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정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신정현(정치인) 문서
신정현(정치인)번 문단을
신정현(정치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신정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선수
파일:LoL Champions logo1.png2012스프링파일:600px-MiG_Frost_logo.pngFantasyStar · Helios · Ambition · Jack Sparrow · Lustboy
서머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Shy · Templar · Rapidstar · Woong · MadLife
2013윈터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MakNooN · Watch · SSONG · PraY · Cain
스프링파일:Team MVP.pngHomme · DanDy · Dade · imp · Mata
서머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2014윈터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Acorn · Spirit · Dade · Deft · Heart
서머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Ssumday · KaKAO · Rookie · Arrow · Hachani
파일:LCK Old logo.png2015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Piccaboo
서머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2016스프링Duke · Blank · Bengi · Faker · Bang · Wolf
서머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lA
2017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Huni · Profit · Peanut · Blank · Faker · Sky · Bang · Wolf
서머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Khan · Rascal · Cuzz · Bdd · Justice · PraY · Lucy · GorilIA · Zzus
파일:LCK_Logo_2018.png2018스프링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Khan · Peanut · Cuzz · Bdd · PraY · GorilIA
서머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Smeb · Kingen · Score · Rush · Ucal · PawN · Deft · Mata · Mia
2019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Teddy · Leo · Mata · Effort
서머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Gori · Teddy · Leo · Effort · Mata
2020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Canna · Roach · Cuzz · Ellim · Faker · Gori · Teddy · Gumayusi · Effort · Kuri
서머파일:DAMWON.pngNuguri · Flame · Canyon · ShowMaker · Ghost · Nuclear · BeryL · Hoit
파일:LCK 로고.svg2021스프링파일:DWG KIA 엠블럼.svgKhan · Canyon · ShowMaker · RangJun · Ghost · BeryL
서머Khan · Canyon · Malrang · ShowMaker · Ghost · Rahel · BeryL
2022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Zeus · Oner · Faker · Gumayusi · Keria · Asper
서머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Doran · Peanut · YoungJae · Chovy · Ruler · Lehends
2023스프링Doran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서머Doran · Museong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
[ 펼치기 · 접기 ]

2019년2020년
하광석 · 강형우 · 홍민기 · 현수환[1]하광석 · 김배인 · 남태유 · 허원석[2]
2021년2022년
하광석 · 강범현 · 이서행 · 신정현[3]하광석 · 강범현 · 남태유 · 이서행[4] · 정민성[5]
2023년
강형우, 고수진, 신동진, 임주완
[1] 2019 서머 플레이오프부터 합류.
[2] 2020 서머에 합류.
[3] 2021 서머에 합류.
[4] 2022 스프링 시즌까지만 진행.
[5] 2022 서머부터 합류.





||
[ 펼치기 · 접기 ]

