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
,
,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문서명(표제어)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으로 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문서명(표제어)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으로 하기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


파일:kdl icon dark.svg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리그 출범KDL
Preseason 1
KDL
Preseason 2
KDL Preseason 1 SOLO CHAMPION
-이재혁
Zzz
홍성민
Luning
KDL Preseason 1 TEAM CHAMPION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KWANGDONG FREECS

파일:2023_KDL_Preseason_1_Single_Champion_Zzz.jpg
파일:2023_KDL_Preseason_1_Team_Champion_KDF.jpg

파일:KDL logo.png파일:KDL logo light.png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KartRider: Drift League Preseason 1
대회 기간2023년 4월 8일 ~ 2023년 5월 14일
주최파일:넥슨 로고.svg[[파일:넥슨 로고 다크.svg
주관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경기장비타500 아프리카 콜로세움
중계
일정
[ 펼치기 · 접기 ]

팀전
8강 풀리그4월 8일 ~ 5월 3일
포스트시즌5월 6일 ~ 5월 7일
결승전5월 14일
개인전
32강4월 8일 ~ 4월 16일
16강4월 22일 ~ 5월 7일
결승전5월 13일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팀전개인전
KWANGDONG FREECSZzz
준우승팀전개인전
Liiv SANDBOXNEAL


1. 개요
3. 참가 팀
4. 상금
5. 경기 일정
8. 출전 선수
8.1. 팀전
8.2. 개인전
9. 서브 코너
9.1. WEEKLY TOP 5
9.2. 부스톡
10. 대회 진행
12.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
12.1. 팀전
12.2. 개인전
13. 논란 및 사건 사고
13.1. 옵저버 관련 문제와 라이브 서버와 트랙이 다르다는 의혹
13.2. 프리시즌 1 도중 발생한 프리시즌 2 참가 자격 논란
14. 여담




1. 개요[편집]


KDL Preseason 1 Title
넥슨 코리아가 주최하고, 아프리카 TV가 주관하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1번째 프리시즌 리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리그 기간: 오프라인 예선 진행 후 2023년 4월 8일 ~ 2023년 5월 14일
  • 경기 방식: 스피드/아이템 팀전과 스피드 개인전으로 나누어 실시
  • 결승 장소: 비타500 아프리카 콜로세움
  • 결승 관중 수: 326명 (매진) 기사
    • 결승 온라인 생중계 최고 동시 시청자 수: 4만명 이상
  • 리그 평균 시청자 수: 9천여명


2. 시즌 전 스토브리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스토브리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참가 팀[편집]


||



4. 상금[편집]


파일:Kart_Team_Icon.png팀전순위파일:Kart_Individual_Icon.png개인전
₩ 40,000,000
우승
₩ 10,000,000
₩ 20,000,000준우승₩ 5,000,000
₩ 10,000,0003위₩ 3,000,000
₩ 5,000,0004위각 ₩ 1,000,000
각 ₩ 2,000,0005~8위
₩ 83,000,000합계₩ 23,000,000

5. 경기 일정[편집]


파일:Kart_Team_Icon.png팀전날짜파일:Kart_Individual_Icon.png개인전
프로팀 모집2월
예선 참가 신청3월 9일(목)
~3월 15일(수)
예선 참가 신청
오프라인 예선3월 26일(일)오프라인 예선
8강 1, 2경기4월 8일(토)32강 A조
8강 3, 4경기4월 9일(일)32강 B조
8강 5, 6, 7경기4월 12일(수)
8강 8, 9경기4월 15일(토)32강 C조
8강 10, 11경기4월 16일(일)32강 D조
8강 12, 13, 14경기4월 19일(수)
8강 15, 16경기4월 22일(토)16강 1경기
8강 17, 18경기4월 23일(일)16강 2경기
8강 19, 20, 21경기4월 26일(수)
8강 22, 23경기4월 29일(토)16강 승자전
8강 24, 25경기4월 30일(일)16강 패자전
8강 26, 27, 28경기5월 3일(수)
준플레이오프, 결승진출전
5월 6일(토)
플레이오프
5월 7일(일)
16강 최종전
5월 13일(토)
결승전
결승전
5월 14일(일)

6. 오프라인 예선[편집]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오프라인 예선 문서에서 전국 단위 오프라인 예선전 진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프리시즌 1 리그의 경우에는 기존 카트라이더 리그에 참가했던 선수와 팀으로 자격을 제한한다. 팀전의 경우 기존과 같이 자격을 만족하는 프로팀은 본선으로 직행하고, 나머지 팀들은 예선을 통해서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원래는 25일에 개인전, 26일에 팀전을 따로 치룰 예정이었지만 26일에 개인전과 팀전을 같이 진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7. 규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규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출전 선수[편집]



8.1. 팀전[편집]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LSB.jpg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LSB
HYBRIDITEM ACESPEED ACE 파일:crwn.pngSWEEPERRUN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현수
HyunSu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민
JiMi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인수
InSoo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승하
SeungHa

