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승윤(양궁)

덤프버전 :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남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5박경래
1976석동은
1979감경윤 · 강종구 · 이기식 · 이세일
1980감경윤 · 강종구 · 김홍복 · 이항용
1981박명국 · 박익수 · 엄선기 · 이항용 · 임인택 · 임채웅
1982김영운 · 박익수 · 이용호 · 이재형
1983 1기곽윤식 · 김병갑 · 김영운 · 엄선기 · 이용호 · 전인수
1983 2기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배진성 · 전인수 · 최원태
1983 3기구자청 · 김병갑 · 김영운 · 박익수 · 전인수
1984 1기구자청 · 김병갑 · 박익수 · 배진성
1984 2기구자청 · 전인수 · 최원태
1985 1기김병갑 · 문백운 · 박경상 · 안태성 · 유호상 · 이용호 · 이의명 · 이한섭 · 임동일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2기강정식 · 곽윤식 · 구자청 · 김병갑 · 박경상 · 박채순 · 안태성 · 이문수 · 이의명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3기강동원 · 구자청 · 김병갑 · 서만교 · 전인수 · 최원태 · 호진수
1985 4기구자청 · 서만교 · 전인수 · 호진수
1986 1기강동원 · 곽윤식 · 구자청 · 김동걸 · 박성수 · 배진성 · 서만교 · 임지원 · 전인수 · 조성민 · 최원태 · 호진수
1986 2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전인수
1987 1기구자청 · 박경상 · 박성수 · 양승현 · 양창훈 · 임희식 · 전인수 · 호진수
1987/88구자청 · 길준석 · 김춘식 · 박성수 · 안태성 · 양승현 · 양창훈 · 윤형두 · 이경출 · 임채웅 · 전인수 · 호진수
1988 2기박성수 · 양창훈 · 이경출 · 이한섭 · 전인수 · 호진수
1988 3기박성수 · 이한섭 · 송칠석 · 전인수
1989김성남 · 박재표 · 양승현 · 양창훈 · 이정근 · 이흥섭 · 임채웅 · 전인수
1990 1기강태경 · 김경호 · 박성수 · 송칠석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전인수
1990 2기강태경 · 김선빈 · 김준화 · 박성수 · 박재표 · 양창훈 · 이정근 · 호진수
1991김경호 · 박재표 · 심영성 · 양창훈 · 전인수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2김경호 · 김보람 · 양창훈 · 이정근 · 임희식 · 정재헌 · 한승훈 · 황진우
1993김경호 · 김보람 · 김성남 · 김재락 · 박경모 · 양창훈 · 이경출 · 한승훈
1994김경호 · 김보람 · 박경모 · 심영성 · 양창훈 · 오교문 · 정재헌 · 한승훈
1995김보람 · 김선빈 · 김재락 · 양창훈 · 오교문 · 이경출 · 정재헌 · 한승훈
1996김경호 · 김민수 · 김보람 · 김선빈 · 김영수 · 박성수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장세희 · 장용호 · 정우성
1997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오교문 · 임희식 · 장용호 · 정우성 · 홍성칠
1998김경호 · 김보람 · 김선빈 · 장용호 · 오교문 · 이정근 · 임희식 · 한승훈
1999김보람 · 배재경 · 오진혁 · 장용호 · 정재헌 · 한승훈 · 홍성칠 · 황진우
2000김경호 · 김보람 · 김청태 · 오교문 · 이태영 · 장용호 · 전성환 · 정재헌
2001김원섭 · 박경모 · 연정기 · 이창환- · 김보람 · 김청태 · 장용호 · 정재헌-[자격박탈]
2002김경호 · 김석관 · 박경모 · 배재경 · 이동욱 · 이승용 · 임동현 · 최원종
2003김보람 · 박경모 · 박현수 · 이동욱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광
2004구춘성 · 김보람 · 박경모 · 이동욱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한승훈
2005김보람 · 박경모 · 임동현 · 장용호 · 정재헌 · 최영수 · 최원종 · 한승훈
2006박경모 · 연정기 · 이상현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 홍성칠 · 한승훈
2007김보람 · 김연철 · 박경모 · 이창환 · 이철수 · 임동현 · 임지완 · 오진혁
2008김명수 · 김보람 · 김재형 · 박경모 · 이승용 · 이창환 · 임동현 · 장용호
2009김성훈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용 · 이창환 · 이호준 · 임동현 · 장채환
2010김우진 · 김보람 · 오진혁 · 이광성 · 이창환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1구동남 · 김우진 · 김주완 · 김성훈 · 오진혁 · 이창환 · 임동현 · 진재왕
2012김우진 · 김법민 · 김봉만 · 김석관 · 김성훈 · 김용호 · 박진억 · 성우경 · 이창환 · 임동현 · 오진혁 · 진재왕 · 한우탁
2013구본찬 · 김규찬 · 김석관 · 오진혁 · 이승윤 · 임동현 · 정성원 · 진재왕
2014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성원 · 한우탁
2015구본찬 · 김우진 · 오진혁 · 신재훈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16구본찬 · 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7김우진 · 김종호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 진재왕
2018김규찬 · 김우진 · 배재현 · 신재훈 · 오진혁 · 이우석 · 임동현 · 정태영
2019김우진 · 남유빈 · 배재현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임동현
2020김우진 · 김필중 · 남유빈 · 오진혁 · 이우석 · 장채환 · 정태영 · 한종혁
2021김우진 · 김제덕 · 김필중 · 박주영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한우탁
2022김우진 · 김제덕 · 오진혁 · 이승신 · 이승윤 · 이우석 · 장채환 · 한우탁
2023김우진 · 김제덕 · 서민기 · 오진혁 · 이승윤 · 이우석 · 최두희 · 최재환
[자격박탈] 군입소 극기훈련 집단 거부