캐스터김정민심지수
해설자김동준신정현허만흥
인터뷰어권이슬김옥영



||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우승팀선수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2015스프링 1차파일:600px-Anarchylogo_square.pngVitamin · Bubbling · Mickey · Sangyoon · SnowFlower
스프링 2차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Winners_Logo.pngLego77 · Murphy · Moon · GankZero · BokGu
서머1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Dark_Wolveslogo_square.pngCube · Krvavy · Kyle · Chelly · Jelly
서머2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TrAce · Winged · Chaser · Kuzan · GBM · Pilot · Cpt Jack · Sweet · Chei
2016스프링파일:ESCEVER.pngCrazy · Ares · Bless · Ryan · Tempt · LokeN · Key · Totoro
서머파일:y0HwV1E.pngRoach · Hipo · Punch · Crush · Edge · SSol · GuGer
2017스프링파일:external/s20.postimg.org/Ever_Eight_Winners_Logo.pngHelper · Malrang · OldB · Cepted · Deul · Ella · Kkyul
서머파일:CJ 엔투스 로고.svgSoul · Racoon · Winged · Candy · Veritas · Avenger · Pure
2018스프링파일:griffin.pngSword · Tarzan · Gankster · Rather · Chovy · Viper · Lehends · Newt
서머파일:DAMWON.pngNuguri · Punch · ShowMaker · Nuclear · Hoit · BeryL
2019스프링파일:300px-ES_Sharkslogo_square.pngJisu · Catch · Kuzan · Light · GuGer
서머파일:Team Dynamics.pngJisu · Ganknam · Vins · Danchung · Light · GuGer · Starrain
2020스프링파일:Seorabeol_Gaminglogo.png
Thal · Lapis · KaKAO · DanChung · Gone · Sangyoon · Bini · Nova · Harp
서머파일:AWESOME_SPEAR.pngChasy · Crush · Crow · cepted · Prince · Zzus
리그 구조 개편으로 CK 폐지, 2군 리그 LCK CL 및 연습생 리그 LCK AS 신설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DWG_Nuclear_2020_Split_2.png
Dplus KIA 콘텐츠 크리에이터
Nuclear
[1]
신정현 (Shin Jung-hyun)
출생1997년 5월 19일 (27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75cm
IDLife ls Fast #
포지션바텀(원거리 딜러)
별명핵붕이[2], 담전드, 우리핵, 핵주장, 오우좌
핵슐리강[3], HACKING, 신X현[4], 핵유출, 유출리어[5]
병역전시근로역[6]
소속Quvic
(2015.01.05 ~ 2015.02.14)
SBENU KOREA
(2015.03.09 ~ 2016.09.03)
H2k Gaming
(2016.12.14 ~ 2017.11.20)
DAMWON Gaming
(2018.05.06 ~ 2020.11.19)
Dplus KIA[7] 콘텐츠 크리에이터
(2021.04.20 ~ )
반려묘비비 (아메리칸 쇼트헤어)
관련 링크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풀영상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1. 개요
2. 플레이 스타일
3.1. 대회 경력
3.2. 수상 경력
4. 인터넷 방송
4.1. 2020년
4.2. 2021년
4.3. 2022년
5. LCK 관련 활동
6. 여담
7. 자낳대 관련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Dplus KIA 소속 콘텐츠 크리에이터, LCK CL, LCK AS 해설자. 선수 시절 포지션은 바텀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편집]



뉴클리어의 카이사 플레이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하이라이트. 월드 챔피언십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IG의 원거리 딜러 재키러브의 존재감을 지워버린 경기이다.

최대한 안전한 위치에 자리잡으며 꾸준히 딜을 넣어주는 전형적인 포지셔닝형 원딜러이다. 스베누 시절부터 과 자주 비교되었던 이유에는 이러한 안정적인 포지셔닝 능력이 컸다고 할 수 있다. 일단 아군이 판만 깔아주면 안정적인 무빙으로 딜을 최대한으로 넣어주며 제 몫을 해준다.

라인전도 포지셔닝형 원딜치고는 꽤 강한 편으로, LCK 역사상 손 꼽히는 약팀인 스베누에서도 라인전부터 지고 들어가는 경우는 생각보다 적은 편이었다. 챔프는 그리 가리지 않지만 특히 이즈리얼이나 루시안 등 특출난 이동기가 있는 챔피언을 잡았을 때 포지셔닝의 장점이 부각되는 편이다. 소나야스오 같은 비원딜도 능숙하게 다루는 편.

약점은 안정성 뒤에 숨겨진 무색무취함. 모든 능력치가 평균치 정도로 고루 분포하고 있지만 특출난 장점이 없다라는 것이 치명타였다. 일반적인 S급 원거리 딜러에 비하면 단순 캐리력과 라인전에서의 공격성, 적극성은 다소 아쉬웠던 편. 그렇다고 오더나 뇌지컬 면에서도 특출난 강점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이런 약점이 리그 상위권 팀과의 맞대결에서 부각되고, 2019 스프링 포스트시즌에서 0:3 석패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

다만 이 선수는 원래 메카닉이 평범 혹은 약간 아쉽지만 교전 수행 능력과 시야가 좋은, 북미의 스니키유럽의 야난과도 얼추 비슷한, 팀을 받쳐주는 스타일로써 주연보다 조연에 더 적합한 지원형 원딜러였다. 한국 선수 기준으로는 크레이머애로우의 하위호환, 베리타스와 파일럿의 상위호환이라고 볼 수 있는 셈. 초반부터 터져서 계속 맞기만 하다 끝나는 하드 역캐리 경기가 아닌 이상 의외로 본인이 팀원의 버스에 잘 탑승했던 이유도, 현저히 떨어진 득점력과 달리 한타 페이즈에서의 판단 능력이 살아 있어서 한 방에 대량 실점은 잘 안내주었기 때문. 한국에서 본인을 포함해 바이퍼, 에이밍, 테디 외에 성과가 영 신통치 않은 카이사가 시그니쳐 픽이 된 것도 과거에는 전형적인 포지셔닝형 원딜러였다는 측면에서 이해해볼 수 있는 부분.

