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2024시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1. 개요
2. 규정 변경 사항
3. 2024 시즌 캘린더
4. 2024 시즌 참가 엔트리
4.1. 하이퍼카
4.2. LMGT3
5. 프리 시즌 정보 업데이트
6. 1라운드 : 카타르 1812km
6.1. 카타르 1812km 정보 업데이트
6.2. 프롤로그
6.3. 퀄리파잉
6.4. 하이퍼폴
6.5. 최종 그리드
6.6. 레이스
6.7. 이야깃거리
7. 2라운드 : 이몰라 6시
7.1. 이몰라 6시 정보 업데이트
7.2. 퀄리파잉
7.3. 하이퍼폴
7.4. 최종 그리드
7.5. 레이스
7.6. 이야깃거리
8. 3라운드 : 스파 6시
8.1. 스파 6시 정보 업데이트
8.2. 퀄리파잉
8.3. 하이퍼폴
8.4. 최종 그리드
8.5. 레이스
8.6. 이야깃거리
9. 4라운드 : 르망 24시
9.1. 르망 24시 엔트리 현황
9.2. 르망 24시 정보 업데이트
9.3. 르망 테스트 데이
9.3.1. 세션 1
9.3.2. 세션 2
9.4. 퀄리파잉
9.5. 하이퍼폴
9.5.1. 최종 그리드
9.6. ACO 기자회견 및 중간 정보 업데이트
9.7. 레이스
9.8. 포스트 르망
10. 5라운드 : 상파울루 6시
10.1. 상파울루 6시 정보 업데이트
10.2. 퀄리파잉
10.3. 하이퍼폴
10.4. 최종 그리드
10.5. 레이스
10.6. 이야깃거리
11. 6라운드 : 론스타 르망
11.1. 론스타 르망 정보 업데이트
11.2. 퀄리파잉
11.3. 하이퍼폴
11.4. 최종 그리드
11.5. 레이스
11.6. 이야깃거리
12. 7라운드 : 후지 6시
12.1. 후지 6시 정보 업데이트
12.2. 퀄리파잉
12.3. 하이퍼폴
12.4. 최종 그리드
12.5. 레이스
12.6. 이야깃거리
13. 7라운드 : 바레인 8시
13.1. 바레인 8시 정보 업데이트
13.2. 퀄리파잉
13.3. 하이퍼폴
13.4. 최종 그리드
13.5. 레이스
13.6. 이야깃거리
13.7. 챔피언십 결과
13.7.1. 드라이버
13.7.1.1. 하이퍼카
13.7.1.2. LMGT3
13.7.2. 제조사
13.7.2.1. 하이퍼카
13.7.2.2. LMGT3
13.7.3. 팀
13.7.3.1. 하이퍼카
13.7.3.2. LMGT3


1. 개요[편집]


FIA WEC의 11번째 시즌이며, 처음으로 2클래스 체제로 운영되는 시즌이기도 하다.


2. 규정 변경 사항[편집]


  • LMGT3 클래스
2023시즌을 마지막으로 LMGTE-AM 역시 폐지됨에 따라 신설되는 새로운 GT 클래스로 FIA GT3 차량으로 참가할 수 있다. 규정상 제조사 당 최대 2대까지만 엔트리할 수 있으며,[1] 타이어는 굿이어가 공급할 예정이다. 그리고 하이퍼카 클래스에 참가하는 LMH나 LMDh 제조사가 만든 GT3 차량으로 참여하면[2] 참가 우선권과 참가비 인하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 LMP2 클래스 제외
오랫동안 WEC와 함께 해온 LMP2가 제외되었다. 이는 하이퍼카의 엔트리 증가와 앞서 서술한 LMGT3의 엔트리로 인한 것이며, WEC에서는 폐지되어도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르망 시리즈에서는 계속 운영되기 때문에 르망 24시에서는 다시 모습을 보이게 될 예정이다.

