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본찬

덤프버전 :

||



구본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남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5박경래
1976석동은
1979감경윤 · 강종구 · 이기식 · 이세일
1980감경윤 · 강종구 · 김홍복 · 이항용
1981박명국 · 박익수 · 엄선기 · 이항용 · 임인택 · 임채웅
1982김영운 · 박익수 · 이용호 · 이재형
1983 1기곽윤식 · 김병갑 · 김영운 · 엄선기 · 이용호 · 전인수
1983 2기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배진성 · 전인수 · 최원태
1983 3기구자청 · 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전인수
1984 1기구자청 · 김병갑 · 박익수 · 배진성
1984 2기구자청 · 전인수 · 최원태
1985 1기김병갑 · 문백운 · 박경상 · 안태성 · 유호상 · 이용호 · 이의명 · 이한섭 · 임동일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2기강정식 · 곽윤식 · 구자청 · 김병갑 · 박경상 · 박채순 · 안태성 · 이문수 · 이의명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3기강동원 · 구자청 · 김병갑 · 서만교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4기구자청 · 서만교 · 전인수 · 호진수
1986 1기강동원 · 곽윤식 · 구자청 · 김동걸 · 박성수 · 배진성 · 서만교 · 임지원 · 전인수 · 조성민 · 최원태 · 호진수
1986 2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전인수
1987 1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임희식 · 전인수 · 호진수
1987/88구자청 · 길준석 · 김춘식 · 박성수 · 안태성 · 양승현 · 양창훈 · 윤형두 · 이경출 · 임채웅 · 전인수 · 호진수
1988 2기박성수 · 양창훈 · 이경출 · 이한섭 · 전인수 · 호진수
1988 3기박성수 · 이한섭 · 송칠석 · 전인수
1989김성남 · 박재표 · 양승현 · 양창훈 · 이정근 · 이흥섭 · 임채웅 · 전인수
1990 1기강태경 · 김경호 · 박성수 · 송칠석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전인수
1990 2기강태경 · 김선빈 · 김준화 · 박성수 · 박재표 · 양창훈 · 이정근 · 호진수
1991김경호 · 박재표 · 심영성 · 양창훈 · 전인수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2김경호 · 김보람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3김경호 · 김보람 · 김성남 · 김재락 · 박경모 · 양창훈 · 이경출 · 한승훈
1994김경호 · 김보람 · 박경모 · 심영성 · 양창훈 · 오교문 · 정재헌 · 한승훈
1995김보람 · 김선빈 · 김재락 · 양창훈 · 오교문 · 이경출 · 정재헌 · 한승훈
1996김경호 · 김민수 · 김보람 · 김선빈 · 김영수 · 박성수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장세희 · 장용호 · 정우성
1997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오교문 · 임희식 · 장용호 · 정우성 · 홍성칠
1998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장용호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한승훈
1999김보람 · 배재경 · 오진혁 · 장용호 · 정재헌 · 한승훈 · 홍성칠 · 황진우
2000김경호 · 김보람 · 김청태 · 오교문 · 이태영 · 장용호 · 전성환 · 정재헌
2001김원섭 · 박경모 · 연정기 · 이창환- · 김보람 · 김청태 · 장용호 · 정재헌-[자격박탈]
2002김경호 · 김석관 · 박경모 · 배재경 · 이동욱 · 이승용 · 임동현 · 최원종
2003김보람 · 박경모 · 박현수 · 이동욱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광
2004구춘성 · 김보람 · 박경모 · 이동욱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한승훈
2005김보람 · 박경모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수 · 최원종 · 한승훈
2006박경모 · 연정기 · 이상현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홍성칠 · 한승훈
2007김보람 · 김연철 · 박경모 · 이창환 · 이철수 · 임동현 · 임지완 · 오진혁
2008김명수 · 김보람 · 김재형 · 박경모 · 이승용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2009김성훈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용 · 이창환 · 이호준 · 임동현 · 장채환
2010김우진 · 김보람 · 오진혁 · 이광성 · 이창환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1구동남 · 김우진 · 김주완 · 김성훈 · 오진혁 · 이창환 · 임동현 · 진재왕
2012김우진 · 김법민 · 김봉만 · 김석관 · 김성훈 · 김용호 · 박진억 · 성우경 · 이창환 · 임동현 · 오진혁 · 진재왕 · 한우탁
2013구본찬 · 김규찬 · 김석관 · 오진혁 · 이승윤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4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성원 · 한우탁
2015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신재훈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16구본찬 · 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7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 진재왕
2018김규찬 · 김우진 · 배재현 · 신재훈 · 오진혁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9김우진 · 남유빈 · 배재현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20김우진 · 김필중 · 남유빈 · 오진혁 · 이우석 · 장채환 · 정태영 · 한종혁
2021김우진 · 김제덕 · 김필중 · 박주영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한우탁
2022김우진 · 김제덕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장채환 · 한우탁
2023김우진 · 김제덕 · 서민기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최두희 · 최재환
[자격박탈] 군입소 극기훈련 집단 거부



