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구(광주광역시)

덤프버전 :

||



광주광역시자치구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
북구
北區
Buk-gu
||
구청 소재지우치로 77 (용봉동)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하위 행정구역28[1]
면적120.28㎢
인구422,567명[2]
인구 밀도3,512.43명/㎢[3]
구청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문인 (재선)
구의회
[ 펼치기 · 접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7석[1]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2]


2석[3]

[1] 가선거구(중흥1-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 고영임, 전미용.
나선거구(우산동, 문흥1-2동, 오치1-2동) : 신정훈, 김건안, 최무송.
다선거구(풍향동, 문화동, 두암1-3동, 석곡동) : 이숙희, 김영순.
라선거구(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 정달성, 김형수.
마선거구(운암1-3동, 동림동) : 황예원, 임종국, 주순일.
바선거구(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 한양임, 정재성, 강성훈.
비례대표 : 김귀성, 정상용.
[2] 라선거구(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 손혜진.[3] 가선거구(중흥1-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 기대서.
다선거구(풍향동, 문화동, 두암1-3동, 석곡동) : 최기영.
시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석[1]

[1] 제1선거구(중흥1-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 안평환.
제2선거구(우산동, 문흥1-2동, 오치1-2동) : 정다은.
제3선거구(풍향동, 문화동, 두암1-3동, 석곡동) : 신수정.
제4선거구(용봉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 조석호.
제5선거구(운암1-3동, 동림동) : 심창욱.
제6선거구(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 김나윤.
국회
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오섭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형석 (초선)
상징구화느티나무
구목백일홍
구조비둘기
지역번호062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external/www.igj.co.kr/32733_66269_389.jpg
북구청

파일:m-slogan.png
구정 슬로건
1. 개요
2. 지역 특징
2.1. 인구
3. 경제
3.1. 금융
4. 교육
5. 의료기관
6. 정치
7. 하위 행정구역
8. 자매우호도시
8.1. 자매도시
8.2. 우호도시
9.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의 북부에 위치한 자치구. 1980년 동구[4]서구[5]에서 각 일부를 떼어 신설된 구이다. 면적은 121.74㎢로, 광산구 다음으로 넓다.

북구청 지하에 민방위 대피소가 있으니 알아두자.


2. 지역 특징[편집]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
[ 펼치기 · 접기 ]




도심에서 비교적 가깝고 광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답게 일찍부터 대단위 택지개발을 벌였다.[6] 1960년대 말, 태봉산을 없애버리고 개발한 저밀도 주택단지부터 1970년대 호남고속도로 건설과 함께 개발된 운암지구, 1990년대의 두암지구, 문흥지구, 일곡지구, 그리고 2000년대의 양산지구, 첨단2지구까지, 유명한 주거지구가 많다. 단 도심과 인접한 유동, 임동, 중흥동은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다.

덕분에 학교도 많은 편. 도심지의 광주제일고등학교부터 시작해서 여러 군데에 일반계 고등학교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개발제한구역 거주 학생이 아니라면 통학 거리가 멀어지는 일은 별로 없다.[7] 또한 제31보병사단 사단 본부와 직할대가 있어 군용차나 군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8]

남구와 함께 사립중학교와 사립고등학교가 많다. 고려중학교, 고려고등학교, 살레시오중학교, 살레시오고등학교[9], 서강중학교, 서강고등학교, 금호고등학교,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광주경신여자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광주숭일고등학교, 광주동신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주민참여예산 제도를 도입한 자치단체이기도 하다.


2.1. 인구[편집]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광주광역시 북구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80년 광주시 북구 설치
1980년 223,850명
1985년 299,890명
1988년 광주시 → 광주직할시 승격 분리
1990년 353,025명
1995년 464,700명
2000년 475,992명
2005년 454,241명
2010년 466,866명
2015년 446,316명
2020년 430,431명
2023년 9월 422,7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용봉동 37,619명
양산동 36,717명
신용동 29,117명
일곡동 28,646명
동림동 22,742명
건국동 21,684명
문화동 20,090명
운암1동 18,769명
문흥1동 15,469명
두암2동 15,414명
우산동 15,207명
문흥2동 15,172명
삼각동 13,537명
매곡동 13,507명
운암3동 13,368명
두암3동 12,729명
신안동 12,503명
오치2동 11,960명
운암2동 11,409명
오치1동 10,344명
임동 9,136명
중흥2동 8,407명
두암1동 7,401명
중흥3동 6,532명
풍향동 5,411명
중흥1동 4,503명
중앙동 3,956명
석곡동 2,374명
2023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1990년대에 두암지구, 문흥지구, 일곡지구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폭증하였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48만명 정도를 최대로 한 이후 감소하고 있는데, 광주광역시의 주요 주거지역으로 광산구가 개발되기 시작한 시점과 일치한다. 현재 건국동 쪽으로 개발이 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구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3. 경제[편집]


