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무성(e스포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무성 문서
김무성번 문단을
김무성#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김무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선수
파일:LoL Champions logo1.png2012스프링파일:600px-MiG_Frost_logo.pngFantasyStar · Helios · Ambition · Jack Sparrow · Lustboy
서머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Shy · Templar · Rapidstar · Woong · MadLife
2013윈터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MakNooN · Watch · SSONG · PraY · Cain
스프링파일:Team MVP.pngHomme · DanDy · Dade · imp · Mata
서머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2014윈터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Acorn · Spirit · Dade · Deft · Heart
서머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Ssumday · KaKAO · Rookie · Arrow · Hachani
파일:LCK Old logo.png2015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Piccaboo
서머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2016스프링Duke · Blank · Bengi · Faker · Bang · Wolf
서머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lA
2017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Huni · Profit · Peanut · Blank · Faker · Sky · Bang · Wolf
서머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Khan · Rascal · Cuzz · Bdd · Justice · PraY · Lucy · GorilIA · Zzus
파일:LCK_Logo_2018.png2018스프링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Khan · Peanut · Cuzz · Bdd · PraY · GorilIA
서머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Smeb · Kingen · Score · Rush · Ucal · PawN · Deft · Mata · Mia
2019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Teddy · Leo · Mata · Effort
서머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Gori · Teddy · Leo · Effort · Mata
2020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Canna · Roach · Cuzz · Ellim · Faker · Gori · Teddy · Gumayusi · Effort · Kuri
서머파일:DAMWON.pngNuguri · Flame · Canyon · ShowMaker · Ghost · Nuclear · BeryL · Hoit
파일:LCK 로고.svg2021스프링파일:DWG KIA 엠블럼.svgKhan · Canyon · ShowMaker · RangJun · Ghost · BeryL
서머Khan · Canyon · Malrang · ShowMaker · Ghost · Rahel · BeryL
2022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Zeus · Oner · Faker · Gumayusi · Keria · Asper
서머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Doran · Peanut · YoungJae · Chovy · Ruler · Lehends
2023스프링Doran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서머Doran · Museong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





파일:GEN_Museong_2022.jpg
Gen.G
Museong[1]
김무성 (Kim Moo-seong)
출생1997년 10월 9일 (26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D MS77 #
포지션
소속DRX 코치
(2019.12 ~ 2020.08.)
DRX Academy 코치
(2020.08 ~ 2020.12 )
DRX 코치
(2020.12 ~ 2021.11.18)
Gen.G 코치
(2021.11.25 ~ 2023.05.24)
Gen.G
(2023.05.25 ~ 2023.11.20예정)
1. 개요
2. 대회 경력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리그 오브 레전드 코치. 現 Gen.G 소속 탑 라이너.

아마추어 시절 솔랭에서 꽤 인지도 높았던 고수 유저로서 쏠전 등에서 인연을 맺은 김대호 감독의 권유로 DRX에 입성해 코치 커리어를 시작했다.

본래는 프로 지망생이었으나 김 감독과의 인연을 계기로 김 감독과 함께 코칭 스태프로 활동하는 것으로 진로를 틀었다고 알려져있을 정도로 김 감독과 인연이 깊어 사실상 김대호 감독의 사단 1호 멤버로 분류되고 있다. 그에 더해 본인도 김대호 감독의 영향으로 "리틀 씨맥" 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김 감독과 유사한 코칭 스타일을 보여준다.


2. 대회 경력[편집]



3. 여담[편집]



  • 코치 활동을 시작한 이후로도 그랜드 마스터와 챌린저를 오고 갈 정도로 높은 솔랭 티어를 보여주고 있다. 덕분에 DRX 코치 시절 선수들과의 1:1 라인전 펑고를 전담하기도 했었다고 한다.[2]

  • 라스칼이 아마추어 시절 무성 코치를 본인의 스승 격으로 여겼던 바가 있었다고 하며 에이밍과는 쏠전 때 만났던 인연으로 친분이 있다고 한다.

  • DRX 시절부터 군 문제가 걸림돌이라는 말이 돌았으나, 2022 시즌에 젠지 이지훈 단장이 무성 코치의 병역 문제에 대해 면제가 되었다고 밝혔다.

  • 2023 시즌 기준 현재도 젠지에서 탑 전담 코칭을 맡고 있으며, 프로 선수와의 1:1 라인전 대결에서도 승률이 반반이 나올 정도로 실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 2023 서머에는 코치가 아닌 선수로 등록됐다. 이에 대해 팀의 공식적인 입장은 나오지 않았지만, 정황상 T1의 스카이와 비슷하게 식스맨 요건을 채우기 위한 등록으로 보인다. 이때문에 결승전 현장에도 정장이 아닌 유니폼을 입고 등장했고, 기록상으로는 로스터 등록 후 바로 우승을 기록한 로열 로더가 되었다.

[1] 前 Mab, Meosung[2] 그리핀 시절 김대호 감독이 선수들에게 직접 1:1 펑고를 한 적이 있었는데 그 역할을 무성 코치가 대신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김대호 감독은 저 당시 쏠전 우승으로 실력이 최고조에 오른 시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