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2P금융

덤프버전 :



1. 개요
2. 원리
2.1. 온라인 중개
2.2. 중금리 중수익
2.3. IT기술을 통한 비용절감
3. 구조
3.1. 대부업 자회사 P2P 모델
3.2. 금융기관 연계형 P2P 모델
4. 세계의 P2P금융
5. P2P금융 관련 국내 업체 및 서비스들
6. 산업 규모
7. 세금



1. 개요[편집]


한국P2P금융협회에서는 "온라인을 통해 대출-투자를 연결하는 핀테크 서비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P2P금융은 크라우드 펀딩 에 속하는 펀딩(후원)형, 투자(증권)형, 대출형, 기부형 중 정해진 기간에 맞춰 원금과 약정 이자를 받는 대출형 크라우드 펀딩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원리[편집]



2.1. 온라인 중개[편집]


Peer-to-Peer의 준말인 P2P 방식을 금융 서비스에 적용한 것이다. 금융 수요자와 금융 공급자(은행, 대부업체)를 온라인에서 만나게 중개해주는 것이다.

이를 이해하려면 기존의 금융 시스템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통적인 대출 방식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

  • 차입자(借入者,borrower)가 금융기관에 직접 찾아간다.
  • 공급자 역시 금융기관에 찾아가 돈을 맡긴다.
  • 은행, 저축은행, 대부업자 등 금융기관들이 차입자를 평가한다.
  • 평가를 통과하면 차입자에게 돈을 빌려준다.

반면 웹2.0 시대의 P2P금융에서 대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 차입자(借入者,borrower)가 P2P금융 플랫폼에 자료를 올린다.
  • P2P금융 플랫폼에서 알고리즘으로 차입자를 평가하여 공급자와 매칭시킨다.
  • 공급자가 자신과 매칭된 차입자를 평가한뒤 돈을 빌려준다.

기존의 대출은 은행, 저축은행, 대부업자 등 기존의 금융기관들이 차입자(借入者,borrower)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원리금을 수취하던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웹2.0 시대가 도래하며, 금융기관을 거쳐야만 가능했던 기존의 대출프로세스에서 벗어나, 금융 공급자와 금융 수요자가 온라인 상의 플랫폼을 통해 직접 자금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 차입자들은 자신의 정보를 P2P플랫폼에 공개하고 투자자들은 각자가 차입자들의 담보력, 사업 전망 등의 정보를 나름대로 평가해 투자결정을 내리는, 일종의 직접금융이 가능해진 것이다. (물론 P2P플랫폼에 차입자들의 정보, 즉 투자상품을 개시하기 전에 P2P플랫폼이 기본적인 자체 심사과정을 거친다.)


2.2. 중금리 중수익[편집]


대한민국 대출시장은 제1금융권을 넘어가면 대출금리가 매우 높아진다. 이러한 대출시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출자에게는 '중금리', 투자자에게는 '중수익'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P2P금융이다. 미국의 '렌딩클럽'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즉 P2P업체는 투자자와 돈을 빌리는 기업 중간에서 수수료를 받고 대출을 중개해주는 거간꾼 역할을 한다. 언뜻 보면 매우 좋아 보이지만 체크할 점들이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대출 연체율, 부도율, 대출잔액, 세후수익률을 체크해야한다.P2P대출 연체율 80% 2021.2.9 기사 높은 이자 수익에는 그만큼 리스크가 따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장 기계나 농축산물 등 동산을 담보로 잡고 기업 등에 돈을 빌려주는 동산담보대출의 경우 담보 물건의 관리와 평가가 어려워 부실이 나기 쉬워 연체율이 올라가 돈을 떼이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2.3. IT기술을 통한 비용절감[편집]


온라인을 통해 모든 대출과정을 자동화하여 지점운영비용, 인건비, 대출영업비용 등의 불필요한 경비 지출을 최소화하여 대출자에게는 보다 낮은 금리를, 투자자에게는 보다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금융과 기술을 융합한 핀테크 서비스. 참고로 P2P금융 업체들의 금리는 최저 4.5%~최대 20%, 저축은행 금리 평균은 24.3%, 캐피탈 금리 평균 21%.