  • 퀄리파잉 방식 변경
2023년까지 르망 24시 한정으로만 진행해온 하이퍼폴이 이번 시즌부터 모든 경기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기존과는 다르게 클래스 별로 12분 간의 개별 세션을 먼저 진행한 다음, 클래스 별 상위 5대가 진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3. 2024 시즌 캘린더[편집]


라운드대회개최일개최지 (국가)개최 서킷
프롤로그WEC 프롤로그2024년 2월 24일루사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로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제1라운드카타르 1812km2024년 3월 2일
제2라운드이몰라 6시2024년 4월 21일에밀리아로마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
제3라운드스파 6시2024년 5월 11일프랑코샹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
제4라운드르망 24시2024년 6월 15일르망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라 사르트 서킷
제5라운드상파울루 6시2024년 7월 14일상파울루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
제6라운드론스타 르망2024년 9월 1일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제7라운드후지 6시2024년 9월 15일후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후지 스피드웨이
제8라운드바레인 8시2024년 11월 2일사키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4. 2024 시즌 참가 엔트리[편집]



4.1. 하이퍼카[편집]


  • 모든 팀들의 타이어는 전부 미쉐린에게서 공급받는다.
하이퍼카 클래스
차량팀 로고 / 팀 이름번호드라이버비고
캐딜락 V-시리즈.R파일:2023_Cadillac_Logo_282x188.png
파일:미국 국기.svg 캐딜락 레이싱
2번파일:영국 국기.svg 알렉스 린
파일:호주 국기.svg 얼 밤버
파일:국기.svg 미정르망 24시만 출전
포르쉐 963파일:Porsche Penske Motorsport_logo.jpg
파일:독일 국기.svg 포르쉐 펜스키 모터스포트
5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레데릭 마코윅키
파일:호주 국기.svg 맷 캠벨
파일:덴마크 국기.svg 마이클 크리스텐센
6번파일:프랑스 국기.svg 케빈 에스트레
파일:독일 국기.svg 안드레 로터러
파일:벨기에 국기.svg 로렌스 반투르
파일:Hertz-Team-Jota-logo.png
파일:영국 국기.svg 허츠 팀 죠타
12번파일:영국 국기.svg 윌 스티븐스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38번파일:덴마크 국기.svg 올리버 라스무센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proton_3dd012.png
파일:독일 국기.svg 프로톤 컴페티션
99번파일:영국 국기.svg 해리 팅크넬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토요타 GR010파일:TGR .png
파일:일본 국기.svg 토요타 가주 레이싱
7번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콘웨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닉 더프리스
8번파일:일본 국기.svg 히라카와 료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렌던 하틀리
이소타 프라스키니 티포 6 LMH-C파일:IFM_logo.jp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소타 프라스키니
11번파일:멕시코 국기.svg 알레잔드로 가르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칼 벨네이
파일:국기.svg 미정
BMW M 하이브리드 V8파일:BMW M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BMW M 팀 WRT
15번파일:벨기에 국기.svg 드리스 반투르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20번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셸든 반더린데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알핀 A424파일:알핀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핀 엘프 팀
35번파일:프랑스 국기.svg 니콜라스 라피에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차를 밀레시
파일:프랑스 국기.svg 폴-룹 샤탕
36번파일:독일 국기.svg 믹 슈마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페르디난트 합스부르크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유 벡시비에르
페라리 499P파일:scuderia ferrari.pn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AF 코르세
50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토니오 푸오코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51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산드로 피에르 귀디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AF Corse logo.jp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F 코르세
83번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람보르기니 SC63파일:람보르기니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람보르기니 아이언 링스
63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닐 크비얏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미르코 보톨로티
파일:국기.svg 미정
푸조 9X8파일:team-peugeot-totalenergies-logo-.png
파일:프랑스 국기.svg 푸조 토탈에너지스
93번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94번파일:프랑스 국기.svg 로익 듀발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4.2. LMGT3[편집]


  • 타이어는 굿이어가 독점 공급한다.
  • 갈색 바탕의 드라이버는 브론즈 등급의 드라이버를 의미.
  • 은색 바탕의 드라이버는 실버 등급의 드라이버를 의미.

