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화동

덤프버전 :

||


북구법정동
각화동
角化洞 | Gakhwa-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북구
행정표준코드2917011300
관할 행정동문화동
면적3.07㎢
1. 개요
2. 인구추이
3. 관할 행정동
3.1. 문화동
4. 주요 시설
4.1. 교육
4.1.1. 초등학교
4.1.2. 중학교
4.2. 주거
5. 교통
5.1. 버스
5.1.1. 급행
5.1.2. 간선
5.1.3. 지선


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이다. 이석준(19) 주민이 자원단체 봉사를 128시간을 하여 상을 받은 사실이 있다.

호남고속도로 문흥JC에서 빠져나오거나 동문대로를 타고 광주로 진입하면 나오는 곳이 각화동이라 이곳을 광주의 관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두암동과 인접한 아파트단지들(금호타운,주공)과 초등학교, 농산물도매시장, 화물터미널, 화훼단지를 제외하면 각화동의 절반 이상은 산과 삭막한 공터였고 그 건너편 문흥동에는 광주교도소가 자리잡고 있어서[1] 도매시장외에는 딱히 올 일도 없고 그저 차를 타고 가면서 지나치는 동네 중 한 곳에 불과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 지역주택조합방식의 아파트 건설사업을 통해 30층 이상 고층 아파트단지들이 속속 들어서기 시작했고 현재는 그야말로 상전벽해를 이루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인구추이[편집]


  • 참고 | 각화동은 문화동의 법정동이기에 행정동인 문화동의 인구추이를 서술한다.
문화동(각화동) 인구추이
(1970년~2018년)

1970년6,686명
1975년9,838명
1980년15,475명
1985년38,092명
1990년30,241명
1995년22,603명
2000년19,640명
2005년18,961명
2010년16,603명
2015년14,622명
2019년(1월) 19,360명
  • 1985년 11월 1일 문화동을 문화동과 두암동으로 분동.
  • 1985년 이후 문화동은 주택가와 아파트들의 노후화와 함께 낙후되어 최근까지도 인구가 감소중이다.
  • 1995년 3월 1일 문화동을 문화동과 문흥동으로 분동. 이로인한 인구감소 발생.
  • 2015년까지는 지속적인 인구감소를 보이던 동이였으나, 신축 아파트 단지들이 건설되면서 인구가 다시 증가중이다. 이 상황은 2016년부터 현재진행형이며 아직 완공되지 않은 아파트들도 있기에 문화동의 인구는 당분간 계속 증가할 예정이다.


3. 관할 행정동[편집]



3.1. 문화동[편집]


북구행정동
문화동
文化洞 | Munhwa-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북구
행정표준코드3620034
관할 법정동문흥동, 각화동
하위 행정구역25통 136반
면적3.17㎢
인구20,122명[2]
인구밀도6,347.63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북구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오섭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수정 (재선)
북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순 (3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숙희 (초선)


최기영 (4선)

행정복지센터군왕로 233 (각화동 224-12)
문화동 행정복지센터

4. 주요 시설[편집]



4.1. 교육[편집]



4.1.1. 초등학교[편집]


  • 각화초등학교


4.1.2. 중학교[편집]




4.2. 주거[편집]



5. 교통[편집]



5.1. 버스[편집]



5.1.1. 급행[편집]



5.1.2. 간선[편집]



5.1.3. 지선[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5:48:17에 나무위키 각화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5년 10월에 북구 삼각동으로 이전하였다.[2] 2023년 1월 주민등록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