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재욱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코미디언 최재욱에 대한 내용은 최재욱(코미디언) 문서
최재욱(코미디언)번 문단을
최재욱(코미디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재정경제부장관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이규성강봉균이헌재진념전윤철
교육인적자원부장관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해찬김덕중문용린송자이돈희한완상이상주
통일부장관강인덕임동원박재규임동원홍순영정세현
외교통상부장관박정수홍순영이정빈한승수최성홍
법무부장관박상천김태정김정길안동수최경원송정호김정길심상명
국방부장관천용택조성태김동신이준
행정자치부장관김정길김기재최인기이근식
과학기술부장관강창희서정욱김영환채영복
문화관광부장관신낙균박지원김한길남궁진김성재
농림부장관김성훈한갑수김동태
산업자원부장관박태영정덕구김영호신국환장재식신국환
정보통신부장관배순훈남궁석안병엽양승택이상철
보건복지부장관주양자김모임차흥봉최선정김원길이태복김성호
환경부장관최재욱손숙김명자
노동부장관이기호이상룡최선정김호진유용태방용석
여성부장관한명숙
건설교통부장관이정무이건춘김윤기오장섭김용채안정남임인택
해양수산부장관김선길정상천이항규노무현정우택유삼남김호식
기획예산처장관진념전윤철장승우






[ 펼치기 · 접기 ]

행정조정실장 (1973~1997)
초대
박승복
제2대
이명춘
제3대
최창락
제4대
서석준
제5대
이선기
제6대
손수익
제7대
이규성
제8대
안치순
제9대
심대평
제10대
윤성태
제11대
김시형
제12대
강봉균
제13대
김용진
제14대
이환균
제15대
이기호
제16대
이영탁

국무조정실장 (1998~2008)
초대
정해주
제2대
최재욱
제3대
안병우
제4대
나승포
제5대
김호식
제6대
김진표
제7대
이영탁
제8대
한덕수
제9대
조영택
제10대
김영주
제11대
임상규
제12대
윤대희

국무총리실장 (2008~2013)
초대
조중표
제2대
권태신
제3대
임채민
제4대
임종룡




||
[ 펼치기 · 접기 ]

공보수석비서관 (1968~2003)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제4대
박선숙
홍보수석비서관 (2003~2017)
초대
이해성
제2대
이병완
제3대
조기숙
제4대
이백만
제5대
윤승용
제6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홍상표
제3대
김두우
제4대
최금락
초대
이남기
제2대
이정현
제3대
윤두현
제4대
김성우
제5대
배성례
국민소통수석비서관 (2017~2022)
초대
윤영찬
제2대
윤도한
제3대
정만호
제4대
박수현
홍보수석비서관 (2022~현재)
초대
최영범
제2대
김은혜
제3대
이도운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신범식
제2대
강상욱
제3대
윤주영
제4대
김성진
제5대
임방현
초대
서기원
초대
이웅희
제2대
황선필
제3대
정구호
제4대
이종률
제5대
최재욱
초대
이수정
제2대
김학준
초대
이경재
제2대
주돈식
제3대
윤여준
제4대
신우재
초대
박지원
제2대
박준영
제3대
오홍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제4대
박선숙
초대
송경희
제2대
윤태영
제3대
김종민
제4대
김만수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제5대
정태호
제6대
윤태영
제7대
천호선
초대
이동관
제2대
박선규
김은혜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제3대
김희정
제4대
박정하
초대
윤창중
제2대
김행
제3대
민경욱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4대
정연국
초대
박수현
제2대
김의겸
제3대
고민정
제4대
강민석
문재인 정부
제5대
박경미
초대
강인선
제2대
이도운
제3대
김수경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달서구 을)
선거구 분리
김한규
제14대
최재욱
제15-18대
이해봉

대한민국 제5대 환경부 장관
최재욱
崔在旭 | Choi Jae-wook
파일:최재욱.jpg
출생1940년 10월 1일 (83세)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속리
본관경주 최씨 #
재임기간전두환 정부 제5대 공보수석비서관대변인
1987년 7월 14일 ~ 1988년 2월 24일
제5대 환경부 장관
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4일
제2대 국무조정실장 (장관급)
2000년 1월 14일 ~ 2000년 6월 8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박해경[1]
자녀아들 최효종, 딸 최다혜
학력경북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법학 / 학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3, 14
경력동아일보 기자
경향신문 사장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대변인 (전두환 정부)
제13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제14대 국회의원 (대구 달서 을)
제5대 환경부 장관 (국민의 정부)
국무조정실장 (국민의 정부)

[1] 2021년 작고.
1. 개요
2. 생애
3. 버마 아웅산 묘소 폭탄테러현장에서의 마지막 생존자
4. 선거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언론인, 정치인.