[KL]
파일:대만 국기.svg 리우창헝
NEAL

[KL]

카트리그 개인전 1회 우승, 팀전 8회 우승이라는 업적을 쌓아 올리며 작년 수퍼컵까지 팀의 큰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김승태가 군 입대를 하면서 로스터에 큰 공백이 생기나 싶었으나, 그 빈자리를 KL 21-S과 22-1 두 시즌 연속으로 팀전 우승을 차지한 문호준 사단의 블레이즈 소속으로 활약했던 김지민이 채우게 되었다. 5인 모두 최근까지 기존 카트 리그에서 스피드, 아이템 가릴 것 없이 정상급 폼을 보여주는 화려한 경력을 가진 선수들이므로, 올해 새롭게 출발하는 KDL에서도 무적함대라는 별명에 걸맞는 실력을 변함없이 보여줄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는 평.

특히 KL과 차별화된 점이라면 김지민이 아이템 에이스로 포지션을 변경했고, 닐이 러너로서 스피드전 출전이 고정되었다는 점이다.[1][2] 이를 통해 리브 샌드박스가 프리시즌에서는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지가 관건이다.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KDF.jp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KWANGDONG FREECS KDF
RUNNERRUNNERRUNNERSPEED AC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성빈
SUNGBI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혁
Zzz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현
SPEAR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준현
DogWorld

[KL]

기존의 프랜차이즈 스타인 유영혁[3]을 비롯해서 아이템전의 스페셜리스트 이은택, 슈퍼 옵저버 모드 송용준이 로스터에서 빠지고 그 빈 자리를 작년까지 문호준 사단의 블레이즈 소속이었던 배성빈과 유창현이 채웠다. 이재혁과 유창현은 서로 플레이적으로 정말 잘 맞는데, 마치 2019년도의 문호준 - 유영혁을 보는 듯하다는 평이 있다. 거기에 유영혁, 이은택의 영향으로 항상 팀 평균 연령이 압도적으로 높은 프릭스였는데 이번 로스터부터는 01년생 둘이 들어오며 확연히 낮아졌다.

그러나 아이템전은 아무리 하이브리드인 유창현과 배성빈이 들어왔다고는 하나 이은택이 빠지고 노준현이 2년만에 아이템을 뛰는만큼 살짝 불안요소가 존재한다. 넷 모두 러너 성향이 강한 선수이기에 21-S시즌의 NTC와 비슷하게 스위퍼 역할을 할 선수가 애매하단 점도 걸리는 점이다.

광동 프릭스는 항상 뛰어난 선수들을 빠르게 영입해오는 방식을 통해 카트 리그에서 오랫동안 강력한 모습을 보여줘왔지만, 문호준이 이끌던 팀과 박인수가 이끄는 샌드박스에 밀려 우승과는 연이 닿지 못했다. 그럼에도 최근까지의 성적은 확실히 우상향을 기록했었으며 이번 로스터 역시도 매우 강력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에 부족함이 전혀 없으므로, 선수들이 얼마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에 빠르게 적응했느냐에 따라 폼이 갈리긴 하겠으나 새로 시작하는 KDL에서는 그토록 바라던 팀전 우승을 해낼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ROX.jpg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ROX
SWEEPERHYBRIDSPEED ACEMIDDLEITEM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진건
VEGA

[KRP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환
Duzzi

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종문
JJONG

[KRP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준
Spell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석주엽
PLANZY

4위[KL]

프로팀은 물론 리그 참가팀들 중에서 유일하게 KRPL 선수들을 KDL로 데리고 온 프로팀이다. KRPL 통산 최다우승자이자 KRPL의 황제라고 불리우는 JJONG 한종문, 마찬가지로 KRPL에서 정상급 폼을 보여준 VEGA 이진건이 합류했다. 이들이 KDL에서도 이름값에 걸맞는 폼을 보여주는 것이 과연 가능할지 기대된다는 평이다.[4] 작년 KL 22-S 피날레 e스포츠 소속으로 활동했던 석주엽과 김우준도 최근까지 좋은 활약을 보여주던 선수들이다. Duzzi 김지환의 경우 이번 시즌 모든 선수를 통틀어 유일하게 KL 또는 KRPL 경력이 전혀 없는 순수 신인이다. 올해 새롭게 시작하는 드리프트 리그에서 가장 신선한 조합의 로스터를 구성한 락스가 과연 어떠한 결과를 보여줄 수 있을지 큰 기대가 된다는 평.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Sensation.jpg
파일:KDL_Sensation.png
Sensation SST
RUNNERSWEEPERSPEED ACE 파일:crwn.png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병수
Speed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응태
Percent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호준
HoJun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훈
Guard

[KL]

