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갈홍기

덤프버전 :




갈홍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농구협회 로고 가로형.svg
역대 대한민국농구협회 회장
[ 펼치기 · 접기 ]

역대이름재임 기간
초대이묘묵1945년 12월 19일 ~ 1952년 2월 7일
2대
3대
4대임봉순1952년 7월 ~ 1956년 2월
5대
6대갈홍기1956년 2월 ~ 1957년 4월
7대임봉순1957년 4월 ~ 1961년 7월 14일
8대
9대
10대박영준1961년 7월 15일 ~ 1963년 1월
11대박진석1963년 1월 ~ 1964년 4월
12대김창규1964년 4월 ~ 1964년 11월
13대이병희1964년 11월 ~ 1980년 9월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이동찬1980년 9월 ~ 1983년 1월 24일
21대서성환1983년 1월 25일 ~ 1985년 9월
22대김상하1985년 9월 3일 ~ 1997년 2월
23대
24대
25대
26대최헌열1997년 2월 ~ 1999년 2월
27대이종완1999년 2월 ~ 2001년 7월
28대
29대홍성범2001년 11월 23일 ~ 2004년 3월 23일
30대이종걸2004년 5월 6일 ~ 2013년 2월
31대
32대방열2013년 2월 ~ 2021년 1월
33대
34대권혁운2021년 1월 ~
파일:대한민국농구협회 로고.svg




대한민국 제6대 공보실장
갈홍기
葛弘基[1] | Kal Hong-ki
파일:6A9991AC-53F2-4234-BB52-92FEB4DAABE3.jpg
출생1906년 4월 14일
경기도 강화군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사망1989년 8월 25일 (향년 83세)
본관남양 갈씨
상파(想坡)
재임기간제4대 외무부 차관
1952년 2월 ~ 1952년 10월
제6대 공보처장
1953년 3월 6일 ~ 1955년 2월 27일
제6대 공보실장
1955년 2월 28일 ~ 1956년 7월 22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갈형대
학력배재고등보통학교 (졸업)
연희전문학교 (문과 / 졸업)
개렛 신학교 (졸업)
노스웨스턴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철학 / 박사)
종교개신교 (감리회)
경력연희전문학교 교수
창영교회 초대 담임목사
외무부 차관
제6대 공보처장
제6대 공보실장
대한민국농구협회 회장
제3대 주 말레이시아 대사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일제강점기, 대한민국감리회 목사정치인, 외교관.


2. 생애[편집]


1906년 경기도 강화군(현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애국지사 갈형대(葛亨大)[2]의 아들로 태어났다. 배재고등보통학교,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미국에 유학하여 개렛 신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한 뒤에는 연희전문학교의 교수로 근무하였다. 1937년 창영교회 초대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2년 동안 시무했다.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에 연루, 검거된 후 친일로 전향하여 1938년 6월 18일, 직전에 기소유예로 풀려났던 이묘묵(李卯默)을 비롯하여 정영도(鄭英道)·김여제(金與濟)·김여식(金麗植)·전영택(田榮澤)·류형기(柳瀅基)·이명혁(李明赫)·박태화(朴泰華)·차상달(車相達)·하경덕(河敬德)·현제명·홍난파 등 12인의 흥사단원과 김기승(金基昇)·김노겸(金魯謙)·노진설·이기윤(李基潤)·최봉칙(崔鳳則) 등 5인의 동우회원 등 17인과 함께 전향성명서를 발표하고 친일단체 대동민우회(大同民友會)에 가입하였으며#, 8월 18일 위 사람들과 함께 흥사단에서 출단 처분을 받았다.#

이후 정춘수 등과 함께 감리교단 내에서 일제에 부역하였다.

8.15 광복 후 1952년 외무부 차관으로 있었으며, 1953년부터 1956년까지 공보실장을 지냈다.

이후 1956년부터 1957년까지 대한민국농구협회 회장을 지냈다.


[1] 일본식 성명은 아마즈시로 히로키(葛城弘基).[2] 1925년 8월 인천부 화도예배당에서 위원으로서 하계아동성경학교를 개최하여 아동들에게 동화·유희·조선어·음악·역사 등을 가르쳤다. 이 때 갈홍기도 교원으로 참여했다.# 1928년 중국 동삼성에 거주하는 한인들이 중국 관헌들로부터 귀화를 강요받는 등 박해를 받는 데에 대한 구제책으로 설립된 재만동포옹호동맹(在滿同胞擁護同盟)에 동정금을 기부하는 등# 민족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인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