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경수(군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배기호
제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박대섭
제3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소장.svg
김광석
제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황우웅
제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순광
제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교성
제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갑수
제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경수
제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한영훈
제10대

김경수

※ 초대: 준장 / 2대~9대: 소장 / 현재: 군무원




제8·10대 국군복지단장
김경수
Kim Kyung-soo
파일:김경수(군인).jpg
출생1963년
복무대한민국 육군
기간1987년 ~ 2021년
임관육군사관학교 43기
최종 계급소장
현직국군복지단장[1]
약력제1군단 부군단장
국군복지단장
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장 및 제병지휘관
제35보병사단
육군인사사령부 인사행정처장
제3야전군사령부 인사처장
제7공수특전여단
제51보병사단 제169보병연대장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前 군인. 최종 계급은 소장, 최종보직은 제1군단 부군단장이다. 2021년 12월부로 개정된 국군복지단 조직법에 의거 군무원으로서 국군복지단장에 재취임했다.


2. 생애[편집]


1983년 육군사관학교(43기)로 입교하여 1987년 졸업과 함께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병과는 보병, 직능은 인사이다.

대령 시절에 51사단 제169보병연대장, 제1군단 인사참모를 역임했다.#

43기에서 1차로 준장 진급[2]제7공수특전여단장과 제3야전군사령부 인사처장, 육군인사사령부 인사행정처장 등을 지냈다.

2016년 5월, 소장으로 진급하여 35보병사단장으로 취임하였다. 이후 사단장을 이임하고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군사지원본부 인사부장으로 영전했다. 그러나 이후 한직인 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장, 제병지휘관직을 수행하며 밀리게 된다.[3]

이후 2019년 11월 인사에서 육사 1기수 선배인 김갑수 소장에 이어 국군복지단장으로 부임하였다가[4] 2020년 12월 인사에서 5차 보직인 제1군단 부군단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해당 보직을 끝으로 2021년 5월 26일에 예편하게 되었다. 2021년 12월부로 개정된 국군복지단 조직법에 의거 군무원으로서 국군복지단장에 재취임했다.[5] 이후 1급 군무관리관으로 진급하였다.


3.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22:29:30에 나무위키 김경수(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역 후 군무원으로 재임용. 최근 군무원 1급으로 승진.[2] 같은 날 동기 중 안준석, 윤의철, 김정수, 권삼, 김선호, 김한태, 성일, 김덕영 등이 진급했다.[3] 행사 제병 지휘관직은 한직이므로 전역을 앞둔 장군들이 주로 맡으며 김승겸 장군이 알자회에게 찍혀 수행한 보직이다.[4] 국군복지단장직은 전역을 앞둔 육군 소장이 주로 맡으며 윤일병 사건 당시 제28보병사단장이었던 이순광 소장(육사 40기)이 사건을 책임지고 보직해임된 이후 보임된 자리이다.[5] 2019년 12월에는 현역 때 국군체육부대장을 역임한 육사 한 기수 선배가 군무원으로서 같은 자리에 재취임한 사례가 있었다.[6] 인사직능의 요직은 육본 인사참모부장이다. 다만 김경수 소장은 이 보직을 거치지는 못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