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소희(쇼트트랙)

덤프버전 :

김소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24회1999 소피아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1회1976 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셀레스트 클라패티25회2000 셰필드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2회1977 그르노블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다 웹스터26회2001 전주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3회1978 솔리헐파일:미국 국기.svg 새라 닥터27회2002 몬트리올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4회1979 퀘백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28회2003 바르샤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
5회1980 밀라노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29회2004 예테보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
6회1981 뫼동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30회2005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7회1982 멍크턴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즈 페로31회2006 미니애폴리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8회1983 도쿄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2회2007 밀라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9회1984 피터버러파일:일본 국기.svg 키노시타 마리코33회2008 강릉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0회1985 암스테르담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34회2009 빈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1회1986 샤모니파일:미국 국기.svg 보니 블레어35회2010 소피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희
12회1987 몬트리올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36회2011 셰필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해리
13회1988 세인트루이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7회2012 상하이파일:중국 국기.svg 리젠러우
14회1989 솔리헐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8회2013 데브레첸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5회1990 암스테르담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9회2014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
16회1991 시드니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0회2015 모스크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17회1992 덴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희41회2016 서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18회1993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2회2017 로테르담파일:영국 국기.svg 엘리스 크리스티
19회1994 길드퍼드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3회2018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20회1995 요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44회2019 소피아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1회1996 헤이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45회2020 서울취소COVID-19
22회1997 나가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46회2021 도르드레흐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3회1998 빈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47회2022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펼치기 · 접기 ]

48회2023 서울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잔드라 벨제부르50회2025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잔드라 벨제부르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1500m파일: 국기.svg
49회2024
로테르담
500m파일: 국기.svg 51회2026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여자부 종합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1994199519961997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윤미파일:일본 국기.svg 테시가와라 이쿠에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혜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상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민진
199920002001200220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민진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 이브 드롤레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 이브 드롤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천사
200420052006200720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윤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선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은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신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아름
200920102011201220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아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지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천희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도희
201420152016201720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도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공상정파일:중국 국기.svg 취춘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유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유
* 2019년 종합 우승이 폐지되면서 2018년의 우승자가 마지막이 되었다.




김소희
金昭希 | Kim Sohee
[1]
파일:동계올림픽김소희1.png
출생1976년 9월 16일 (47세)
대구직할시 (現 대구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정화여자고등학교 (졸업)
계명대학교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스포츠마케팅 / 박사)
종목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신체172cm, 54kg

1. 소개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수상 기록



1. 소개[편집]


대한민국의 前 여자 쇼트트랙 선수다.


2. 선수 경력[편집]


정화여자고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 만 15세의 나이로 참가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곧이어 열린 1992 세계선수권에서 1,500m와 3,000m에서 우승했고, 500m에서 은메달을 수상하면서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사상 최초 세계선수권 개인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이 후 대표팀의 에이스로 활약하면서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 3,000m 계주 금메달을 땄고 1000m에선 전이경이 금메달, 본인은 동메달을 받았다. 이 결과로 그녀와 전이경의 운명은 180도 바뀌었다. 당시 쇼트트랙 국가대표팀은 전명규 감독의 '에이스 밀어주기' 작전을 썼는데 올림픽 이전에는 1인자 김소희를 2인자 전이경이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해 줬다면 올림픽 이후에는 1인자 전이경을 2인자 김소희가 받춰주는 역할을 하게되었다. 1994 세계선수권에서 전이경에 이어 개인종합 2위를 기록했고, 선수 생활을 계속했지만 허리 부상으로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은퇴 이후[편집]


지도자 생활을 했지만 여자 국가대표팀 코치로 일하던 중 2004년에 발생했던 태릉선수촌에서 상습적으로 선수들을 구타하는 사건에 휘말려 코치직을 그만두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MBC의 쇼트트랙 해설위원을 맡았을 때 소치 대회에서의 부진과 이 사건이 맞물리는 바람에 엄청난 비난을 받으면서 MBC의 시청률이 같은 대학교 후배 안상미가 해설위원으로 참여한 SBS에게 밀렸다. 이 사건 이후 현장 지도는 하지 않고 있다.

201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주임 연구원 및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아시아올림픽위원회 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4. 수상 기록[편집]


대회
올림픽101
세계선수권443
세계 팀선수권310
아시안 게임120
유니버시아드221
주니어 세계선수권310
합계13105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금메달1994 릴레함메르3000m 계주
동메달1994 릴레함메르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1992 덴버종합
금메달1992 덴버1500m
금메달1992 덴버3000m
금메달1994 길퍼드1500m
은메달1994 길퍼드종합[2]
은메달1994 길퍼드1000m
은메달1995 예비크1500m
은메달1995 예비크3000m 계주
동메달1993 베이징3000m 계주
동메달1994 길퍼드3000m 계주
동메달1995 예비크1000m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금메달1992 노베야마단체전
금메달1995 주떼메르단체전
금메달1996 레이크플래시드단체전
은메달1994 케임브리지단체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1990 삿포로1500m
은메달1990 삿포로3000m 계주
은메달1996 하얼빈3000m 계주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금메달1995 하카3000m
금메달1997 무주·전주1000m
은메달1995 하카3000m 계주 [4]
은메달1997 무주·전주3000m 계주
동메달1995 하카1000m[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1994 서울종합[6]
금메달1994 서울1000m
금메달1994 서울1500m
은메달1994 서울500m[7]
2위1994 서울1500 m S.F.
-
ISU 프로필이나, result 사이트 에는 2000년 이전의 과거 선수들의 수상기록 누락이 상당하다. olympedia.org 가 더 정확하며 이 또한 누락되어 있다. 누락된 수상기록은 과거 기사들을 추적하면 찾을 수 있지만, 이 또한 우승자들을 위한 기사들이며, 계주의 경우 멤버들을 찾기가 힘들다.

[1] 참고로 태권도 김소희 선수 영문 이름은 Kim Sohui로, '희' 부분의 영어발음이 다르다. 개인명의 영문 표기는 본인의 여권에 어떻게 등록됐는지에 따르기 때문에 같은 발음도 다르게 적힐 수 있다.[2] ISU 사이트에 누락된 1992, 1994 세선 종목 세부 메달은 olympedia.org에서 확인 가능하다.[3] ISU 사이트에 누락된 1995 세선 메달은 shorttrackonline.info에서 확인 가능하다.[4] 1995 유대회 계주 메달은 기사로 확인 가능하다.[5] 1995, 1997 유니버시아드 메달은 olympedia.org 에서 확인 가능하다.[6] 1994 주니어 세계 선수권 종목 메달 결과는 기사로 확인 가능하다.[7] 1994 주세선 500 m 결과는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로 확인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0:42:42에 나무위키 김소희(쇼트트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