,
16d=defuse, 16a=,
17d=delim, 17a=,
18d=, 18a=aelim,
19d=delim, 19a=,
20d=, 20a=aelim,
21d=delim, 21a=,
22d=delim, 22a=,
23d=delim, 23a=,
24d=, 24a=, )]
전반 4:8로 불리하게 시작했던 PRX가 후반 5연승을 달리며 분위기를 가져오더니 결국 대역전에 성공하며 세트를 가져가며 매치 포인트를 만들어내며 결승 진출에 딱 한 걸음만을 남겨두었다.

6.1.2.4. 4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펄, set=4, teamD=EG, teamA=PRX,
dpic1=제트, dpic2=스카이, dpic3=하버, dpic4=바이퍼, dpic5=킬조이,
apic1=제트, apic2=아스트라, apic3=스카이, apic4=킬조이, apic5=피닉스,
dplayer1=Demon1, dplayer2=Ethan, dplayer3=JAWGEMO, dplayer4=C0M, dplayer5=Boostio,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CGRS, aplayer5=Jinggg,
dScore=<b>13, aScore=6 )]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EG, teamA=PRX,
1d=defuse, 1a=,
2d=, 2a=aelim,
3d=, 3a=aelim,
4d=defuse, 4a=,
5d=, 5a=aelim,
6d=defuse, 6a=,
7d=delim, 7a=,
8d=, 8a=aelim,
9d=time, 9a=,
10d=, 10a=boom,
11d=defuse, 11a=,
12d=delim, 12a=,
13d=, 13a=aelim,
14d=, 14a=boom,
15d=, 15a=boom,
16d=defuse, 16a=,
17d=, 17a=boom,
18d=, 18a=aelim,
19d=, 19a=aelim,
20d=, 20a=,
21d=, 21a=,
22d=, 22a=,
23d=, 23a=,
24d=, 24a=, )]
EG가 PRX의 펄을 잘 분석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경기력으로 시리즈 동점을 만들며 5세트로 가게 됐다.

6.1.2.5. 5세트[편집]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5, teamD=PRX, teamA=EG,
dpic1=제트, dpic2=오멘, dpic3=케이/오, dpic4=페이드, dpic5=세이지,
apic1=제트, apic2=케이/오, apic3=오멘, apic4=소바, apic5=킬조이,
dplayer1=f0rsakeN, dplayer2=mindfreak, dplayer3=d4v41, dplayer4=CGRS, dplayer5=Jinggg,
aplayer1=Demon1, aplayer2=Ethan, aplayer3=JAWGEMO, aplayer4=C0M, aplayer5=Boostio,
dScore=8,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PRX, teamA=EG,
1d=delim, 1a=,
2d=delim, 2a=,
3d=defuse, 3a=,
4d=, 4a=boom,
5d=, 5a=aelim,
6d=, 6a=aelim,
7d=, 7a=aelim,
8d=, 8a=boom,
9d=, 9a=aelim,
10d=, 10a=aelim,
11d=, 11a=aelim,
12d=delim, 12a=,
13d=delim, 13a=,
14d=delim, 14a=,
15d=, 15a=aelim,
16d=defuse, 16a=,
17d=, 17a=aelim,
18d=, 18a=aelim,
19d=defuse, 19a=,
20d=, 20a=aelim,
21d=delim, 21a=,
22d=, 22a=,
23d=, 23a=,
24d=, 24a=, )]

6.1.3. 총평[편집]


파일:20230624_EG_vs_PRX_Result.png

6.1.3.1. 결승 진출 - Evil Geniuses[편집]

위기도 있었지만 PRX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빛을 발하며 다시 한 번 FNC에 도전할 기회를 잡았다.

6.1.3.2. 탈락 (대회 3위) - Paper Rex[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2.1.3.1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패자조 결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0:42:50에 나무위키 2023 VALORANT Masters Tokyo/플레이오프/패자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5판 3선승제.[2] 특히 s0m은 3세트 합 62킬 42데스, ACS 248로 팀 1위를 기록할 만큼 잘 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런 뼈아픈 실책은 아쉬울만한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