3. 구조[편집]



3.1. 대부업 자회사 P2P 모델[편집]


P2P금융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대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업 자회사 P2P 모델’에서 P2P플랫폼은 ‘대부업’ 자회사를 설립하여 대출을 실행한다. P2P플랫폼 자체는 대출자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 ‘통신판매업’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투자자에게 모집된 금액을 수신하고 대출자에게 전달하는 여신 기능은 100%자회사 대부업체를 ‘대부업’으로 등록해 서비스하도록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P2P대부’와 일반적인 ‘대부’는 적용받는 법률부터, 대출자금의 원천, 비대면 신용평가 방식, 온라인 거점 영업 방식 등 실질적인 성격에 차이가 있다.

지난 5월부터 개시된 금융위원회의 P2P가이드라인에 따라 P2P플랫폼은 의무적으로 투자자의 예치금을 공신력 있는 제 3자 금융기관(은행)에 예치해 투자자의 예치금을 보호해야한다. P2P 플랫폼 회사의 예치금 유용 및 P2P플랫폼 부도 시에도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가이드라인은 행정지도에 불과해 구속력이 없다. P2P업체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사항이 아닐뿐더러 지키지 않아도 법적 처벌을 받지 않는다는 얘기다. P2P금융협회에서 자체적으로 ‘규제’를 한다지만 이 역시 강제성이 없는 자율규제 차원이다. 그나마 200여개의 업체 중 협회에 가입한 곳은 64개에 불과하다.

대부업 자회사 P2P 모델의 프로세스는 크게 다음과 같다.

1. 차입자의 대출신청
차입자가 대출신청을 하면 P2P업체 측에서 각종 신용등급, 자체 신용평가모형 등을 이용해 1차적으로 대출 심사를 한다. 대출심사를 통과하면 차입자의 정보, 담보(동산, 부동산, 매출채권 등 다양하다), 사업내용 등을 플랫폼 홈페이지에 상품으로써 공시한다.
이곳의 장점은 사채와는 달리 빌렸다고 해서 바로 신용도가 하락하진 않고 제때제때 갚으면 별 문제없이 이용하 수 있다. 다만 연체한 순간 사채한것 마냥 신용도가 급락하니 주의해야 한다.

2. 투자
투자자는 플랫폼에 공시된 P2P투자 상품을 확인하고 투자의사결정을 내린다. 투자 상품에 투자를 한다는 것은 곧 차입자의 ‘원리금수취권’ 이라는 채권을 매입한다는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원리금수취권’을 보유함으로써 차입자가 상환하는 원금 및 이자를 받을 법적인 권리를 가지게 된다. P2P플랫폼 측은 대출자가 원리금을 P2P 플랫폼 쪽으로 상환하면 이를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교각 역할을 한다.

이를 구조화 하면 아래와 같다.
파일:대부업연계형 사업모형.png


3.2. 금융기관 연계형 P2P 모델[편집]


P2P금융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대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금융기관 연계형 P2P 모델’에서는 금융기관(은행 및 저축은행)이 대출자에게 대출을 실행한다. P2P플랫폼이 차입자 대출심사를 통해 상품을 플랫폼에 공시한다는 점에서 ‘대부업 자회사 P2P모델’과 동일하지만 P2P연계 은행을 통해 실행된 대출은 기본적으로 ‘은행 대출’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은행 연계형 P2P대출은, 은행의 ‘제3자 예금담보대출’ 상품을 통해 이루어진다. 예금자의 예금을 담보로 타인에게 대출을 해주는 모형으로, P2P 플랫폼이 상품 공시를 통해 투자금을 모집하면, 차입자에게 투자자의 투자금을 예금 형태로 예치하여 ‘제3자 예금담보대출’을 해주는 형식으로 대출이 이루어진다. 은행이 직접 투자자에게 투자 및 수익금을 분배하기 때문에, P2P 플랫폼 회사의 예치금 유용 및 P2P플랫폼 부도 시에도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된다.