구본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23회1984 로스앤젤레스파일:미국 국기.svg 대럴 페이스24회1988 서울파일:미국 국기.svg 제이 바르스
25회1992 바르셀로나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앵 플뤼트26회1996 애틀란타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휴이시
27회2000 시드니파일:호주 국기.svg 사이먼 페어웨더28회2004 아테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코 갈리아초
29회2008 베이징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빅토르 루반30회2012 런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진혁
31회2016 리우데자네이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본찬32회2020 도쿄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테 가조즈




구본찬
具本粲|Ku Bonchan
파일:구본찬전신프로필.jpg
출생1993년 1월 31일 (31세)
경상북도 경주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용황초등학교 (졸업)
경주신라중학교 (졸업)
경북체육고등학교 (졸업)
안동대학교 (학사)
종목양궁
신체181cm, 81kg
소속현대제철 (2016~ )
가족배우자 엄다윤(2018년 7월 28일 결혼)
아들 구윤제(2020년 6월 27일생)
아들 구이제(2022년 6월 25일생)
손윗동서 오진혁
종교불교

1. 개요
2. 선수 경력
3. 수상 기록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양궁 선수.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단체전 및 개인전 금메달리스트다. 첫 출전한 올림픽에서 한국 남자 양궁의 '2관왕 계보'를 달성했다.[1] 남자 양궁에서의 2관왕은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저스틴 휴이시 이후 20년 만이며[2],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한국 양궁 전 종목 석권마지막 퍼즐을 맞춘 선수다.


2. 선수 경력[편집]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참가했는데 당초 한국 남자 양궁의 개인전 우승은 쉽지 않아 보였다. 32강에서 대표팀의 에이스인 김우진이 충격적인 광탈을 한 데 이어 이승윤은 8강전에서 무너졌다. 홀로 남은 구본찬의 8강전과 4강전은 슛오프[3]까지 가는 말 그대로 대접전이었다. 올림픽 전까지 구본찬의 슛오프 승률은 17%에 불과했으나, 올림픽에선 두번의 슛오프에서 모두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4강전에서 구본찬이 물리친 상대가 국제대회에서 여러 차례 대한민국의 발목을 잡아온 미국의 브래드 엘리슨이었기에 더욱 짜릿했다. 본인도 대표 선수 3명 중에서 자신이 슛오프에서 가장 약하다고 언급했다. 결국 결승에서 프랑스의 장 샤를 발라동을 7-3으로 꺾고 우승했다. 지방 국립대학 출신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 때 박채순 감독이 구본찬을 격려하면서 한 말이 그 유명한 '너 전국체전 때 금메달 딸 수 있어? 올림픽이 전국체전보다 더 편해.'였다. 이후 그 해 2016년 전국체육대회에서 그는 90m 기록경기에서 금메달을 땄지만 개인전과 단체전에서는 떨어졌다.

