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왕징웨이주의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사건신해혁명 · 호법운동 · 호법전쟁 · 파리 강화 회의 · 제1차 국공합작 · 랴오중카이 암살 사건 · 중산함 사건 · 영왕운동 · 국민혁명 · 4.12 상하이 쿠데타 · 마일사변 · 국공결렬 · 영한합작 · 광저우 폭동 · 반장전쟁 · 중원대전 · 장왕합작 · 제1차 상하이 사변 · 송호정전협정 · 왕징웨이 저격 사건 · 시안 사건 · 제2차 국공합작 · 중일전쟁 · 왕징웨이 공작
관련 정치인순친왕 · 쑨원 · 후한민 · 랴오중카이 · 장제스 · 천궁보 · 천비쥔아내 · 구멍위 · 저우포하이 · 천두슈 · 미하일 보로딘
관련 단체중화민국 호법정부 · 중화민국 국민정부 · 우한 국민정부 · 중국국민당 · 개조동지회(개조파) · 저조구락부 · 예문연구회 · 왕징웨이 정권
대일정책부저항주의 · 항전준비론 · 일면저항 일면교섭 · 선안내 후양외 · 대일화평론(주화파)중일전쟁 이후 · 화평건국론친일정권 수립 이후



1. 개요
2. 성향
2.1. 1929년 이전
2.2. 1929년 ~ 1931년
2.3. 1931년 ~ 1937년
3. 참고문헌
4. 같이 보기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Wang Jingwei-ism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정치인이자 중국국민당 개조파의 영수 왕징웨이의 사상이다. 하지만 왕징웨이는 확고한 정치적 입장을 가지는 대신 특유의 변덕스러움과 당의 분열을 막기 위해 항상 타협하려는 성향이 전 생애에 걸쳐 나타났으며, 정치적 비난을 받을 때 맞서는 대신 사퇴하여 유럽으로 외유를 떠나는 우유부단함[1]도 있었다.

왕징웨이의 이러한 성향은 너무 자주, 때때로는 너무 갑자기 발현되어 그가 뚝심있는 지도자가 아니라 기회주의자라는 의심도 생겼고, 종종 왕징웨이 자신과 그 계파에게도 악영향을 미쳤다.


2. 성향[편집]



2.1. 1929년 이전[편집]


파일:Long live the revolutionary china_Soviet poster 1927.jpg
혁명적 중국 만세!
1927년에 제작된 소련의 포스터. 쑨원을 중심으로 다른 국민당의 중진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 중 오른쪽 위의 인물이 바로 왕징웨이이다.


2.2. 1929년 ~ 1931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개조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러나 1928년 11월 왕징웨이가 귀국하고 그가 국민당 좌파를 영도하게 됨에 따라 왕징웨이의 사상이 개조파에 묻어난다. 왕징웨이는 이전 사회주의 색채가 짙던 개조동지회의 성향을 자신이 중시하던 민주주의 요소로 바꾸었다. 이 시기 왕징웨이는 민주주의를 너무 강조한 나머지 다른 인사들에게 삼민주의에서 다른 두 원칙(민생주의, 민족주의)를 무시한다고 비판받았는데, 여기에 왕징웨이는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원칙적으로 우리는 삼민주의 전체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러나 특정한 때와 특정한 상황에서는 삼민주의 중 어느 부분을 먼저 실현해야 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오늘날 정치에서 나라와 인민에게 가장 해로운 것은 공산주의 일당독재와 장제스의 일인독재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반대하기 위해서 우리는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것이다. 우리는 삼민주의 전체를 바탕으로 (현 정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민주주의를 먼저 옹호하는 것이다. 이는 전체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특정 질병에 특정 처방을 내리는 의학적 치료와 같다.

1931년 7월 3일, 왕징웨이, 광저우에서 당원들에게 한 연설.


그러나 왕징웨이는 유럽과 미국의 '부르주아 민주주의'는 소수의 부르주아의 이익만 대변할 뿐 대다수 국민의 의견은 무시한다며 반대했고, 소련의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는 결국 일당독재만을 낳을 뿐이라며 반대했다. 그는 민주주의를 억압받는 인민 대다수를 정치에 참여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정치, 경제적인 기회 균등을 추구했으나 서방 민주주의의 이론과 제도를 본받을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등 완전히 거부하지는 않았다.

왕징웨이는 자신의 민주주의 이론을 반장의 무기로도 사용하였으며, 때문에 장제스를 끌어내리기 위한 전쟁인 중원대전과 제1차 양광사변에 깊게 드러났다.


2.3. 1931년 ~ 1937년[편집]


장왕합작이 수립되자 왕징웨이의 주요 이념이 다시 한번 바뀐다. 그가 아직 제1차 양광사변으로 광저우 정부에 있을 때, 만주사변이 한창 진행되던 1931년 10월 중순의 한 담화에서 그는 "대일문제는 국제연맹을 통한 해결에 주력해야 한다"고 하였고, 11월 중순에는 "국제연맹이 우리를 돕지 못한다면 우리는 저항 능력과 희생의 결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러한 생각은 장왕합작 이후까지 이어져 1932년 2월 초 발표된 <대일 문제에 대한 담화>에서 한 면으로는 저항하고, 한 면으로는 외교적으로 교섭하는 이른바 <일면저항, 일면교섭>으로 요약된다.


2.4. 중일전쟁 이후[편집]




3. 참고문헌[편집]




4. 같이 보기[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공상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기독교 사회주의이슬람 사회주의불교 사회주의유교 사회주의
생시몽주의오언주의푸리에주의블랑키즘유대교 사회주의
아나키즘
아나코 생디칼리즘개인주의적 아나키즘사회적 아나키즘상호주의 아나키즘아고리즘
아나코 페미니즘녹색 아나키즘사회생태주의정강주의후기 아나키즘
반란적 아나키즘크리스천 아나키즘아나코 원시주의아나코 자연주의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
공산주의
틀:공산주의 참고.
개혁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민주사회주의유럽공산주의신좌파
국가사회주의21세기 사회주의아랍 사회주의아프리카 사회주의제3세계 사회주의
윤리적 사회주의시장사회주의제3의 길멜라네시아 사회주의
지역별 사회주의
블레어주의 파일:영국 국기.svg노동 시오니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룰라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볼리바르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차베스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나세르주의 파일:이집트 국기.svg카다피주의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간디 사회주의 파일:인도 국기.svg마르하엔주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산디노주의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마곤주의 파일:멕시코 국기.svg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왕징웨이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인민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혁명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사회주의미국의 사회주의영국의 사회주의이탈리아의 사회주의프랑스의 사회주의
호주의 사회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사회주의
연관 이념
급진적 자유주의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혁명적 사회주의사회주의적 내셔널리즘보수적 사회주의
생태 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좌익 보수주의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권위주의적 사회주의
자코뱅주의좌익대중주의인디헤니스모성소수자 사회주의기독교 좌파
사회적 평등주의사회주의적 애국주의집산주의
기타
좌익 정치반자본주의계급투쟁사회주의 페미니즘민족해방
안티파시스트 액션탈자본주의진보주의(일부)해방신학민족자결주의
밀레니얼 사회주의프롤레타리아 정당샴페인 사회주의자아일랜드 공화주의제3세계주의
핑크 타이드
관련 단체
인터내셔널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진보주의 인터내셔널상파울로 포럼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에베르트 재단룩셈부르크 재단진보동맹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9:52:23에 나무위키 왕징웨이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왕징웨이는 일생 동안 이러한 이유로 외유를 4번이나 떠났다. 배경한 교수는 왕징웨이의 이러한 성향을 '낭만적 혁명가'라고 설명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