이를 구조화 하면 아래와 같다.
파일:은행연계형 사업모형.png


4. 세계의 P2P금융[편집]


2005년 세계 최초 P2P 금융 서비스 'Zopa'를 시작으로 미국, 유럽 등 금융 선진국에서 빠르게 성장 중.
14년 말 미국의 P2P금융 시장규모는 55억 달러(약 6조 2천억 원), 영국은 21.8억 파운드(약 3조 8천억 원).
세계 최대 P2P금융기업인 '렌딩클럽(Lending Club)은 14년 12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86억 달러(약 9조 5천억 원) 가치 인정받아 상장.[1]


5. P2P금융 관련 국내 업체 및 서비스들[편집]


* 한국P2P금융협회
법인명
서비스명
특이사항
㈜윙크스톤파트너스
윙크스톤파트너스
㈜오션펀딩
오션펀딩
㈜에스엔에스렌딩
SNSL
2019년 5월 이후 모집 중단
㈜누리펀딩
누리펀딩
㈜다온핀테크
다온펀딩
㈜데일리펀딩
데일리펀딩(데일리펀딩)
㈜렌딩사이언스
렌딩사이언스
㈜론포인트
론포인트
(주)미라클핀테크
미라클펀딩
㈜바른핀테크
바른펀드
(주)제이에이치리테일
펀딩하이
비욘드플랫폼서비스㈜
비욘드펀드
㈜비플러스
비플러스
㈜빌드온
빌드온펀딩
㈜소딧
소딧
스마트크라우드㈜
스마트크라우드
스마트핀테크㈜
스마트펀딩
㈜시소플랫폼
시소펀딩
㈜슈펙스펀드
슈펙스펀드
썬펀딩㈜
썬펀딩
㈜어니스트펀드
어니스트펀드(어니스트펀드)
㈜어스핀테크
어스펀딩
㈜월드펀딩
월드펀딩
㈜위펀딩
위펀딩
㈜유니어스
유니어스펀딩
㈜이지펀딩
이지펀딩
더줌자산관리㈜
줌펀드
㈜천사크라우드
천사펀딩
㈜트리거파트너스
칵테일펀딩
㈜케이펀딩
케이펀딩
코리아펀딩㈜
코리아펀딩
㈜크레딧펀딩
크레딧펀딩
㈜크레파스솔루션
크레파스펀딩
㈜타이탄인베스트
타이탄인베스트
㈜탑플랫폼
탑펀드
탱커펀드㈜
탱커펀드
㈜테라핀테크
테라펀딩
회장사
㈜투게더앱스
투게더펀딩
㈜팍스핀테크
팍스펀드
랑파트너스㈜
펀드랑
㈜펀디드
펀디드
베네핏소셜㈜
펀펀딩
㈜프로핏
프로핏
㈜피플펀드컴퍼니
피플펀드
한국경우펀딩㈜
한국경우펀딩
㈜헬로핀테크
헬로펀딩


한국인터넷기업협회(이하 인기협) 산하 마켓플레이스금융협의회(운영위원장 렌딧 김성준 대표, 이하 마플협)
법인명
서비스명
특이사항
(주)렌딧
렌딧(렌딧
회장사
(주)에잇퍼센트
8퍼센트(8퍼센트)
모우다
모우다(모우다)
의료인 대출 전문
팝펀딩(주)
팝펀딩닷컴
[2]
(주)펀다
펀다



6. 산업 규모[편집]


국내 P2P금융 시장은 2006년 8월에 설립된 머니옥션, 2007년 설립된 팝펀딩을 필두로 시작하였으며, 2021년 12월 30일을 기준으로 현재 P2P금융시장의 규모는 약 10조원을 돌파했다.[3](한국P2P금융협회 소속 회원사들의 누적대출액 기준)




7. 세금[편집]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자를 통하여 지급받는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14%의 소득세율을 적용한다.

[1] 출처 http://p2plending.or.kr/p2pfinance[2] 금감원, 2020년 2월 사기 혐의 P2P업체 ‘팝펀딩’ 검찰에 수사 의뢰하였음. 투자시 주의할 것. 2020년 6월 28일 ‘팝펀딩’ 관련 사기혐의로 판매사인 한국투자증권, 운용사인 자비스자산운용·헤이스팅스자산운용, 팝펀딩 관계자 등을 특정경제범죄법상 사기 등의 혐의로 형사 고발했다고 발표. 20년 12월 현재 홈페이지 등 운영하지 않음[3] 출처 한국P2P금융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