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마룻대 동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2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トウ
일본어 훈독
むね, (むな), かしら
표준 중국어
dò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棟은 '마룻대 동'이라는 한자로, '마룻대'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마룻대
중국어표준어dòng
광동어dung3, dung6
객가어tung
민북어do̤̿ng
민동어dóng
민남어tòng[文] / tàng[白]
오어ton(T2)
일본어음독トウ
훈독むね, (むな),
あふち, おうち, かしら
베트남어đống

유니코드에는 U+68D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木田(DDW)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동녘 동)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棟)[1]
  • 동량(棟/棟)
  • 병동(棟)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얼 동)
  • (멀구슬나무 련)
  • (베풀 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2:16:2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아파트나 빌딩 등 큰 건물을 세는 단위에 쓰인다. 예를 들어 '행복동 꿈나무아파트 2XX동 2XX호' 할 때 '행복동'의 '동'은 한자로 으로 표기하며, 2XX동 부분의 동이 棟으로 표기된다. 즉 한자로 표현하면 '幸福洞 꿈나무아파트 2XX棟 2XX'가 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