이승윤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36회1991 크라쿠프파일:호주 국기.svg 사이먼 페어웨더37회1993 안탈리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경모
38회1995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경출39회1997 빅토리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호
40회1999 리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칠41회2001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연정기
42회2003 뉴욕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미첼 프란길리43회2005 마드리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헌
44회2007 라이프치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동현45회2009 울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환
46회2011 토리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47회2013 벨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48회2015 코펜하겐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49회2017 멕시코시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동현
50회2019 스헤르토겐보스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디 엘리슨51회2021 양크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
52회2023 베를린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테 가조즈




파일:아시아 양궁 연맹 로고_상하.svg
아시아 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1회1980 콜카타2회1981 싱가포르파일:필리핀 국기.svg 카를로스 샌토스 주니어
3회1983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운4회1985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인수
5회1988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호진수6회1989 베이징
7회1991 마닐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승훈8회1993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보람
9회1996 촌부리파일:중국 국기.svg 뤄헝위10회1997 랑카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교문
11회1999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헌12회2001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원섭
13회2003 양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욱14회2005 뉴델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동현
15회2007 시안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왕쳉팡16회2009 덴파사르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궈정웨이
17회2011 테헤란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카이룰 아누아르 모하마드18회2013 타이페이파일:일본 국기.svg 후루카와 다카하루
19회2015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우석20회2017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21회2019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우석22회2021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23회2023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24회




파일:정몽구배.jpg
현대자동차 정몽구배
||
[ 펼치기 · 접기 ]



이승윤
李承潤|Lee Seungyun
파일:311454645.jpg
출생1995년 4월 18일 (29세)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둔내초등학교 (졸업)
강원체육중학교 (졸업)
강원체육고등학교 (졸업)
상지영서대학교 (전문학사)
종목양궁
소속코오롱 엑스텐보이즈 (2014~2018)
서울시청 (2019)
광주시양궁협회 (2020)
광주남구청 (2021~ )
신체173cm, 78kg
종교불교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수상 기록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양궁 선수.


2. 선수 경력[편집]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남자 개인전, 남자 단체전, 남녀 혼성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내며 3관왕을 달성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출전을 위한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3위를 기록했다.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받았고, 귀국 이후 결혼식을 치렀다. 인터뷰에 의하면 본인이 금메달을 따면 바로 여자친구에게 결혼하자고 말하려고 했다고 한다.

2019 도쿄 올림픽 테스트 이벤트 대회에서 우승했다.

2021년 선발전 마지막까지 김제덕과 치열한 경쟁을 펼쳤으나, 종합평균 기록에서 뒤쳐져 대표팀 승선에 실패했다. 제32회 한국실업양궁연맹회장기 양궁대회 남자일반부 단체전에서 광주 남구청 양궁팀으로서 창단 첫 단체전 메달을 획득했다.


3.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금메달2016 리우데자네이루단체전
세계선수권
금메달2013 벨렉개인전
동메달2019 스헤르토헨보스단체전
아시안 게임
동메달2014 인천단체전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5 방콕단체전
금메달2017 다카단체전
금메달2017 다카개인전
금메달2021 다카혼성 단체전
금메달2021 다카개인전
금메달2021 다카단체전
은메달2015 방콕개인전
유니버시아드
금메달2015 광주혼성 단체전
금메달2015 광주단체전
금메달2015 광주개인전
금메달2017 타이베이혼성 단체전
금메달2017 타이베이단체전
금메달2017 타이베이개인전
카데트 세계선수권
은메달2011 레그니차단체전
동메달2011 레그니차개인전


4. 여담[편집]


  • 2015년 전국체육대회 때 36발 모두 10점을 맞히고, X-10에 맞춘 회수가 약간 높아서 아슬아슬하게 금메달을 받았던 사건의 주인공 중 1명이다. 김법민은 공동 금메달, 김규찬은 만점을 쏘고도 동메달을 받았다.

  • 유튜브 MBC스포츠탐험대 남벌 양궁편 2회에서 장혜진이 양궁계 싸움 닭이라고 소개했다. 연습 때는 졸린 눈으로 있다가도, 시합때는 눈이 커진다고 한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세계양궁연맹 로고_상하.svg
World Archery
리커브 남자 세계 랭킹 1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진혁
(2013.4.3 - 2014.6.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2014.6.16 - 2015.3.2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릭 판테흐벤
(2015.3.29 - 2015.5.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릭 판테흐벤
(2015.3.29 - 2015.5.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윤
(2015.5.10 - 2015.8.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우진
(2015.8.2 - 2016.8.11)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5:36:23에 나무위키 이승윤(양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