그러나 갈수록 게임 스피드가 빨라지고 메카닉 요구도가 높아지는 메타에서 워낙 단점이 부각되다 보니 장점이 크게 퇴색되어 버렸다. 실제로 뉴클리어보다 한타 능력이 한참 아쉬운 원딜러들이 메카닉 우위와 벌려놓은 성장차를 앞세워 한타까지도 더 활약하는 장면이 나오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그나마 이를 커버해주는 것이 나머지 팀원들의 압도적인 역량.

월즈의 영광을 한 순간에 깎아먹게 된 아펠리오스를 잘 다루지 못하는 이유도 따지고 보면 일맥상통한다. 데뷔 시즌 때만 해도 코그모 등 높은 캐리력을 가진 유리 대포를 선호하던 선수가, 기량이 하락하면서 점점 순수 지원형인 애쉬, 진 같은 유틸형 챔프를 빼면 생존기 없는 뚜벅이 원딜러로의 라인전과 한타 포지셔닝을 꺼리게 되었기 때문. 안 그래도 바루스, 징크스 등 뚜벅이 하드 캐리형 원딜들을 잘 안 다루던 선수에게 캐리력이 보장되도 생존력이 형편없는 아펠리오스, 미스 포츈 등은 큰 부담일 수 밖에 없다.


3. 선수 경력[편집]


신정현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신정현/선수 경력
파일:CK_logo.png
2015년2016년2018년
||


3.1. 대회 경력[편집]




3.2. 수상 경력[편집]


우승 기록
2018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정규시즌 우승
GriffinDAMWON GamingES Sharks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LPL[8]LCK[9]폐지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T1DAMWON GamingDWG KIA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우승
FunPlus PhoenixDAMWON GamingEdward Gaming
준우승 경력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준우승
MVPSBENU KOREACJ Entus


4. 인터넷 방송[편집]



4.1. 2020년[편집]



2020년 11월 25일, 개인 방송에서 현역 은퇴 선언 및 스트리머 전향을 알렸다. 스토브리그 시작 이후 여러팀에서 제안이 왔으나 모두 거절했고, 자가 격리기간 동안 프로게이머로서보다는 스트리머의 가능성을 많이 느꼈기에 새로운 시작을 해보고 싶었다고 한다. 참고로 담원측에서 전속 스트리머직도 제안했으나, 자신 스스로를 브랜드화 시키고 자유롭게 방송을 하고자 담원의 제안도 거절했다고 한다. 코치 제안 역시 생활이 프로와 다를 게 없어서 거절했다고. 대신 LCK 분석 데스크 제안이 온다면 할 생각이 있다고 한다. 담원 팀원과 주변 인물, 팬덤까지 이른 은퇴에 모두 아쉬워하는 분위기였지만, 스트리머로서의 포텐이 워낙 뛰어난 탓에 한편으로 새로운 시작을 알린 스트리머 뉴클리어를 응원하는 분위기도 함께 이어졌다.

11월 30일, 전날 더샤이의 썸썸 편의점을 보고 뭔가를 느꼈나본지 썸썸 편의점을 켰다[10]. 초반에는 편수희 루트를 탔지만[11] 갑자기 아델라로 갈아타면서 자신과 아델라를 동화시키며 대사를 창조해 가면서까지 2D와 대화하고, 세이브를 덮어 씌워버리자 눈물을 보이는 엄청난 과몰입을 보여줬다. 엔딩 보고 DLC까지 바로 구매하고[12] ‘내가 왜 이런 게임을 이제서야 한 거지?’라며 완전히 빠져든 모습을 보여주었다.

