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한자의 갖은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숫자 한자
[ 펼치기 · 접기 ]

/()()()()()
()()()()()
()廿(이십)(삼십)(사십)()
--
1(이백)()()()()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여섯 륙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ロク, リク
일본어 훈독
む, む-つ, むっ-つ, (むい), むう
-
표준 중국어
liù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六의 획순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六은 '여섯 륙'이라는 한자로, 숫자 6을 뜻한다. 그래서 여섯 육이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여섯
중국어표준어liù, lù[1]
광동어luk6
객가어liuk
민북어lṳ̀
민동어lĕ̤k
민남어lio̍k[文] / la̍k[白]
오어loq (T5)
일본어음독ロク, リク
훈독む, む-つ, むっ-つ, (むい), むう
베트남어lục

유니코드에는 U+516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C(卜金)로 입력한다.주음부호로는 ㄌㄧㄡˋ 혹은 ㄌㄨˋ로 입력한다.

이체자갖은자인 陸, 陆[2]이 있다. 이들은 원래 '뭍 륙'으로, 대륙(大陸), 육지(陸地), 육상경기(陸上競技) 등에 사용되는 글자이나 발음이 비슷한 점으로 인해 갖은자로 쓰이게 되었다.

글자 모양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확실치 않고 다만 양손의 각 세 손가락을 펴 보인 모양에서 따온 지사자라는 추측이 널리 퍼져 있다. 하지만 갑골문에서 대전에 이르기까지 진(통일왕조) 이전의 중국의 기록에서는 지금의 介와 비슷한 형태였기 때문에 이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오두막(廬)이라는 설도 있다. 현재의 자형은 이전부터 한자를 조금 다른 모양으로 썼던 진나라가 대륙을 통일한 뒤에 널리 사용되었다.

파일:external/www.zitizhuanhuan.com/j29786.gif파일:external/www.zitizhuanhuan.com/j29789.gif파일:external/www.zitizhuanhuan.com/j29791.gif파일:external/www.zitizhuanhuan.com/j29796.gif파일:external/www.zitizhuanhuan.com/j29801.gif
주나라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대전
파일:external/www.diyiziti.com/5718e01b8e094666b824896b91745f32.png
진(통일왕조)소전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큰 대)
  • (고기 육) - 의 와자.
  • (굴 혈)
  • (일 흥) - 의 간체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0:17:2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비상용 독음. 용례는 루안시(六安市)가 유일하다.[文] 문독[白] 백독[2] 간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