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상적 사회주의

덤프버전 :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공상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기독교 사회주의이슬람 사회주의불교 사회주의유교 사회주의
생시몽주의오언주의푸리에주의블랑키즘유대교 사회주의
아나키즘
아나코 생디칼리즘개인주의적 아나키즘사회적 아나키즘상호주의 아나키즘아고리즘
아나코 페미니즘녹색 아나키즘사회생태주의정강주의후기 아나키즘
반란적 아나키즘크리스천 아나키즘아나코 원시주의아나코 자연주의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
공산주의
틀:공산주의 참고.
개혁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민주사회주의유럽공산주의신좌파
국가사회주의21세기 사회주의아랍 사회주의아프리카 사회주의제3세계 사회주의
윤리적 사회주의시장사회주의제3의 길멜라네시아 사회주의
지역별 사회주의
블레어주의 파일:영국 국기.svg노동 시오니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룰라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볼리바르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차베스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나세르주의 파일:이집트 국기.svg카다피주의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간디 사회주의 파일:인도 국기.svg마르하엔주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산디노주의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마곤주의 파일:멕시코 국기.svg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왕징웨이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인민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혁명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사회주의미국의 사회주의영국의 사회주의이탈리아의 사회주의프랑스의 사회주의
호주의 사회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사회주의
연관 이념
급진적 자유주의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혁명적 사회주의사회주의적 내셔널리즘보수적 사회주의
생태 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좌익 보수주의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권위주의적 사회주의
자코뱅주의좌익대중주의인디헤니스모성소수자 사회주의기독교 좌파
사회적 평등주의사회주의적 애국주의집산주의
기타
좌익 정치반자본주의계급투쟁사회주의 페미니즘민족해방
안티파시스트 액션탈자본주의진보주의(일부)해방신학민족자결주의
밀레니얼 사회주의프롤레타리아 정당샴페인 사회주의자아일랜드 공화주의제3세계주의
핑크 타이드
관련 단체
인터내셔널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진보주의 인터내셔널상파울로 포럼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에베르트 재단룩셈부르크 재단진보동맹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1. 개요
2. 사상
2.1. 생시몽주의
2.2. 푸리에주의
2.3. 오언주의
3. 비판
4. 의의
5. 인물



1. 개요[편집]


Utopian socialism

카를 마르크스가 19세기 초의 기존 사회주의 철학자들 생 시몽, 샤를 푸리에, 로버트 오언 등을 비판하면서 사용한 용어. 그들의 이론이 현실적이지 못하고 공상적이라는 뜻에서 공상적 사회주의라고 칭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라고도 한다. 인도주의와 사회주의 정책에 의한 재산의 공유와 부의 평등 분배를 자각적이고 자발적인 호응으로 실현할 것을 이상으로 한 사상이다. 급진주의에서 파생되었다. 공상적 사회주의의 흐름은 지금도 공동체 운동, 협동조합 운동 등의 형태로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 사상[편집]



2.1. 생시몽주의[편집]




2.2. 푸리에주의[편집]




2.3. 오언주의[편집]




3. 비판[편집]


원래는 마르크스가 자신의 이론을 그 전 사회주의 이론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고안한 용어였다. 마르크스는 자신의 이론을 공산주의라 명명하고, 기존 사회주의를 가루가 되도록 깠다.

말년의 마르크스는 자신이 주장한 공산주의가 생각보다 히트도 못치고 인지도도 떨어졌다고 생각했는지, 공산주의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대신 '과학적 사회주의'라는 말을 쓰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동안 디스 걸던 사회주의들을 '공상적 사회주의'라 부르게 되었다.

4. 의의[편집]


공상적 사회주의는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의 흐름들을 마르크스가 악의적으로 붙인 칭호라 할 수 있다. 마르크스가 주로 거론한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인 생시몽, 푸리에, 오언 등은 당시에 마르크스보다 인기 높은 거물들이었다. 마르크스에 의해 공상적 사회주의로 묶이기는 하지만 각자의 주장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또한 이들은 전반적으로 사회주의 사회의 미래상(즉 이상향)에 대해서 꽤 자세히 이야기 하려 했다는 특징이 있다. 그렇기에 당대에 큰 인기를 누렸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주의 사회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두루뭉실하게 넘어가고 자본주의 경제의 모순을 치밀하게 공격했던 마르크스의 이론이 점점 더 각광받게 되었다. 결국 20세기 초반이 지나면 이들 공상적 사회주의 이론의 영향력은 현저히 떨어지고 마르크스 이론이 사회주의 운동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었다.

다만 마르크스가 이들을 비판했다 하더라도 이들이 만들었던 업적 그 자체를 거부하진 않았다. 마르크스는 공상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에서 밝혔듯이 이들의 협동조합적 운동등의 성과를 인정했다. 다만 유물론에 근거한 계급투쟁을 하지 못했기에 그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는 점을 비판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여 우리 또한 과거에 너희처럼 단순히 협동조합을 만들면 혁명이 될 줄 알았지만 그 것이 아니였다. 그러니 너희들도 어서 공상에서 벗어나 계급투쟁을 중심으로 협동조합 운동을 다시 조직하자.로서 그들이 아직 미숙한 사회주의상태에 있다고 인식했다.

소련이 멸망한 현대에도 이 한계에는 변함이 없는 것이 마르크스주의가 오랜 세월 동안 이론화, 체계화, 수정, 첨삭, 해석, 비판 등등을 거치며 학문적인 가치가 남아있고 정치 세력으로서도 무시하지 못할 힘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공상적 사회주의는 아직도 이론적 구상에만 힘쓰고 있을 뿐 실질적인 결과는 나오고 있지 않다. 대안적 사회주의를 내세우는 사회운동 일부에서 다시 공상적 사회주의를 주목하기는 하나 이론적 뒷받침이 없는지라 말 그대로 사회운동 내에서만 머무를 뿐 정치적 발언권을 얻거나 직접적인 사회 변혁을 유도하는 등 실질적인 결과는 내지 못하고 있다.

5. 인물[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