12월 1일, 급기야 주인공의 셔츠를 비슷하게 입으면서까지 재밌게 DLC를 플레이했다. 게임 속이 곧 현실이라고 생각하는 컨셉을 잡은건지 진짜로 아델라와 대화를 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줬다. 중간에 시청하던 이유영 담원 대표는 ‘쟤 왜 저래요?’ 라고 물어보면서 도네이션으로 프로 복귀를 종용하였다.[13]

또한 게임을 진행 중 게임에 없는 대사를 추가해서 말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하도 과몰입을 하다가 결국 찐텐으로 욕을 해버리는 상황이 나왔다. 트위치 클립

2020년 12월 4일 실제 애슐리 강 기자와의 핵터뷰가 실현되었으며, 핵튜브 구독자가 10만명을 넘으면 카이사 코스프레를 하겠다는 공약을 걸었다.

2020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 소개팅 컨셉으로 기적의 분식집을 하다가 감흥을 못 느껴 썸썸편의점으로 돌아와 편수희를 꼬시려 했다.


4.2. 2021년[편집]


2021 자낳대 시즌 1에 감독으로 출전, 스트리머 룩삼, 배돈, Vipk, 루밍쨩, 김나성으로 이루어진 팀 핵가족(Nuclear Familly)을 이끌고 우승을 하면서 트위치에 확실히 눈도장을 찍는데는 일단 성공했다. 래퍼드, 강퀴, 갱맘 등 쟁쟁한 감독들 속에서 빠르게 상위매물인 Vipk와 김나성을 가져가 유리함을 이끌었고, 유수의 코치진을 선수들과 연결시켜주면서 룩삼을 위시로 한 탁월한 운영을 바탕으로 우승하는데 성공했다. 자세한 내용은 2021 자낳대 시즌 1/핵가족 참고. 사실 그룹스테이지를 전승으로 통과한 뒤 자신이 너무 어려운 조합을 줬다며 감독인 자신을 자책하면서 제일 먼저 눈물을 보이는 바람에 팀원들의 놀림감이 되기도 했는데, 뒤에 갈수록 다른 팀원들도 우는 것을 보고 자기 혼자만 울었다는 것이 아님에 기뻐하기도 했다. 심지어 우승 직후 루밍쨩이 울면서 사쿠란보를 하는 것을 도방하다가 걸리기도 했다.

2021년 1월 20일 새벽 루밍쨩과 배그를 하여 자낳대 이후의 참가자 사이 우결 열풍에 참전하였다. 하지만 배그 실력은 롤과는 다르게 처참한 수준이었다.

개인 방송이 순항하면서 실제로 외식브랜드 '핵밥'을 운영하는 외식기업인 주식회사 핵가족에서 협찬이 들어왔다고 한다.

2021 LCK 스프링부터 정식으로 라이엇 게임즈에 Co-Streaming 신청서를 내고 같이보기를 하고 있다. 아디다스의 DWG KIA 유니폼을 입고 원딜 시점에서 같이 경기를 보는 중이다. 스프링에는 DRX의 플레이를 인상깊게 본 듯하다.

2021년 2월 말 이름이 같은 아나운서와 함께 LCK 위클리 뉴스피드의 촬영에 참여하였다. # 그리고 3월 1일 나온 실제 녹화분에서는 고릴라, 빛돌과 함께 나왔다. #

3월 11일에는 큐베의 집에 방문하여 합방을 했다.[14] 핵밥의 도시락을 들고 가서 큐베와 같이 밥을 먹은 뒤 LCK 중계를 같이 진행했다. 얼마 전 랭겜에서 만나 듀오를 같이 돌린 인연으로 합방까지 이어진거라 이 날 뉴클리어와 큐베는 초면이었다. 그런데 서로 노빠꾸로 할 말은 다 한다거나, 뉴클리어가 큐베 방의 침대에 편안하게 누워서 큐베가 칼바람을 하는 걸 바라보거나, 그런 뉴클리어를 큐베가 발로 차서 침대 밖으로 밀어내는 등 서로 초면이라고는 볼 수 없는 온갖 기행들이 이어지며 합방은 순항했다. 또한 뉴클리어에게 전달해달라는 투네이션 도네가 들어오자마자 큐베가 지갑에서 만원을 바로 꺼내주는 기행을 펼치기도 했다. #

4월 10일에 있던 2021 LCK 스프링 결승전에서는 담원기아 측의 인플루언서 역으로 게스트 참여하여 1세트 분석데스크 시간에 인터뷰도 가졌다. 와중에 윤수빈 아나운서와의 투샷 인터뷰도 가져 사심을 폭발시키기도 하였다. 결승전 에필로그 인터뷰에도 등장.