KL 20-1 시즌 팀전, 개인전 양대 우승을 이뤄내고 20-2 시즌에는 팀전에만 출전하여 팀을 2연속 우승으로 이끈 뒤 선수생활 은퇴를 선언하며 감독으로 전향했던 카트황제 문호준의 선수 복귀가 공식화되면서 이 팀과 리그에 기대를 거는 팬들이 많아졌다. 게다가 기존 카트라이더 리그에서의 네임벨류로 따지자면 의문이 들겠지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에서는 고병수김응태가 1티어 선수로 떡상했고, 이젠 산전수전 다 겪은 베테랑이면서도 여전히 최정상급 폼을 보이는 문호준최영훈까지 있기에 내로라 하는 프로팀을 상대로도 승리를 거두고 최종 우승을 한다 하더라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라는 평을 받고 있다. 이런 평가에 걸맞게 예선 B조에서는 다른 세 팀 Wish, Planet, THREAT을 연이어 에결과 풀세트 없이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격파하고 본선에 진출했다. 변수라면 아이템전인데, 원작에서 아이템전을 못하기로 유명했던 김응태와 고병수가 있음에도 4인 체제를 선택했기 때문에 김응태와 고병수의 아이템전 숙련도도 어느 정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Aura.jpg
파일:KDL_Aura.png
Aura AR
SWEEPERMIDDLEITEM ACEHYBRIDRUN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원
Seize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승현
Navi

6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택
Taek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송용준
Knock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원
Hero

[KL]

작년 수퍼컵 On-Off의 주장 임재원을 중심으로 우여곡절 끝에 새롭게 구성된 팀이다. 작년까지 광동 프릭스에서 활동했던 이은택과 송용준에, 마찬가지로 작년 DFI 블레이즈에서 활동했던 김다원이 이 팀에 합류하면서 문호준의 Sensation, 김승래의 ReBoot에도 전혀 꿀리지 않는 강력한 라인업이 갖춰졌다고 볼만 하다. 다만 긴급하게 마지막 멤버로 들어온 최승현의 실력이 의문부호라는 점[5], 나머지 멤버들은 기존 카트라이더 리그에서는 나름 중상위권을 기록하는 선수들이지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적응 문제를 피할 수 없어 불안하다는 평가는 존재한다. 예선 A조에서 아이템 그 자체라고 불리우는 이은택의 존재덕분에 아이템 강팀의 면모를 보여주면서 피날레 e스포츠와 PASCAL을 연이어 격파하며 김승래의 ReBoot와 맞붙지 않고 2승 0패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피날레 e스포츠와의 스피드전에서는 3:1로 패배한 전적이 있으므로 본선에서 높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스피드전 보강이 필요하다.

여담으로 프릭스에 있던 선수만 3명이라 광동 프릭스와 재미있는 구도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ReBoot.jpg
파일:KDL_ReBoot.png
ReBoot RBT
RUNNERITEM ACEMIDDLEHYBRIDSPEED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명재
DDing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순우
Pure

6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래
Cosu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민
Luning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정현
Load

5위[KL]

문호준 사단의 Sensation과 더불어서 정규리그 4위까지 참가할 수 있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 팀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는 팀이다. 2020 시즌 2를 끝으로 선수 생활을 은퇴했던, 코치 겸 선수로 유명한 김승래가 Cosu 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면서 선수로써의 복귀를 공식으로 선언했다. 김승래와 이명재는 개인전 예선에서 1단계 조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좋은 기량을 보여주고 있고, 작년 카트라이더 리그 팀전에서 새로운 다크호스로 떠오르며 이번 예선에서도 꽤나 훌륭한 폼을 보여준 홍성민이 소속되어 있다. 예선 A조에서 PASCAL과 피날레 e스포츠를 연이어 격파하며 임재원의 Aura와는 맞붙지 않고 2승 0패로 본선에 진출했으나, 피날레 e스포츠와의 아이템전에서 풀세트 끝에 패배했기 때문에 아이템전 보강과 더불어 본선에서 복수를 노리는 피날레 e스포츠를 상대로 많은 준비가 필요해보인다.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FNL2.webp
파일:finale e-sports.png
FINALE e-sports FNL
RUNNERSPEED ACEITEM ACESWEEPERHYBR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정환
STRIKER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서형
Yoon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승민
Banana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중
Vanilla

8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태민
Taemin

5위[KL]

