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만수(정치인)

덤프버전 :

파일:부천시 CI_White.svg
경기도 부천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유석보
제2대
박제혁
제3대
한양수
제4대
박제혁
제5대
지헌정
제6대
이해재
제7대
이의근
제8대
임경호
제9대
정태수
제10대
허태열
제11대
전창선
제12대
이상용
제13대
조건호
제14대
김진선
제15대
이해선
제16-17대
원혜영
제18-19대
홍건표
제20-21대
김만수
제22대
장덕천
제23대
조용익
파일:부천_시정구호(민선8기_통합도시브랜드).pn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제4대
박선숙
초대
송경희
제2대
윤태영
제3대
김종민
제4대
김만수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제5대
정태호
제6대
윤태영
제7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박선규
김은혜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제3대
김희정
제4대
박정하
초대
윤창중
제2대
김행
제3대
민경욱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4대
정연국
초대
박수현
제2대
김의겸
제3대
고민정
제4대
강민석
문재인 정부
제5대
박경미
초대
강인선
제2대
이도운
제3대
김수경





참여정부 제4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제20-21대 경기도 부천시장
김만수
金晩洙 | Kim Man-soo
파일:90A22A3C-A4D4-49A2-BAE7-9B671909859C.jpg
출생1964년 9월 20일 (59세)
충청북도 충주시
재임기간참여정부 제4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2005년 3월 18일 ~ 2006년 4월 24일
제20-21대 경기도 부천시장
2010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학력충암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사회학 / 학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 석사)
혈액형A형
가족아내 현은희[1], 슬하 2남
종교천주교(세례명: 레오)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3. 저서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이자 기초자치단체장이다.


2. 생애[편집]


1964년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서울특별시로 상경하였다. 충암고등학교,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과정을 졸업, 수료하였다.


2.1. 정치 활동[편집]


1992년 민주당 원혜영 국회의원의 보좌관으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 부천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3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춘추관장을 지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언론에서는 이를 두고 문수 대 만수라는 드립을 쳤다.(...) 원래 시의원일 때도 지역구가 오정구에 속한 원종2동이었지만, 오정구는 자신이 모신 원혜영이 철옹성처럼 지키고 있어서 결국 김문수가 지키고 있는 소사 지역구를 선택해야 했다. 그리고 이때는 김문수가 아직 개념잡고 국회의원으로서 의정활동 성실히 하고 지역구 관리 아주 제대로 하던 때였으니 탄핵풍을 등에 업었음에도 도저히 상대가 안되었다.

2005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을 지냈다. 김문수가 도지사입니다 선거에 출마하면서 생긴 2006년 재보궐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집권여당의 인기가 최악이어서 낙선[2],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008년은 뉴타운 광풍으로 인해 민주당계 정당이 역대 최악의 패배를 당한 선거여서 김만수 역시도 그 광풍을 빗겨가지 못했다. 2006년과 2008년 모두 김문수의 보좌관 출신으로써 지역구를 물려받은 한나라당 차명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다만 실제로는 차명진 전 국회의원과 절친한 사이라고 한다. 2010년에 부천시장으로 당선되었을때 당이 다름에도 차명진 당시 의원이 축하 연설을 해 주기도 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장으로 방향을 바꿔,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현직 시장인 한나라당 홍건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본래는 3차례 연속 낙선을 하고 정치는 자신의 길이 아닌 것으로 추정하고 정계 은퇴까지 고려했으나, 자신이 모셨던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다시 일어섰다고 당선 인터뷰에서 회고했다. 실제로 노무현 대통령 서거로 인한 여론의 반전과, 현직 시장이었던 홍건표의 연이은 실정으로 인한 심판론으로 인해 22%, 7만표 차이라는 엄청난 차이로 당선되었고, 드디어 선거 첫 승리를 맛봤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역시 경기도 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부천 토박이 출신인 전 경기도의회 의원 새누리당이재진 후보를 꺾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본인이 보좌관으로 모셨던 분은 부천시의 국회의원 4명 중 1명인데 자신은 시장이 되었다.(...)그 분도 부천에서 시장을 두 번이나 역임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3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경기도지사 출마 혹은 2020년 21대 총선에서 부천 지역 출마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는 해석이다. 다만 경기도지사에 출마하려면 3월까지 시장직을 사퇴하여야 하는데, 본인이 임기를 다 마치지 않고 중도사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여러 번 공언했고, 실제로 공직자 사퇴시한까지 시장직을 유지하면서 차기 총선 출마 쪽으로 가게 되었다. 아무래도 자신의 본래 지역구였던 소사구의 현직 국회의원인 김상희나, 자신의 선임이었던 오정구 국회의원 원혜영, 서울에서 부천 원미구 을로 옮겨온 동교동계 중진 설훈 의원 모두 고령이기 때문에 다음 총선 공천이 불투명한 상황이라, 일찌감치 지방선거 불출마를 선언하고 네 번째 국회의원 도전을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21대 총선에서 부천시 정 선거구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서영석 후보에게 경선에서 패배하여 향후 정치활동의 향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2021년 5월 대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이광재 의원 선거캠프에 중추적인 역할로 참여할 예정이라는 내용이 보도되었다. #


3. 저서[편집]


  • 《어머니의 갱년기 시리즈 상 - 우리 만수는 레코더야》(2011)
  • 《어머니의 갱년기 시리즈 하 - 탈영과 세탁, 어머니의 인생 정신》(2015)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부천시의회 원종2
무소속