4월 12일, 마뫄, 삐부, 이춘향, 탬탬버린이 진행하는 힐링캠프에 게스트로 참여했다.

4월 20일, 개인 방송을 통해 DWG KIA 소속 스트리머가 되었음을 알렸다.[15] 여담으로 계약 날짜에 담원 공식 유튜브에서는 라이브로 랜선 팬미팅 중이었는데, 윤수빈 아나운서가 진행자인 사실을 트수들을 통해서 알고 계약 당일에 왜 이런 사실을 안 알려주냐며 한탄했다.

4월 23일, 인천공항에서 MSI에 출전하기 위해 아이슬란드로 출국하는 담원 선수들과 인터뷰를 했다. 해뿡이 아니에여? 해뿡이?

5월 3일 스나랑, 담원 대표님과 배그 3인 스쿼드를 돌렸는데 처참한 배그 실력으로 대표님에게 전직 프로게이머인데 왜 배그를 못하냐는 팩폭을 맞았다(...). 그리고 언더가 배그구조대로 왔다. 이 이후로도 PWS: East Asia 담원 편파중계방송을 스나랑, 티모PD와 함께 하면서 배그사랑을 드러내고 있다.

2021 자낳대 시즌 2에도 감독으로 출전. 경매 전에는 쇼케이스 경기를 분석하면서 미미미누, 소람잉, 쫀득에게 피드백을 주기도 했다.

6월 26~7일에는 김나성이 주관한 철권 극락나락전에 출전하였다. 주캐는 알리사 보스코노비치. 1일차 예선에서는 A조 4전 전승으로 죄다 박살내고 극락전에 진출하였으나 2일차 극락조 토너먼트 8강에서 매드라이프를 만나 광탈해버리고 말았다. 너무 세게 맞았는지 정신을 못차리고 패자 인터뷰에서 다음판 해야하지 않냐고 헛소리를 치다가 호스트인 김나성에게 세션 강퇴당한 것은 덤.

7월 19일, 스낳대 전야제 팀장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다음 날인 20일, 스낳대 경매를 진행해 팀 구성을 끝냈다.

7월 24일 스낳대에서 플러리는 쥐쥐마릎따 팀의 플러리와의 첫 경기를 승리하면서 햇반을 이용한 세리머니를 보여줬으나 이 승리로 팀의 결승 진출이 확정된 상황이 아니었고 마지막 에이스 결정전에서 똑같은 매치로 붙었으나 결국 패배하고 결승 진출에 실패하면서 세리머니가 흑역사가 되었다.

11월 17일, 방송 중 LCK 어느 팀[16]에서 코치 제의를 받았다라는 걸 언급을 했다.[17] 이후 19일 방송에서 과거 팀 동료였던 소우릎과 짤막한 합방에서 이 부분에 대해 간접적으로 다시 언급을 했는데 코치가 생각보다 월급이 적고, 방송을 못한다는 거에 대해서 좀 많이 고민을 했었다고 한다. 이후 11월 22일, 최종적으로 스트리머의 길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11월 25일, 본인의 집에 스타더스트가 놀러와 과거 시절부터, 최근 월즈 비하인드 등등 썰을 풀었다.[18] 최근 T1에서 나온지 얼마 안됐길래 많은 시청자들이 뉴클리어의 방송에 몰려들었고, 다시 돌아와달라는 반응이 많았다.

당일 저녁, 방송 초반 다음 날 있을 라이엇 자선대회의 엠바고를 지키겠다며 입을 닫았지만, 결국 말실수로 탑을 제외한 담원의 로스터를 다 누설하고 말았는데(...) 담원 부대표 까지 방송을 보고 갔다고 한다. 이 모습을 애슐리 강기자도 목격을 하게 되어 디스코드를 걸어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였다.

12월 1일, 방송 도중 베릴향후 이적할 팀유출해버렸다. 탑을 제외한 담원의 로스터를 누설한지 일주일 밖에 지나지 않아 또 사고를 쳐서 정장을 입고 사과를 하기도 하였다.


4.3. 2022년[편집]


1월 7일, 트게더에 15일에 있을 카이사 코스프레 벌칙 이행 이후 아프리카TV 이적 소식을 발표했다.# 팬들은 트위치보단 아프리카가 전프로를 위한 대회도 많고 또한 스타크래프트 실력을 뽐내기에 아프리카만큼 더 좋은 곳이기 때문에 좋은 선택을 했다는 의견이 중론이다.[19] 본인도 방송을 하면서 자낳대 측에서 불러주거나, 트위치쪽에서 대회를 한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고, 동시송출도 생각해보겠다는 이야기를 남겼다.