작년 수퍼컵에서 활동했던 김우준, 석주엽이 오랜만에 리그로 복귀한 프로팀 ROX로 이적하였고 최준호가 퇴단하였긴 하나, 이제는 사실상 프랜차이즈 멤버로 불려도 손색이 없을 듯한 박태민과 윤서형이 남아 명맥을 이어나감과 동시에, 작년 카트 리그 팀전 세 시즌동안 악셀즈, 싱크홀, Glorious H를 두루 거치면서 인상적인 실력과 세레모니를 보여주며 팬들의 기억 속에 자신을 확실히 각인시킨 안정환과, KL 22-1 DDK 소속으로 활동했던 김현중, 그리고 포지션은 아이템 에이스이지만 이번 개인전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스피드 또한 뛰어나다고 널리 알려져있는 Banana좌 정승민을 영입했다. 리브 샌드박스와 광동 프릭스처럼 작년 카트 리그에서부터 이번 KDL에서도 피날레 e스포츠라는 팀명을 그대로 유지하는 만큼, 팀의 아이덴티티 그리고 선수들 커리어를 본다면은 이 팀 역시 4강에 도전할 자격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예선 2단계 싱글 토너먼트를 거쳐 가장 마지막으로 본선에 합류한 팀이지만, A조에서 본선 진출에 성공한 김승래의 ReBoot와 임재원의 Aura를 상대로 각각 템전과 스피드전을 잡고 에결까지 끌고갔으며 조 3위 결정전에서 PASCAL에 승리한 뒤, B조 4위 Wish와 A조 4위 PASCAL을 연이어 에결 없이 격파하며 본선 마지막 티켓을 거머쥐었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KDL 대회 경험만큼은 가장 많이 쌓여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예선에서 자신들에게 에결 끝 패배를 안겨주었던 ReBoot와 Aura에게 본선에서 통쾌한 복수를 노리고 있을 것이다.

파일:2023_KDL_Preseason 1_Team_Planet.jpg
파일:KDL_Planet.png
Planet PLN
SPEED ACEHYBRIDSWEEPERRUNNERITEM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승민
AcidFly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훈
Scarlet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식
MINSIK

N/A[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태경
Mari

N/A[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의열
Lens

8위[KL]

본선에 진출한 다른 팀들의 쟁쟁한 라인업과 비교하면 확실히 리그 경험이 가장 적은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6] 최하위권을 면하기 힘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새로 시작하는 KDL이므로 어떠한 변수가 발생할 지 알 수 없고, 한승민과 신민식은 이번 개인전 본선 진출에 성공한 만큼 팀적으로 스피드 실력이 떨어진다고 보기 어려우며, 기존 KL 아이템전에서 아이템 에이스 포지션 선수로써 나름 괜찮은 승률을 보유한 김의열을 필두로 에이스 결정전까지 끌고 간다면, KL 22-1의 Phase와 22-S 4강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여준 Lunatic을 거쳐오며 스피드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한승민을 비롯해 신민식, 김재훈, 이태경 모두 개인전 32강 본선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의외의 활약을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선수들의 노력과 숨은 실력에 주목해 보자.
예선 B조에서 THREAT, Sensation, Wish를 상대했고 THREAT과는 에결 끝 승리, Sensation에는 6:2 패배, Wish 상대로는 스피드와 아이템 모두 승리하면서 최종 2승 1패를 기록, 3승 0패를 기록한 문호준이 이끄는 Sensation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본선에 합류했다.

8.2. 개인전[편집]


본선 시드를 받는 선수 없이 예선을 무조건 치룬 선수들이 개인전 본선에 진출한다. 정규 시즌은 아니지만 그래도 첫 KDL 공식 대회이기에 선수들이 이 대회에서 보여준 폼을 기준으로 평가가 갈릴 듯하다. 레이서명 아래의 문구는 해당 선수가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거둔 최고 성적을 표시한다. 조 추첨은 오프라인 예선 직후 해설진(박인재, 김대겸, 정준)이 진행했다. 1라운드 조 1위 7명을 각 조 1, 2번 시드(옐로우, 블랙) 8자리에 추첨을 통해 우선 배치한 뒤 남은 자리[7]에 남은 선수들을 배정했다.

A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인수
InSoo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현수
HyunSu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정환
STRIKER

9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승하
SeungHa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혁
Zzz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민
Luning

22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현
SPEAR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승주
Glamint

31위[KL]
명실상부 최강의 32강 개인전 조이다. 박인수, 유창현, 이재혁, 박현수, 정승하, 홍성민, 안정환이 포함된 조이다. 4명이 올라가고 4명이 떨어지는 방식에서 과연 박인수 이재혁 유창현 박현수 정승하 5명의 선수중 누가 떨어질지가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B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호준
HoJun

[KL]
파일:대만 국기.svg 리우창헝
NEAL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응태
Percent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해원
Wave

23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용준
Knock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훈
Guard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영혁
Perfect

[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성빈
SUNGBIN

[KL]
A조 다음으로 어렵다고 평가받는 조이다. 개인전만 10번을 우승한 개인전 황제 문호준, 최초이자 유일한 양대 로열로더를 이루고 개인전에서 유일하게 이재혁을 2set에서 잡아낸 NEAL, 준우승만 6번한 송용준, 문호준의 KL 현역 시절 라이벌리를 이루었던 유영혁, 팀전V4를 달성한 배성빈, 군 전역후 꾸준하게 결승에 진출하고 있는 김응태 등 굴직한 선수들이 많이 포진된 조이다. 특히 이 조는 이해원을 제외하고 KL 개인전 결승 경험이 있는 선수들로 이루어져 있다.