4,756 (50.46%)당선 (1위)초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5,072 (67.76%)재선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부천 소사
ta-hash-start=w-94fa5de638e401592d9633266855e4de[[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38,072 (39.97%)낙선 (2위)
2006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3]
11,712 (30.33%)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a883bbca3f8bc8814ff676cb0e91829a[[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7,224 (36.17%)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부천시장
ta-hash-start=w-c069c951b35ee8a123e7dcd5ac459351[[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192,332 (59.17%)당선 (1위)초선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a0917e3d4f0dbb7942fd849547f36ce6[[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2,038 (54.68%)재선


5. 둘러보기[편집]


파일:경기도 휘장(2005-2021)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0%><bgcolor=#0082CD> 고양 ||<width=20%><bgcolor=#C9252B> 과천 ||<width=20%><bgcolor=#0082CD> 광명 ||<width=20%><bgcolor=#C9252B> 광주 ||<width=20%><bgcolor=#0082CD> 구리 ||
|| 최성 || 여인국 || 양기대 || 조억동 || 박영순 ||
||<width=12%><rowbgcolor=#0082CD> 군포 ||<width=12%> 김포 ||<width=12%><bgcolor=#C9252B> 남양주 || 동두천 || 부천 ||
|| 김윤주 || 유영록 || 이석우 || 오세창 || 김만수 ||
||<rowbgcolor=#0082CD> 성남 || 수원 || 시흥 ||<width=12%><bgcolor=#808080> 안산 ||<bgcolor=#C9252B> 안성 ||
|| 이재명 || 염태영 || 김윤식 || 김철민 || 황은성 ||
||<rowbgcolor=#0082CD> 안양 ||<bgcolor=#C9252B> 양주 ||<bgcolor=#C9252B> 여주 || 오산 ||<bgcolor=#808080> 용인 ||
|| 최대호 || 현삼식 || 김춘석 || 곽상욱 || 김학규 ||
||<rowbgcolor=#0082CD> 의왕 || 의정부 || 이천 || 파주 || 평택 ||
|| 김성제 || 안병용 || 조병돈 || 이인재 || 김선기 ||
||<rowbgcolor=#C9252B> 포천 ||<bgcolor=#0082CD> 하남 ||<bgcolor=#0082CD> 화성 ||<bgcolor=#C9252B> 가평 || 양평 ||
|| 서장원 || 이교범 || 채인석 || 김성기 || 김선교 ||
||<bgcolor=#C9252B> 연천 ||
|| 김규선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파일:경기도 휘장(2005-2021)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0%><bgcolor=#004ea2> 고양 ||<bgcolor=#c9151e><width=20%> 과천 ||<bgcolor=#000><width=20%> 광명 ||<width=20%><rowbgcolor=#c9151e> 광주 ||<width=20%> 구리 ||
|| 최성 || 신계용 || 강희진
권한대행
|| 조억동 || 백경현 ||
||<width=12%><bgcolor=#00B4B4> 군포 ||<width=12%><bgcolor=#004ea2> 김포 ||<width=12%><bgcolor=#000000> 남양주 ||<rowbgcolor=#004ea2> 동두천 || 부천 ||
|| 김윤주 || 유영록 || 공석 || 오세창 || 김만수 ||
||<bgcolor=#000> 성남 ||<rowbgcolor=#004ea2> 수원 || 시흥 || 안산 ||<bgcolor=#c9151e> 안성 ||
|| 이재철
권한대행
|| 염태영 || 김윤식 || 제종길 || 황은성 ||
||<bgcolor=#c9151e> 안양 ||<bgcolor=#004ea2> 양주 ||<bgcolor=#808080> 여주 ||<bgcolor=#004ea2> 오산 ||<bgcolor=#c9151e> 용인 ||
|| 이필운 || 이성호 || 원경희 || 곽상욱 || 정찬민 ||
||<bgcolor=#808080> 의왕 ||<bgcolor=#004ea2> 의정부 ||<bgcolor=#004ea2> 이천 ||<rowbgcolor=#c9151e> 파주 || 평택 ||
|| 김성제 || 안병용 || 조병돈 || 이재홍 || 공재광 ||
||<bgcolor=#c9151e> 포천 ||<bgcolor=#004ea2> 하남 ||<bgcolor=#004ea2> 화성 ||<rowbgcolor=#c9151e> 가평 || 양평 ||
|| 김종천 || 오수봉 || 채인석 || 김성기 || 김선교 ||
||<bgcolor=#c9151e> 연천 ||
|| 김규선 ||
||<-5> * 광명시장 양기대 사퇴 (2018.3.15.)
* 성남시장 이재명 사퇴 (2018.3.15.)
* 남양주시장 이석우 사퇴 (2018.5.30.)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1] 국회도서관 서기관이다.[2] 다만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하도 본인이 소속된 정당이자 집권여당인 열린우리당이 2004년 총선이후로 지방선거와 각종 재보궐선거에서 참패를 당해 임팩트가 커서 묻혔는데 2006년 재보궐선거때는 민주당조영상 후보가 의도치 않게 고춧가루를 뿌려 한나라당의 차명진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는데, 본인과 조영상의 득표율과 득표수를 합치면 차명진 보다 0.06%P 차로(23표차) 앞섰다.[3] 전임자 김문수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출마로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