1월 15일, 저번 마스터 켠왕 실패 벌칙인 카이사 코스프레를 이행했으며, 잠깐 에키홀릭과 합방하는 시간을 가지며 트위치에서의 방송을 끝냈다. 남은 1월은 휴식기를 가지며 2월부터 아프리카TV로 방송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월 2일, 아프리카 첫 방송을 가졌다.

8월 2일부터 방송을 잠깐 쉰다고 한다. 해설 일 등을 맡으며 방송에 집중하기가 어려워져 이후로는 취미 느낌으로 하게 될 것 같다고.

8월 27일, 트위치에서 잠시 방송을 켜 향후 행보와 관련된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해설 쪽으로 진로를 잡고 나아갈 것이며 개인 방송은 여유될 때 가끔 키는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하며 방송을 킨다면 트위치에서 하게 될 것이라 첨언했다.[20]

5. LCK 관련 활동[편집]


2021년 5월 6일, LCK Korea의 공식채널을 통해 MSI 2021의 객원 해설로 참여하여 전용준 캐스터, 강승현, 이현우 해설과 함께하였다. 객원해설 치고는 멘트를 들어오는 타이밍이나 해설 디테일, 발음 등이 준수하여서 해설 괜찮게 한다는 호의적인 평이 꽤 있는 편이었다.

2021년 6월 9일 쿠로, 고릴라의 건강 문제로 LCK 분석데스크에 일일 대타로 섭외[21]되어 이정현 아나운서와 같이 방송을 하게 되었다.[22] 핵붕이 극락행... 6월 23~24일에 한번 더 분석 데스크에 섭외되었고, 이후로도 종종 대타로 분석데스크에 기용되고 있는데 이정현, 윤수빈 아나운서와 출연할 때마다 행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 챌린저 현 그마 원딜입니다

같은 해 10월 15일, 월즈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A조 경기에 객원 해설로 참여했는데, A조가 하필 타이브레이커가 2경기까지 치뤄지는 대혼란이 펼쳐지는 바람에 하루 8경기를 해설하게 됐다.그래도 큐베보다는 낫다.[23] 해설로서의 평가는 굉장히 좋아서, 언젠가 정식 해설로 합류하길 기대하는 반응이 꽤 많았다.

22년 스프링시즌에 들어와서 칸이 군대가서 대신 투입된단독 mc를 맡게되었다. 프로그램 이름은 핵가족으로 롤파크에서 노숙숙식을 해결한다는 컨셉. 또한 2월 10일 자기대신 리라를 넣었다고 핵가족이 더 잘 될거라며 저주했던 분석데스크에도 참여하였다.

3월 14일에는 LCK CL 스프링시즌의 객원해설로도 참여하며 챌린저스 리그에도 얼굴을 비추게 되었다. 다음 날에도 출석 도장을 찍은 것은 물론 플레이오프 기간에도 객원해설로 출연하며 단골 손님이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서머시즌 공식 해설로 합류하여 활동 중이다.

2023년 LCK CL 스프링 시즌 뿐만 아니라 LCK AS 토너먼트 중계진도 담당하게 되었다.


6. 여담[편집]




파일:i13538344095.jpg




파일:핵멘.jpg

















7. 자낳대 관련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 리그 오브 레전드 ]

1회2회3회4회
파일:팀아카츠키.png파일:juchaltus.png파일:팀DGG 로고.png파일:TeamSonyeMid-LOGO.png
강소연
탑 분쇄기

스나랑
서나랑

소풍왔니
섹시가이 원유리

백설양
슈리마여동탄하라

예지
예지했다
한동숙
2633 한성욱

피유
beyouS2

소우릎
우르프rider

오킹
취리히

권이슬
권자봉
홍차
DGG 박정현

철면수심
DGG 김종수

예지
DGG 정예지

이초홍
DGG 이희주

인간젤리
DGG 곽석호
TSM 장현재

치킨쿤
TSM 차보해

지수소녀
TSM 박지수

오킹
TSM 오병민

노돌리
TSM 김현윤

인섹
Choi inSec
5회6회7회8회
파일:jn_logo.png파일:JD Gaming(조리돌림 게이밍) Logo.png파일:NF.png파일:중력쫀나빞삼(수정).png
강소연
화웅 강소연