그동안 대한민국 양궁은 주로 여자부의 선전에 주로 의존했고 남자부는 미국이 개인전 금메달을 오랫동안 독식하다시피하면서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지 않았었다. 1988년 박성수와 1992년 정재헌의 은메달, 1996년 오교문의 동메달 하나가 최고 기록에 머물렀었으나, 이후 2008년 올림픽에서 박경모가 후배들이 다 탈락한 와중에도 고군분투를 하면서 은메달을 획득한 것을 시작으로 2012년에 오진혁이 개인전에서 처음으로 금메달을 따내면서[4] 좋은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5] 그리고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구본찬이 화룡점정을 찍으면서 대한민국이 남녀 통틀어 양궁 단체전, 개인전 금메달 싹쓸이라는 금자탑을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 경기 결승전에서 모두 10점을 맞췄다.


3.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금메달2016 리우데자네이루단체전
금메달2016 리우데자네이루개인전
세계선수권
금메달2015 코펜하겐혼성 단체전
금메달2015 코펜하겐단체전
아시안 게임
동메달2014 인천단체전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3 타이베이단체전
은메달2013 타이베이혼성 단체전
월드컵 파이널
금메달2016 오덴세혼성 단체전
동메달2016 오덴세개인전
유니버시아드
금메달2015 광주단체전
은메달2015 광주개인전


4. 기타[편집]


  • 젠틀해 보이는 외모와는 달리 목소리가 상당히 특이하다.



  • 2018년 7월 28일 오진혁의 처제인 엄다윤과 결혼하면서, 오진혁과는 동서 지간이 되었다. 재미있게도 2012 런던 올림픽 개인전 금메달은 오진혁이 획득했고,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개인전 금메달은 구본찬이 획득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은 구본찬이, 2020 도쿄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은 오진혁이 차지하였다. 이렇게 형님과 동서가 전부 2관왕[6]을 하여 나란히 신궁 라인에 오르게 되었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세계양궁연맹 로고_상하.svg
World Archery
리커브 남자 세계 랭킹 1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
(2015.8.2 - 2016.8.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본찬
(2016.8.12 - 2017.5.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
(2017.5.22 - 2017.6.1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5:15:57에 나무위키 구본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기훈, 이정수, 진종오 이어 2관왕을 달성한 네번째 남자 선수이다.[2] 애틀랜타 올림픽 당시 대한민국 남자 양궁은 오교문이 개인전 동메달을 땄고 단체전에서는 결승전에서 장용호가 경기 도중 6점을 쏘는 실수를 범하는 바람에 그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미국에 패해 은메달을 땄다.[3] 단 한 발만의 화살을 쏴 과녁 정중앙에서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쏜 선수가 승리한다. 2012 런던 올림픽 여자 개인전 결승에서 기보배가 8점을 쏴 위기에 몰렸으나 뒤이어 쏜 멕시코 선수의 화살이 더 바깥쪽으로 빠지는 바람에 기보배가 금메달을 가져갔다. 축구로 비유하자면 승부차기를 팀당 단 한 번씩만 찬다고 생각하면 된다.[4] 정작 김법민, 임동현과 팀을 이뤄 출전한 단체전에서는 준결승에서 브래드 엘리슨이 건재한 가운데, 미국에 패배해며 동메달을 받았다. 이 때 중계 마이크를 잡았던 KBS 조건진 캐스터는 "동메달도 한 번 따 봐야 합니다."라는 명언을 남겼다.[5] 실제로 2020년 현재에도 여자 양궁과는 달리 남자 양궁은 그 당시에도 국가 간의 실력 차이가 크지 않은 편이었다. 그래서 남자 양궁은 개인전에서는 상대적으로 메달을 따기가 힘든 구조였던 탓에 2000 시드니 올림픽2004 아테네 올림픽2020 도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양궁 대표팀은 남자 개인전에서 단 하나의 메달도 따내지 못했다.[6] 개인전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