C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준현
DogWorld

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래
Cosu

7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혁
Chorong

N/A[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한
Han

N/A[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건하
Summer

21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서형
Yoon

24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승민
Banana

21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현
SangHyun

19위[KL]

D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식
MINSIK

19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명재
DDing

10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민
JiMin

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승민
AcidFly

N/A[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병수
Speed

12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준
Spell

8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온유민
Yumin

25위[K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중
Vanilla

N/A[KL]

9. 서브 코너[편집]



9.1. WEEKLY TOP 5[편집]


업로드 일자경기 날짜경기라운드순위주요 선수클립 제목영상
2023.04.132023.04.08개인전 32강 A조TRACK 4
아이스 설산 다운힐
TOP 1InSoo초고속 순위 엘리베이터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04.09팀전 8강 4경기
파일:KDL_Aura.png vs 파일:KDL_Planet.png
ITEM TRACK 1
팩토리 브로디의 심술
TOP 2Taek지휘자에서 해결사로
2023.04.08팀전 8강 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KDL_Sensation.png
SPEED TRACK 1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TOP 3HoJun복귀의 신호탄을 쏘다!
2023.04.09팀전 8강 3경기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SPEED TRACK 3
월드 시안 병마용
TOP 4ZzzROX 여기 잠들다...
SPEED TRACK 1
광산 골드러쉬
TOP 5Duzzi데뷔 첫 트랙부터 1위하는 선수가 있다?!
2023.04.202023.04.16팀전 8강 10경기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vs 파일:KDL_Planet.png
ACE
사막 피라미드 탐험
TOP 1JJONG이세계에서 온 에결 종결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팀전 8강 11경기
파일:finale e-sports.png vs 파일:KDL_Aura.png
SPEED TRACK 3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TOP 2Hero영웅의 희생 정신
2023.04.12팀전 8강 5경기
파일:KDL_Sensation.png vs 파일:KDL_Aura.png
ACE
빌리지 고가의 질주
TOP 3HoJun역사에 남을 첫 에이스 결정전
2023.04.15팀전 8강 9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KDL_ReBoot.png
SPEED TRACK 2
월드 시안 병마용
TOP 4SeungHa드래프트 안 줄건데~~
2023.04.16개인전 32강 D조TRACK 9
팩토리 미완성 5구역
TOP 5Speed인터뷰 주인공은 나야 나
2023.04.272023.04.19팀전 8강 12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PEED TRACK 2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TOP 1SPEAR일타쌍피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04.22팀전 8강 15경기
파일:KDL_Sensation.png vs 파일:KDL_ReBoot.png
ACE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
TOP 2Luning자이언트 킬러 탄생!
팀전 8강 16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KDL_Planet.png
SPEED TRACK 3
빌리지 붐힐 터널
TOP 3SPEAR넌 내가 찍었어
개인전 16강 1경기TRACK 6
광산 골드러쉬
TOP 4Zzz운동장? 그냥 해보고 싶었어요
팀전 8강 15경기
파일:KDL_Sensation.png vs 파일:KDL_ReBoot.png
SPEED TRACK 4
빌리지 붐힐 터널
TOP 5Guard훈가드의 문단속
2023.05.042023.04.30팀전 8강 25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ACE
빌리지 고가의 질주
TOP 1JJONG오른쪽 슛 들어갑니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PEED TRACK 4
월드 시안 병마용
TOP 2InSoo불사조 기사단 LSB
2023.04.26팀전 8강 19경기
파일:KDL_Planet.pn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PEED TRACK 3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TOP 3100점짜리 익스트림 다이빙
팀전 8강 20경기
파일:KDL_ReBoot.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SPEED TRACK 2
월드 LA 부스트우드
TOP 4SUNGBIN거리가! 줄어! 들어요!
팀전 8강 19경기
파일:KDL_Planet.pn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ITEM TRACK 3
광산 뽀글뽀글 용암동굴
TOP 5Lens찰나의 순간
2023.05.112023.05.07팀전 플레이오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KDL_Aura.png
ACE
빌리지 고가의 질주
TOP 1HyunSu우넴시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05.06팀전 결승진출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PEED TRACK 4
사막 피라미드 탐험
TOP 2SPEAR보리~ 보리~ 창!
ACE
사막 피라미드 탐험
TOP 3DogWorld결승은 우리가 먼저 갈게
2023.05.07팀전 플레이오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KDL_Aura.png
SPEED TRACK 5
월드 LA 부스트우드
TOP 4SeungHa폼 미쳤다
개인전 16강 최종전TRACK 3
광산 골드러쉬
TOP 5NEAL폭주하는 퍼플의 닐
2023.05.182023.05.13개인전 결승전
SET 2
ROUND 3
사막 오래된 송수관
TOP 1Zzz챔피언 탄생의 순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개인전 결승전
SET 1
ROUND 12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TOP 2InSoo인수의 모든 날을 응원해
ROUND 10
포레스트 지그재그
TOP 3Zzz기승닐쿨
ROUND 14
사막 오래된 송수관
TOP 4NEAL다음 코너는 2인전행 복합굴절입니다.
ROUND 4
아이스 설산 다운힐
TOP 5NEAL무조건 1등한단 마인드
2023.05.192023.05.14팀전 결승전 PHASE 2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ACE
월드 시안 병마용
TOP 1DogWorldBITE I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팀전 결승전 PHASE 1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PEED TRACK 5
빌리지 고가의 질주
TOP 2SPEAR와 ㅋㅋㅋㅋㅋㅋ
ACE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TOP 3DogWorld또...너냐...?
팀전 결승전 PHASE 2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PEED TRACK 3
빌리지 붐힐 터널
TOP 4SPEAR착한 얼굴에 그렇지 못한 태도
팀전 결승전 PHASE 1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PEED TRACK 4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TOP 5InSoo꿀맛 드래프트