쌍베
초선 전상빈

재넌
헌제 이재원

백설양
동탁 진희재

침착맨
이각 이병건
러너
JDG 러너

철면수심
JDG 철면수심

악어
JDG 악어

따효니
JDG 따효니

이춘향
JDG 이춘향

인간젤리
JDG 인간젤리
룩삼
NF 빨치삼

배돈
NF 대포돈

빞케이
NF 북케이

루밍쨩
NF 혁명쨩

김나성
NF 간나성

뉴클리어
NF 핵수령
중력
쫀나빛삼 박중력

삼식
폭풍성장 한삼식

빞케이
인증마크 빛케이

쫀득
파격세일 박쫀득

김나성
위장매물 김나성

캡틴잭
진짜미드 캡틴잭
9회10회11회12회
파일:무관유죄.png파일:tlg_logo.png파일:자낳대11칠순집막내아들.png
해기님
기사폭행 해기

남봉
모근살인 남봉

도현
전과4범 도현

플러리
무관횡단 플러리

모범시민 던

갱맘
불법실험 깽맘
메도우이헌터
TLG 메도우이헌터

청묘
TLG 청묘

왜냐맨
TLG 왜냐맨

플러리
TLG 플러리

미미미누
TLG 미미미누

캡틴잭
TLG 캡틴잭
중력
중윤기

스나랑
스화영

도현
현도준

러너
러동기

한동숙
칸영기

큐베
큐양철

[ 발로란트 ]

20222023
파일:발낳대_마왕군 로고.png파일:앵그리버니 로고.png
중력
오만의중력

이초홍
분노의 초홍

러너
섹욕의 러너

한동숙
질투의 자칼

마왕루야
탐욕의 루야

실프
나태의실프
남봉
극대노 남봉

삼식
곧가노 삼식

네클릿
늙을노 밍기

임나은
길막노 나은

리타
알빠노 리타

버니버니
콩지노 버니




파일:자낳대심볼.png자낳대
역대 우승 코치진
||


파일:NF.png {{{#ffffff 핵가족 (Nuclear Family)}}}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룩삼
NF 빨치삼
배돈
NF 대포돈
빞케이
NF 북케이
루밍쨩
NF 혁명쨩
김나성
NF 간나성
감독뉴클리어
NF 핵수령
코치트레이스, 소우릎(탑), 블라썸(정글), 사신(미드)


파일:족가핵.png {{{#ffffff 족가핵}}}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해기님
빌기릭 분쇄기
도현
NOGANK1NG
악어
악어는죽지않는다
푸린
이기적인원딜왕자
미미미누
미미미누
감독뉴클리어
DWG Nuclear
코치블라썸정글, 사신미드, 와디드서포터[1]
일일코치: 강퀴탑, 감독대행
지수소녀, 익수, 울부짖는마오카이이상 탑, 포니
바텀 펑고: 페비나이트,
상세정보 [ 펼치기 · 접기 ]
[각주]



{{{#ffffff 따효니 팀}}}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UP
인간젤리
석호터
뉴클리어
커여운 코그모
플레임
각성 플레임
매드라이프
그랩군단장 호두
트할
Yorick
감독따효니
각성 따효니


뇌클리어 (뉴클리어 팀)
그룹A조B조C조D조
종족파일:테란아이콘.png파일:저그아이콘.png파일:테란아이콘.png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팀원뉴클리어코뚱잉도현
코치임요환(A조, C조), 박태민(A조), 크랭크(D조), 정우서(D조)


