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우양

덤프버전 :







저우양
周洋 | Zhōu Yáng
파일:B607BB45-9004-4610-8D0D-0BC7EBF4B4BF.jpg
출생1991년 6월 9일 (32세)
지린성 창춘시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

신체165cm, 57kg
종목파일: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스피드 스케이팅(2019~현재)
주종목: 매스스타트, 팀추월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쇼트트랙(2005~2018)
주종목: 1000m, 1500m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수상 기록



1. 개요[편집]


중국의 前 여자 쇼트트랙 선수, 現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다. 왕멍이 중국 쇼트트랙의 단거리를 대표했다면, 중국 쇼트트랙의 장거리를 대표했던 선수는 바로 이 선수다. 현재는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전향했으며 前 1500m 올림픽 신기록 보유자이다.[1]중국 선수치고는 의외로 나쁜손을 잘 쓰지 않아서 그렇게 비호감은 아니었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07년 ~ 2009년[편집]


2007년부터 중국 여자 쇼트트랙 대표팀에서 활약했다. 당시에는 여자부를 지배하던 진선유가 버티고 있고, 정은주도 좋은 폼을 보이고 있어 잘 부각되지 않았으나, 2008년 진선유가 부상으로 국제대회에서 이탈하고 정은주도 2008 세계선수권에서는 부진했으며, 2009 세계선수권에서는 부상을 당해 이탈했다. 저우양은 이때부터 기량이 만개하며 장거리 강자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2.2.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편집]


1500m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을 압도하는 경기를 보여주면서 금메달뿐만 아니라 올림픽 신기록까지 세웠고[2], 3000m 계주에서는 어이없는 심판 판정의 수혜 덕분에 대회 2관왕을 차지했다. 주종목이 1500m인 선수답게 최대 장점은 체력이다.


2.3. 2014 소치 동계올림픽[편집]


파일:external/img.seoul.co.kr/SSI_20140215230402.jpg
1500m 경기
1500m 2연패에 성공했으며 운석 메달까지 받았다. 경기 후반까지 심석희를 턱 밑에서 압박하다가 2바퀴를 남겨놓고 심석희가 열어준 인코스 공간을 놓치지 않고 파고들어 역전에 성공했다. 첫 올림픽 출전이었던 심석희의 경기 운영이 아쉬웠던 한편, 4년 전 이 종목에서 금메달을 땄던 그녀의 노련한 한 방이 돋보이는 장면이었다.

500m와 1000m에는 불참했으며 3일 뒤 열린 3000m 계주에서는 중국이 실격을 당하는 결정적인 빌미를 제공했다. 2바퀴를 남겨둔 가운데 마지막 주자 교대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교대와는 상관없는 그녀가 트랙 근처로 들어오면서 한국의 마지막 주자 심석희의 진로를 방해했다. 자칫 심석희가 넘어지기라도 했다면 우리나라는 중국의 실격과는 별개로 꼼짝없이 동메달까지 내려앉을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다. 교대와는 전혀 상관도 없는 본인까지 3명의 중국 선수가 트랙으로 들어와 심석희의 레이스를 방해했기에 고의성, 더티플레이 의혹까지 나왔던 상황이었다. 특히 이런 반칙을 당한 심석희가 마지막 바퀴에서 아웃코스로 추월해 금메달을 땄으니 더욱 망신스러운 패배였다. 일단 그녀는 "나와서는 안 될 실수였다."면서 본인의 실책을 인정했다.


2.4. 2017-18 시즌[편집]


월드컵 시리즈에서는 지구력이 많이 떨어져서 주종목인 1500m에서조차 김아랑심석희에게 밀려 단 하나의 금메달도 획득하지 못했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는데, 계주 결승에서 판커신의 명백한 반칙으로 중국 대표팀이 이번에도 실격을 당하자 "이해할 수 없는 판정"이라면서 항의했다. 또한 유일하게 참가한 1500m도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 2018 세계선수권에는 판커신과 같이 불참했다.


2.5. 2019-20 시즌[편집]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전향하여 매스 스타트팀추월 종목에 출전중이다.


3. 수상 기록[편집]


대회
올림픽300
세계선수권254
아시안 게임200
합계754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금메달2010 밴쿠버3000m 계주
금메달2010 밴쿠버1500m
금메달2014 소치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1위2008 강릉3000m S.F
금메달2009 비엔나3000m 계주
1위2009 비엔나3000m S.F
금메달2013 데브레첸3000m 계주
은메달2007 밀라노3000m 계주
은메달2008 강릉종합
은메달2008 강릉1000m
은메달2009 비엔나1500m
은메달2015 모스크바3000m 계주
동메달2007 밀라노1000m
3위2007 밀라노3000m S.F
동메달2008 강릉3000m 계주
동메달2008 강릉1500m
동메달2009 비엔나종합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2007 창춘3000m 계주
금메달2011 아스타나·알마티3000m 계주
[1] 하지만 대한민국 선수인 최민정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2분 16초 831로 기록을 깼다.[2] 하지만 이 기록은 12년 뒤, 대한민국의 최민정에 의해 깨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8:07:28에 나무위키 저우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