9.2. 부스톡[편집]


화제의 트랙에서 벌어진 부스 내 브리핑 대화 상황을 보여주는 컨텐츠. 팀전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개인전 경기는 업로드 되지 않는다.
업로드 일자당시 경기날짜경기라운드타이틀영상
2023.04.172023.04.088강 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KDL_Sensation.png1SET 1R, 3R개막전부터 샌센전?! 이거 참 쌘세이션하네요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04.098강 3경기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1R, 4R
8강 4경기 파일:KDL_Aura.png vs 파일:KDL_Planet.png2SET 1~2R
2023.04.242023.04.128강 5경기 파일:KDL_Sensation.png vs 파일:KDL_Aura.png1SET 4R, 2SET 4R, 3SETSiuuuuuuuuuuuuuuuuuuuu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04.158강 8경기 파일:KDL_Sensation.png vs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1SET 2R, 2SET 5R
2023.04.168강 10경기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vs 파일:KDL_Planet.png2SET 4R, 3SET
2023.04.158강 9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KDL_ReBoot.png1SET 1R 종료[10]
2023.05.012023.04.198강 12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SET 2R, 2SET 5R, 3SET??: 에결이 몇개고??! (+NEAL Korean Settings 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강 13경기 파일:finale e-sports.png vs 파일:KDL_Sensation.png1SET 3R, 2SET 3R, 3SET
2023.04.228강 15경기 파일:KDL_Sensation.png vs 파일:KDL_ReBoot.png3SET
8강 16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KDL_Planet.png
2023.04.238강 18경기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vs 파일:finale e-sports.png
2023.05.082023.04.298강 23경기 파일:KDL_ReBoot.png vs 파일:KDL_Aura.png1SET 3R, 2SET 1R에결 '쫑'결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04.308강 25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1SET 4R, 2SET 2~3R, 3SET
2023.05.122023.05.06준플레이오프 파일:KDL_Aura.png vs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1SET 1R, 2SET 7R그냥 하염없이 눈물이 나..그냥 하염없이 서글퍼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결승진출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SET 2R, 2SET 7R, 3SET
2023.05.07플레이오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vs 파일:KDL_Aura.png1SET 4, 7R, 2SET 4~5R, 3SET
2023.05.222023.05.14결승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vs 파일:Liiv SANDBOX 로고.svgPHASE 1 1SET 5R, 2SET 2R, 3SET처음, 그리고 마지막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HASE 2 2SET 3R, 3SET

10. 대회 진행[편집]





10.1. 팀전[편집]



10.1.1. 8강 풀리그[편집]


파일:logo_kartriderleague_w_KDL.png KartRider: Drift League Preseason 1
8강 풀리그 순위표
순위세트
득실
라운드
득실
연속비고
1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KDF61+8+201패우승
2파일:Liiv SANDBOX 로고.svgLSB52+8+211승준우승
3파일:KDL_Aura.pngAR52+7+182승
4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ROX52+1-53승
5파일:KDL_Planet.pngPLN25-4-111승
6파일:KDL_Sensation.pngSST25-5-71승
7파일:KDL_ReBoot.pngRBT25-5-143패
8파일:finale e-sports.pngFNL16-10-233패[1]
파란색: 결승진출전 진출 | 초록색: 준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팀전/8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2. 포스트시즌[편집]


경기일정
결승진출전2023. 5. 6.
준플레이오프2023. 5. 6.
플레이오프2023. 5. 7.
결승전2023. 5. 14.

||
결승진출전 | 준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결승
KDF
1위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2
LSB
2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
05.06 19:00
||<height=45> → ||<|2>

UF
(승자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2
LF
(승자
파일:Liiv SANDBOX 로고.svg0
05.14 18:00
||
AR
3위
파일:KDL_Aura.png2
ROX
4위
파일:ROX ESPORTS 로고.png0
05.06 18:00
||