2. 생애[편집]


1940년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속리[1]에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40회), 영남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 때 동아일보 기자를 역임하였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공보비서관에 임명되었다. 1983년 10월 전두환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동행하였다가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부상을 당하였다.[2] 1986년부터 1987년까지 경향신문 사장을 역임하였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청와대 대변인 겸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을 역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박태준 최고위원의 비서실장에 임명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달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민주자유당 사무부총장을 역임하였다.

1995년 말 김영삼 정부의 역사바로세우기를 위한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사법처리에 반발하였다. 결국 1996년 신한국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다.[3] 그리고 그 해 치러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해봉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4]

1998년부터 1999년까지 환경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99년 자유민주연합 총재 정무담당 특별보좌관에 임명되었다. 2000년 상반기 박태준이 국무총리로 부임하자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하였다.


3. 버마 아웅산 묘소 폭탄테러현장에서의 마지막 생존자[편집]


최재욱은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공보비서관에 임명되었고, 그 후 1983년 10월 전두환 대통령의 동남아∙대양주 해외 순방에 동행하였다가 북한버마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으로 중상을 입었다. 최재욱은 테러 현장의 단상에서 전두환 당시 대통령을 기다리던 1급이상 공식 수행원 15명 중 한명이었는데, 이들 중 현장에서 13명이 숨졌고, 이기백 당시 합참의장과 최재욱만 살아남았다. 이기백 합참의장이 2019년 별세하였기에, 현재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의 마지막 생존자이다.[5]

최재욱은 인터뷰에서, “최초에 TV속보에서 테러 사망자 명단에 최재욱이 포함된 것으로 보도되어 아내혼절했었는데, 2시간만에 중상자로 정정보도 되었다고 한다. 테러 당시 폭탄 폭발로 인해 날아간 서까래와 부딪혀 머리고막이 터졌고, 온 몸에 파편이 박힌 채 얼굴이 온통 피투성이가 된 관계로 병원을 방문한 대통령이 처음에는 몰라봐서 “제가 최재욱입니다. 대통령께서는 무사하십니까”라고 말하고 나서야 비로소 겨우 알아보았다”고 회고했다.

이어 “나야 그 이후로 덤으로 사는 인생이지만, 젊은 사람들은 남의 나라에 가서 남의 나라 주권을 짓밟는, 인류역사에도 없는 이런 테러를 하는 집단이 북한이라는 점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면 좋겠다”고도 했다.

인터뷰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0KbZy7eF9wU (YTN 2015년 10월 9일 '32년전 아웅산 테러, 운명의 그날)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0108244 (JTBC 2012년 5월 10일 단독인터뷰 - 미얀마 대사를 전두환으로 착각 공격)
https://m.mbn.co.kr/tv/610/1067813 (MBN 시사마이크 2014년 3월 27일 아웅산 테러 외교 보복조치, 작전명 '늑대사냥')


4.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6,670,494(34.0%)당선 (20번)초선[6]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대구 달서 을
ta-hash-start=w-4f50c49016d0728a159153ee7d57fb2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5,616 (50.19%)당선 (1위)재선[7]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be93aff998eaa951450701911c70dfb0[[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37,964 (38.55%)낙선 (2위)


5.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3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채문식윤길중정석모강영훈[B]이병용박태준김동인
이광노이윤자이원조김종곤김인기이동진이도선
김종기지연태박철언조경목최창윤[B]유기천나창주
서상목박승재손주환[B]이상하김장숙양경자이상회
홍세기김길홍강재섭김정길조남욱이재황이민규
신영순도영심심기섭 [C]안찬희 [C]최상진[C]
[B] A B C 임기 중 사퇴.[C] A B C 승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2:40:17에 나무위키 최재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최운지 전 국회의원도 이 마을 출신이다.[2] 테러 당시 도열해 있던 사람들 중 폭발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서 다행히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기백 당시 합참의장과 더불어 단 둘 뿐인 참사 생존자. 얼굴이 온통 피투성이여서 병실로 찾아온 전두환은 최재욱 자신이 누군지 말을 하기 전까지 알아보지도 못했다고.[3] 무엇보다 지역구인 달서구 을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가 벌어졌던 곳이라 문민정부신한국당에 대한 반감이 극심했다. 15대 총선에서 달서 을에 출마한 신한국당 이철우(경상북도지사 이철우와 동명이인) 후보가 15%도 득표하지 못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4] 고작 689표 차이였다.[5] 본인하고 함께 살아남았던 이기백(군인) 당시 합참의장은 2019년 향년 8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물론 당시 20대~30대 비공식 수행원 중에는 생존자가 많이 계신 편이다. 대표적인 분이 당시 이기백 의장을 모시던 전속부관 전인범 당시 중위였다.[6] 1990년 3당합당 합류[7] 1996.1.10 신한국당 탈당
1996.3.30 자유민주연합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