광주가 광역시들 중에서 빈부격차가 그나마 적은 편이라, 아주 못 사는 정도는 아니다. 오히려 북구가 광산구와 더불어 꾸준히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경제는 조금씩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10]


3.1. 금융[편집]


광주 북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북광주우체국 (15)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3)
특수은행
수협은행 (2)농협은행(중앙회) (8)
시중은행
신한은행 (4)우리은행 (1)
하나은행 (1)국민은행 (6)
지방은행
광주은행 (18)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광주농협 (9)서광주농협 (5)광주축협 (2)전남낙농농협 (1)
송정농협 (1)광주원예농협 (2)북광주농협 (7)
새마을금고
광주중앙새마을금고 중흥새마을금고 북광주새마을금고 서방새마을금고
동신새마을금고 동부새마을금고 정다운새마을금고 광주새마을금고
예향새마을금고 빛고을새마을금고 제일새마을금고 광주북부새마을금고
동운새마을금고 태봉새마을금고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문화신용협동조합 광주개인택시신용협동조합 광주의사신용협동조합 광주건축사신용협동조합
밀알신용협동조합 북광주신용협동조합 두암신용협동조합 광주교회신용협동조합
광주중앙신용협동조합 광주신안신용협동조합 광주미래신용협동조합 삼애신용협동조합
광주재활신용협동조합 광주중흥신용협동조합 롯데칠성음료신용협동조합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대한상호저축은행 (1)


4. 교육[편집]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북구 초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북구 중학교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북구 고등학교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5. 의료기관[편집]


서구처럼 중형 종합병원들이 상당히 많다. 대형 대학병원들이 모두 동구에 치우쳐져 있기 때문인데, 북구에서는 광주병원(두암동, 291병상)이 가장 크며, 그 뒤를 해피뷰병원(유동, 250병상), 운암한국병원(운암동, 217병상), 광주현대병원(용봉동, 211병상), 광주희망병원(용두동, 188병상), 광주일곡병원(일곡동, 144병상)이 잇고 있다.


6. 정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북구(광주광역시)/정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북구(광주)/행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자매우호도시[편집]



8.1. 자매도시[편집]




8.2. 우호도시[편집]




9. 출신 인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09:45에 나무위키 북구(광주광역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41개 법정동, 28개 행정동.[2] 2023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3년 7월 기준.[4] 중흥동, 풍향동, 우산동, 두암동, 문흥동, 각화동, 오치동, 삼각동, 일곡동, 석곡동.[5] 중앙동, 신안동, 임동, 용봉동, 운암동, 동림동, 매곡동, 양산동, 건국동.[6] 도로망을 의식하지 않은 것인지 아파트 난개발이 심하며 대표적인 지역은 운암동, 매곡동, 연제동, 양산동이다.[7] 하지만 통학 거리가 한 번 꼬이면 한없이 꼬이는 지역으로, 한 학생은 집이 5.18묘역 근처인데 학교는 일곡동으로 배정받아 버스를 2번 갈아타야 했다. 기숙사가 아니었으면 망했을 것이다.[8] 31사단 본부와 인접한 오치동/삼각동/일곡동 한정. 이외엔 동네는 군용차와 군인들을 보기가 드물다.[9] 동구의 살레시오여자중학교,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와는 많이 멀다. 살레시오초등학교와 살레시오여중고는 살레시오 수녀회에서, 살레시오중고는 살레시오 수도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두 수도회 모두 같은 인물(요한 보스코 성인)이 세운 남녀 수도회이다.[10] 다만 광산구와 비교해보면 경제 상황은 처참한 수준이다.[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1] 태어난 뒤 2살 때 광주광역시 북구로 이사를 와서 북구에서 자랐고 현재까지도 그의 외가 식구들이 모두 북구 우산동과 중흥동에 살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