  • 드라이버의 등급 표기는 FIA 드라이버 등급 검색 사이트나 공식으로 발췌되는 경기별 엔트리표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 LMGT3 클래스의 차량별 드라이버 라인업에는 1명의 브론즈 등급 드라이버, 1명의 브론즈 혹은 실버 등급 드라이버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나머지 1인은 등급 구분없이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하다.
LMGT3 클래스
차량팀 로고팀 이름번호드라이버비고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svg
애스턴 마틴 밴티지 GT3 EVO
파일:Heart of Racing.png파일:미국 국기.svg 하트 오브 레이싱27번파일:영국 국기.svg 이안 제임스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DstationRacingLogo.png파일:일본 국기.svg D'스테이션 레이싱777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덴마크 국기.svg 마르코 소렌센
파일:BMW M 로고.svg
BMW M4 GT3
파일:Team_WRT_LOGO_with_BMW.jpg파일:벨기에 국기.svg 팀 WRT31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우구스토 파푸스
46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발렌티노 로시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페라리 로고.svg
페라리 296 GT3
파일:AF Corse logo.jp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VISTA AF 코르세54번파일:스위스 국기.svg 토마스 플로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란체스코 카스텔라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비데 리곤
55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수아 헤리아우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몬 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로베라
파일:맥라렌 로고.svg
맥라렌 720S GT3 EVO
파일:United_Autosport_logo.jpg파일:미국 국기.svg 유나이티드 오토스포트 USA59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스위스 국기.svg 그레구아르 소시
95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마리노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람보르기니 로고.svg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O 2
파일:Iron_Lynx_Logo_1.pn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이언 링스60번파일:스위스 국기.svg 클라우디오 스키아보니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iron-dames-magenta_d.pn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이언 데임즈85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덴마크 국기.svg 미셸 가팅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포드 로고.svg
포드 머스탱 GT3
파일:proton_3dd012.png파일:독일 국기.svg 프로톤 컴페티션77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영국 국기.svg 벤저민 바커
88번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하드윅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렉서스 로고.svg
렉서스 RC F GT3
파일:logo_609.png파일:프랑스 국기.svg 아코디스 ASP 팀78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켈빈 반더린데
87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마리아 로페즈
파일:쉐보레 로고.svg
쉐보레 콜벳 Z06 GT3.R
파일:TF_SPORT_LOGO.png파일:영국 국기.svg TF 스포트81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찰리 이스트우드
82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스페인 국기.svg 다니 융카데야
파일:포르쉐 로고.svg
포르쉐 911 GT3 R
파일:w620_h500_249355.jpg파일:독일 국기.svg 만타이 EMA91번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리차드 리츠
파일:315473962_125277807017845_1346988157592721954_n.jpg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만타이 퓨어 렉싱92번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알리악산드르 말리킨
파일:독일 국기.svg 조엘 슈투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클라우스 바클러




5. 프리 시즌 정보 업데이트[편집]


  • 알핀 인듀어런스 팀이 팀의 드라이버 명단에 니콜라스 라피에르, 매튜 벡시비에르, 샤를 밀레시, 폴-롭 샤탕, 페르디난트 합스부르크, 믹 슈마허가 합류했음을 발표했다. 추가로 믹은 만일 F1과 WEC가 같은 주에 열린 상황에서 리저브로 있는 메르세데스 F1 팀에서 드라이버 공백이 발생할 경우, WEC보다 F1을 우선시하게 될 예정이다.

  • 허츠 팀 죠타가 작년의 1대에서 1대 더 늘어난 2대 엔트리로 시즌을 참가할 계획을 밝힌 가운데, 기존 팀의 드라이버였던 안토니오 펠릭스 다 코스타와 예 이페이가 각각의 이유로 죠타를 떠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죠타는 두번째 차량의 드라이버들을 찾는 것뿐만이 아니라, 기존 차량의 공백을 채울 드라이버들을 구해야 되는 상황이다.

  • 2023년 LMP2 시즌 챔피언인 로버트 쿠비차가 AF 코르세로 합류했음을 알렸다. 2023년 11월 22일에는 이몰라에서 51번 499P를 테스트하기도 했었는데, 이를 세 번째 499P로 합류하기 위한 준비로 보는 시각이 많다.