230
팀장팀원
명훈
230. 명예훈장
뉴클리어
230. 핵
삼식
230. 삼식
박잔디
230. 박잔디
피유
230. 피유





[1] 前 JH Joker[2] 11월 5일 방송에서 밝히길 처음에는 싫었는데 지금은 괜찮다고 한다. 참고로 설거지는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정말 싫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본인이 밈으로 써먹고 있다.[3] 인터뷰 스킬로 인하여 Korizon Esports의 애슐리 강 기자에게서 따온 별명. 실제로 애슐리 강 기자가 신정현 선수 트위치 방송에 왔다가기도 했다(...).[4] 2월 8일 중계 중간에 '쇼메이커를 응원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당연히 응원한다고 답했으나 거짓말탐지기는 거짓말이라 판단해 전류를 흘려보냈고 그는 정 없는 스트리머 신X현이 되었다.[5] 2021 리그오브레전드 FA 시즌이 되면서 담원 소속인 신정현에게도 많은 사람들이 질문을 하기도 하였는데, 11월 25일과 12월 1일 방송에서 유출 사고를 쳐 생긴 별명.[6] 사회복무요원 장기대기로 인한 면제[7] 소속사명 변경: DWG KIA → Dplus KIA, 2023년 1월 9일[8] 2018 RNG, EDG, RW, IG[9] 2019 SKT, GRF, KZ, DWG[10] 그리고 채팅창은 쑤닝, Bin집 등으로 시작해 건부이용가, 베릴베릴 헝그리 등 쑤닝과 담원과 관련된 별의별 드립으로 점철되었다. 또한 별의별 드립이 나와 채팅창만 봐도 한국 롤판 밈이 다 나왔다.[11] 초반 아델라의 말투에 극심한 항마력 부족을 호소하며 절대 아델라 루트만은 가지 않을 것처럼 하였다![12] 시청자들이 말리지 않았다면 켠왕으로 끝낼 기세였다.[13] 인천으로 데리러 가겠다면서 힘들면 언제든 상담하자고.[14] 이 날 LCK는 큐베가 응원하는 브리온과 뉴클리어의 소속팀이었던 담원 기아의 매치가 있었다.[15] 앞서 본인이 말한 포부와 다르게 담원 소속 스트리머가 된 것은 현실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담원 기아 대표의 수차례 권유한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6] 팀은 언급 하지 않았고, LCK 쪽에서 제의가 들어왔다.라고 간접적으로 언급을 했었다.[17] 1군 코치 -> 1년 뒤 2군 감독 직책.[18] 뉴클리어와 스타더스트의 경우 H2k Gaming에서 선수와 코치로 한솥밥을 먹은적이 있다.[19] 뉴클리어의 경우 트위치보다 아프리카쪽의 인맥이 어느정도 있고, GGC 2022에 출전을 하면서, 아프리카 이적에 마음이 기울어진것으로 보이며 이외에도 담원이 트위치와 독점 계약을 한것도 아니었기에 이적에는 문제가 없다.[20] 트위치로 돌아오게 된 것에 대해선 뉴클리어의 이적 전후로 스타 대학 시스템이 자리잡으면서 롤 대회 세가 줄었고, 그나마 스타 대학도 남자 BJ보다는 여자 BJ를 더 선호하는지라 뉴클리어가 자리잡기 쉽지 않았으리란 추측이 많다.[21] 실제로 방송 12시간 전에 급하게 섭외되었다.[22] 이후 잰말놀이 레슨비를 커피로 퉁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23] 큐베는 젠지가 속한 D조 2라운드 객원해설로 참여했는데, A조는 담원이 전승가도를 달리는 와중에 담원 제외한 나머지 팀들끼리 타이브레이커가 성사되면서 중계진들 입장에서는 강 건너 불 구경이었던 반면, D조에서는 젠지까지 포함한 4자 타이브레이커가 성사되면서 한 경기 더 치르는 건 물론이고 심지어 젠지는 TB에서 탈락할 수도 있었던 상황이라 거의 끝날 때까지 마음을 졸일 수 밖에 없었다.[24] 다만 본인은 애니메이션 취향은 아니라고 밝혔으며, 베릴의 그런 류의 게임들 추천 역시 거부했다고 한다.[25] 이제 막 그런 스타일이 새로이 정립되면서 뉴클리어의 또다른 모습이 서서히 나오기 시작했는데, 결국엔 시간상 보지 못해서 아쉬웠다고 한다.[26] 이 때의 방제 센스도 호평 받는다. '휴먼다큐:담원이 좋다_에서 사람까지'라던가 '대담원토크쇼 - 아령하세요'라던가..[27] 게임할 때 방제가 '방공호에서 살아남기'...[28] 후일담으로 이 둘이 클립을 직접 봤다(...).[29] 뉴클리어의 카이사 코스프레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30] 2022 스프링 로스터, 베릴 이적, 너구리의 복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