UF
(패자
파일:Liiv SANDBOX 로고.svg2
LB
(승자
파일:KDL_Aura.png1
05.07 18:00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팀전/포스트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3. 결승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팀전/결승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개인전[편집]



10.2.1. 32강[편집]


경기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A조HyunSuInSooLuningZzzSPEARSeungHaSTRIKERGlamint
B조NEALKnockSUNGBINPerfectPercentWaveHoJunGuard
C조DogWorldCosuSummerChorongYoonHanBananaSangHyun
D조SpeedDDingJiMinSpellMINSIKAcidFlyYuMinVanilla
파란색: 16강 진출 | 빨간색: 탈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개인전/32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2. 16강[편집]


경기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1경기ZzzDogWorldHyunSuInSooChorongLuningCosuSummer
2경기DDingKnockJiMinSpeedNEALSUNGBINPerfectSpell
승자전HyunSuZzzInSooKnockDogWorldSpeedJiMinDDing
패자전NEALSUNGBINPerfectSpellLuningCosuChorongSummer
최종전NEALDogWorldDDingJiMinSpeedSUNGBINSpellPerfect
보라색: 결승 진출 | 파란색: 승자전 진출 | 초록색: 패자전 진출 | 연두색: 최종전 진출 | 빨간색: 탈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개인전/16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3. 결승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개인전/결승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결과[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팀별 평가 및 해당 시즌 최종 결산에 대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결산 문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결산번 문단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결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팀전 순위
최종
순위
풀리그
순위
세트
득실
트랙
득실
상금비고
우승1위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KWANGDONG
FREECS
81+11+23₩ 40,000,000결승전 승
준우승2위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64+6+17₩ 20,000,000결승전 패
3위3위파일:KDL_Aura.png Aura63+8+23₩ 10,000,000플레이오프 패
4위4위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ROX53-1-10₩ 5,000,000준플레이오프 패
5위파일:KDL_Planet.png Planet25-4-11₩ 2,000,000-
6위파일:KDL_Sensation.png Sensation25-5-7-
7위파일:KDL_ReBoot.png ReBoot25-5-14-
8위파일:finale e-sports.png FINALE e-sports16-10-23라운드패 1회
파란색: 결승진출전 진출 | 녹색: 준플레이오프 진출 | 분홍색: 진출 실패
5 ~ 8위는 승률 → 세트득실 → 트랙득실 순서대로 나열함.




개인전 순위
순위선수평균 점수결과총 획득 상금비고
우승Zzz5.079결승전 SET 2 승₩ 10,000,000
준우승NEAL6.289결승전 SET 2 패₩ 5,000,000
3위 InSoo4.579결승전 SET 1 3위₩ 3,000,000
4위JiMin3.75결승전 SET 1 4위₩ 1,000,000
5위DogWorld4.311결승전 SET 1 5위
6위HyunSu4.395결승전 SET 1 6위
7위Knock4.025결승전 SET 1 7위
8위DDing3.771결승전 SET 1 8위
9위Speed4.016강 최종전 5위
10위SUNGBIN3.87116강 최종전 6위
11위Spell2.87516강 최종전 7위
12위Perfect2.83916강 최종전 8위
13위Luning3.54516강 패자전 5위
14위Cosu3.22716강 패자전 6위
15위Chorong3.54516강 패자전 7위
16위Summer2.22716강 패자전 8위
17위Yoon4.032강 C조 5위
18위Percent3.532강 B조 5위
SPEAR32강 A조 5위
20위SeungHa3.12532강 A조 6위
21위Wave2.12532강 B조 6위
22위MINSIK2.11132강 D조 5위
23위AcidFly2.032강 D조 6위
24위YuMin1.88932강 D조 7위
25위Han1.62532강 C조 6위
26위HoJun1.532강 B조 7위
27위Guard1.12532강 B조 8위
28위Banana1.032강 C조 7위
29위Vanilla32강 D조 8위
30위SangHyun0.7532강 C조 8위
31위STRIKER32강 A조 7위
32위Glamint0.532강 A조 8위
16~32위는 평균 점수 순서대로 나열됩니다.