  • 이소타 프라스키니가 차량 데이터 관련 문제로 파트너 팀인 벡터 스포트와 심각한 갈등을 맺다가 결국, 2022년 11월 27일에 둘의 관계가 끝났음이 확정되었다. 이로써 벡터 스포트는 ELMS만을 참가하게 될 예정이며, 이소타 역시 새로운 파트너 팀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6. 1라운드 : 카타르 1812km[편집]



6.1. 카타르 1812km 정보 업데이트[편집]



6.2. 프롤로그[편집]



6.3. 퀄리파잉[편집]



6.4. 하이퍼폴[편집]



6.5. 최종 그리드[편집]



6.6. 레이스[편집]



6.7. 이야깃거리[편집]



7. 2라운드 : 이몰라 6시[편집]



7.1. 이몰라 6시 정보 업데이트[편집]



7.2. 퀄리파잉[편집]



7.3. 하이퍼폴[편집]



7.4. 최종 그리드[편집]



7.5. 레이스[편집]



7.6. 이야깃거리[편집]



8. 3라운드 : 스파 6시[편집]



8.1. 스파 6시 정보 업데이트[편집]



8.2. 퀄리파잉[편집]



8.3. 하이퍼폴[편집]



8.4. 최종 그리드[편집]



8.5. 레이스[편집]



8.6. 이야깃거리[편집]



9. 4라운드 : 르망 24시[편집]



9.1. 르망 24시 엔트리 현황[편집]



9.2. 르망 24시 정보 업데이트[편집]



9.3. 르망 테스트 데이[편집]



9.3.1. 세션 1[편집]



9.3.2. 세션 2[편집]



9.4. 퀄리파잉[편집]



9.5. 하이퍼폴[편집]



9.5.1. 최종 그리드[편집]



9.6. ACO 기자회견 및 중간 정보 업데이트[편집]



9.7. 레이스[편집]



9.8. 포스트 르망[편집]



10. 5라운드 : 상파울루 6시[편집]



10.1. 상파울루 6시 정보 업데이트[편집]



10.2. 퀄리파잉[편집]



10.3. 하이퍼폴[편집]



10.4. 최종 그리드[편집]



10.5. 레이스[편집]



10.6. 이야깃거리[편집]



11. 6라운드 : 론스타 르망[편집]



11.1. 론스타 르망 정보 업데이트[편집]



11.2. 퀄리파잉[편집]



11.3. 하이퍼폴[편집]



11.4. 최종 그리드[편집]



11.5. 레이스[편집]



11.6. 이야깃거리[편집]



12. 7라운드 : 후지 6시[편집]



12.1. 후지 6시 정보 업데이트[편집]



12.2. 퀄리파잉[편집]



12.3. 하이퍼폴[편집]



12.4. 최종 그리드[편집]



12.5. 레이스[편집]



12.6. 이야깃거리[편집]



13. 7라운드 : 바레인 8시[편집]



13.1. 바레인 8시 정보 업데이트[편집]



13.2. 퀄리파잉[편집]



13.3. 하이퍼폴[편집]



13.4. 최종 그리드[편집]



13.5. 레이스[편집]



13.6. 이야깃거리[편집]



13.7. 챔피언십 결과[편집]



13.7.1. 드라이버[편집]



13.7.1.1. 하이퍼카[편집]


13.7.1.2. LMGT3[편집]


13.7.2. 제조사[편집]



13.7.2.1. 하이퍼카[편집]


13.7.2.2. LMGT3[편집]


13.7.3. 팀[편집]



13.7.3.1. 하이퍼카[편집]


13.7.3.2. LMGT3[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1:05:24에 나무위키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2024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 팀이 2대를 운영하거나, 두 팀이 한 대씩 운영하는 게 가능.[2] 페라리 296 GT3, 렉서스 RC F GT3, 쉐보레 콜벳 Z06 GT3.R, 포르쉐 911 GT3 R(992), BMW M4 GT3,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O 2. 렉서스 브랜드와 쉐보레 브랜드는 하이퍼카에 참가하지 않으나 GR010을 운영하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이 RC F GT3 판매를, 제너럴 모터스 스포츠 카가 V-시리즈.R 제공과 콜벳 Z06 GT3.R 판매를 담당하므로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