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메이트

덤프버전 : r20190312

분류



파일:메이트 메인.png
H-메이트
글/그림거북발
연재 사이트탑툰
연재 날짜2015년 4월 8일 ~ 2017년 6월 6일
연재 요일매주 수요일 연재
장르드라마
보러가기

1. 개요
2. 스토리
3. 등장인물
3.1. 우태봉
3.2. 장미로
3.3. 하세영
3.4. 조지
4. 감상포인트
4.1. 관련 여담



1. 개요[편집]


웹툰 플랫폼 탑툰에서 연재되었다. 우리만 아는 세계를 그린 거북발 작가의 작품이며, 현재 해외에 활발히 수출되고 있다.
H메이트는 일본, 대만, 미국 등 각지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고, 7천만 이상의 조회수로 역대급 인기를 자랑하였다.

2. 스토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태봉과 장미로는 15년 지기 친구로, 술을 많이 마신 날이면 한 집에서 같이 잠을 잘 정도로 스스럼 없는 사이다.
태봉에게 의지하며 지내던 미로는 동거하던 남자친구에게 태봉과의 관계를 추궁받으며 충격적인 이별통보를 받게 되고,
갈 곳이 없는 미로는 태봉의 집으로 들어가 룸메이트가 되면서 둘 사이의 균열이 벌어지게 된다.

3.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우태봉[편집]



파일:메이트 우태봉.png

"우정의 선을 넘지 않기 위한 몸부림…미로도 그 사실을… 알고 잇을까?"

사랑했던 전 여자친구와 한 순간의 실수로 이별하게 되어 오랜 시간을 괴로워 한다.
이전부터 미로와 친구 이상의 감정을 품고 있었지만, 이어져 오던 친구 관계를 깨트릴 만큼의 용기를 내지 못하고 있었다.
자신의 마음을 받아주지 않는 미로와 자신을 좋아하는 직장동료 세영의 사이에서 갈팡질팡 한다.


3.2. 장미로[편집]



파일:메이트 장미로.png

"영원히 친구로…내 옆에 있어줄 거라고 그랬잖아."
태봉과의 관계를 의심한 남자친구에 의해 충격적인 방법으로 이별을 통
보받게 되고, 남자친구와동거하던 집에서 쫒겨나 집울 구하기 전까지 임시로 태봉의 집에 머무르게 된다.
친구 관계를 벗어나 연인으로써 지내자고 했던 태봉을 거절했지만, 자신의 마음에 대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3.3. 하세영[편집]



파일:메이트 하세영.png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터치를 해줘야 해요. 최대한 부드럽게…"

태봉의 직장동료로 얌전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통하고 있지만, 보기와는 달리 은밀하고 독특한 취향을 가지고 있다.
태봉에게 계속 호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용기를 내어 태봉에게 대쉬한다.

3.4. 조지[편집]


파일:메이트 조지.png

"즐겨요 미로씨, 인생 뭐 있어?"

외국인 프리랜서 사진가로 능글맞은 성격에, 굉장한 플레이보이다.
피팅모델을 하던 미로와 만남을 계기로 미로를 노리게 되며, 미로가 태봉에게 갖고있는 미묘한 감정을 이용하여 미로를 유혹하려 한다.

4. 감상포인트[편집]


사랑과 우정 사이

오랜 시간을 친구로써 지내온 태봉과 미로, 남녀는 친구가 될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서로가 서로를 이성으로써 인식하게 된 순간부터 완벽했던 그들의 우정은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4.1. 관련 여담[편집]


남자와 여자는 친구가 될 수 있는가

남녀 사이의 우정은 한 끗 차이의 외줄타기라고들 한다.
실제 미국의 대표적 진화심리학자 데이비드 버스(David Buss)는 남녀관계에서 나타나는 인간 심리의 복잡한 양상을 진화론적 관점으로 풀어냈다.
‘이성친구와 우정이 가져올 수 았는 잠재적인 이득’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이성친구에 대한 성적 접근 가능성에 대한 이득의 크기’를 묻는 질문에 대해 남성은 여성보다 2배 가량 높은 수치로 긍정적인 답을 말했으며, 이를 통해 남성의 경우 ‘성적 과지각 편향(sexual over-perception bias)’이 발달되어 성적 신호를 우선으로 한다는 것과, 여성은 타인의 호의를 쉽게 믿지 않는 ‘헌신 회의 편향(commitment skepticism bias)’이 발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자와 여자는 친구가 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