12.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편집]



12.1. 팀전[편집]


KDL 프리시즌 1 팀전 베스트 레코드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상대팀
월드 LA 부스트우드1:45.6778강 20경기KWANGDONG FREECSZzz뉴욕 투어 버스ReBoot
포레스트 지그재그2:21.0398강 25경기Liiv SANDBOXNEAL솔리드 프로ROX
광산 골드러쉬1:45.879준플레이오프AuraHero뉴욕 투어 버스ROX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1:17.776결승전 PHASE 2KWANGDONG FREECSZzz뉴욕 투어 버스Liiv SANDBOX
빌리지 붐힐 터널1:16.295결승전 PHASE 2KWANGDONG FREECSZzz뉴욕 투어 버스Liiv SANDBOX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2:09.5088강 2경기ReBootLuning뉴욕 투어 버스FINALE e-sports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1:50.761결승전 PHASE 2Liiv SANDBOXNEAL솔리드 프로KWANGDONG FREECS
월드 시안 병마용1:50.5358강 26경기Liiv SANDBOXSeungHa스톰FINALE e-sports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1:38.7988강 23경기AuraKnock솔리드 프로ReBoot
사막 피라미드 탐험1:29.610결승 진출전KWANGDONG FREECSDogWorld스톰Liiv SANDBOX
월드 뉴욕 대질주1:32.5608강 25경기Liiv SANDBOXInSoo광산 수레ROX
빌리지 고가의 질주1:48.349결승전 PHASE 2Liiv SANDBOXInSoo광산 수레KWANGDONG FREECS

12.2. 개인전[편집]


KDL 프리시즌 1 개인전 베스트 레코드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
월드 LA 부스트우드1:45.773결승전Zzz광산 수레
포레스트 지그재그2:22.31516강 2경기NEAL광산 수레
광산 골드러쉬1:46.37616강 패자조NEAL광산 수레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1:17.73716강 패자조NEAL광산 수레
빌리지 붐힐 터널1:16.82216강 최종전JiMin광산 수레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2:08.65116강 패자조NEAL광산 수레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1:50.824결승전NEAL광산 수레
월드 시안 병마용1:50.95316강 1경기Zzz광산 수레
아이스 설산 다운힐2:24.85716강 최종전NEAL광산 수레
팩토리 미완성 5구역1:25.15216강 승자조Speed광산 수레
월드 리우 다운힐1:13.638결승전NEAL광산 수레
사막 오래된 송수관1:52.720결승전NEAL광산 수레

13.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3.1. 옵저버 관련 문제와 라이브 서버와 트랙이 다르다는 의혹[편집]




13.2. 프리시즌 1 도중 발생한 프리시즌 2 참가 자격 논란[편집]



14. 여담[편집]





[KL]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해당 선수가 거둔 최고의 최종 성적.[1] 닐은 2022 시즌2와 2022 수퍼컵 당시에도 포지션은 러너였다. 다만 출전하지 않았을 뿐.[2] 거기에 닐이 작년에 비해 한국어 실력이 비약적으로 늘어 콜을 하고 듣는 능력이 많이 올라왔다는 것이 고무적이다.[3] 연중 군입대 이슈로 인해 팀전에 참가할 수 없어서 이탈했으나, 광동 프릭스 소속 파트너 BJ로는 남아있고 예선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본선에 진출한 개인전에는 출전한다.[KRPL] A B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리그에서 거둔 최고 성적.[4] 카트라이더 리그의 경험은 없지만 카트라이더 게임 자체는 꾸준히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진건은 프로 라이센스를 땄던 적 있고 카트라이더 클럽대항전에 Only 소속으로 출전한 경험이 있다. 한종문의 경우 시즌 시작 직전에 있던 이벤트전인 히든 레이서에서 마스터들 눈에 띄는 좋은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5] 원래는 박도현이 있었지만 출전 못하고, KL 22-2 Wish와 22-S Glorious H를 거쳐온 최승현이 합류했는데 카트라이더 리그 개인전 최종전까지 가봤던 경험은 있으나, 카드맆에 얼마나 잘 적응했을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6] 김재훈과 김의열은 프로팀에 들어간 적도 있으나 좋은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했었고, 이태경과 신민식은 개인전은 출전해본 적이 있으나 팀전 출전은 아예 처음이다. 한승민은 KL 22-S Lunatic 소속으로 4강에 올라가 본 경험이 있기는 하나, 다른 팀 선수들의 이름값이 워낙 화려하여 상대적으로 밀린다는 사실을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7] 각 조 3~8번 시드와 조 1위 배정에서 뽑히지 않은 D-1.[8] 2022-1 기권[9] 2022-1 기권[10] 경기 부스톡이 아닌 쿠키영상[11] 대신 트위치 채팅에는 채팅봇이 유튜브 채널에서 보다 높은 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는 안내 내용과 유튜브 채널 링크를 올려준다.[12]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경우에는 카트바디의 성능이 전부 똑같긴 하지만, 외형에 따른 미세한 성능 차이는 있기에 그대로 유지한다고 한다.[13] 원작 리그에서 본명을 워낙 오래 사용했기 때문에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처럼 알파벳 닉네임 + 본명 호칭을 혼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으나 해설진 호칭까지 닉네임으로 통일되었다. 다만 닉네임만 표기되자 헷갈린다는 시청자들의 피드백을 받아 2주차부터는 방송 자막에 본명을 병기한다.[14] 동호형은 동네 야구 동호회조차 트로피를 주는데 KDL은 왜 안 주는거냐고 비판하기도 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