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조원

덤프버전 :

||



김조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감사원 로고.svg 대한민국 감사원 사무총장
참여정부이명박 정부
23대
오정희
24대
김조원
25대
남일호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공립진주실업학교
초대

사토 세이지로 (佐藤政次郞)
진주공립농업학교
2대

이시이 호기치 (石井豊吉)
3대

후지키 키쿠지로 (藤木菊次郞)
4대

사토 요타로 (佐藤陽太郞)
5대

마스하라 군조 (增原薰三)
5대

이마무라 다다오 (今村忠夫)
진주농림중학교
초대

황운성
2대

변경섭
3대

황운성
4대

이직순
5대

문승갑
6-7대

황오윤
진주농림전문학교
초대

황오윤
2대

류국년
진주농림전문대학
초대

류국년
2대

신유환
3대

김상철
4대

안원섭
5대

김시경
진주산업대학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초대

김시경
2대

이유근
3대

정해주
4대

이을희
5대

김조원
6대

권진택
3대

정해주
7대

김남경

[ 경상대학교 ]

경남도립 초급농과대학
초대-3대

황운성
4대

김재유
5대

송기학
6대

성환순
7대

형성해
8대

윤태규
경상대학교
초대-2대

신현천
3대

이정한
4대

빈영호
5대

서영배
6대

박충생
7대

조무제
8대

하우송
9대

권순기
10대

이상경
11대

권순기

[ 경상국립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초대

권순기




문재인 정부 제2대 민정수석비서관
김조원
金照源 | Kim Jo-won
파일:김조원전민정수석.jpg
출생1957년 6월 22일 (66세)
경상남도 진주시
거주지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한신아파트[1]
재임기간문재인 정부 제2대 민정수석비서관
2019년 7월 26일 ~ 2020년 8월 11일
학력진주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행정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
인디애나 대학교 (행정학 / 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박사)
정당
무소속

[2]
병역육군 중위 만기전역 (육군 학사장교 1기)
경력제22회 행정고시 합격
감사원 국가전략사업평가단장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
감사원 사무총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총장
더불어민주당 당무감사원장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이사 사장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회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문재인 정부)

1. 개요
2. 생애
3. 평가 및 논란
3.1. KAI 낙하산 인사 의혹
3.2. 무능한 일처리 논란
3.3. 강남 다주택 처분 논란
3.4. 가정사 논란
4. 소속 정당
5. 여담



1. 개요[편집]


문재인 정부의 제2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2. 생애[편집]


1957년 6월 22일(음력) 경상남도 진양군(현 진주시)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행정학과 재학 중이던 1978년 제22회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총무처, 교통부 등을 거쳐 1985년 감사원으로 자리를 옮겨 감사원 감사관, 감사원 국가전략사업평가단장 등을 거쳐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으로 일했다. 상관은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이었다. 이후 2008년까지 감사원 사무총장을 지냈다.

공직을 떠난 뒤 경남과학기술대학교(옛 진주산업대학교) 총장, 건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당무감사원장을 맡았다.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는 문재인 캠프에 합류해 퇴직 관료 출신 그룹을 이끌었으며, 대선 후 2017년 10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으로 선임되었다.

2019년 7월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20년 8월 아래의 다주택 논란 끝에 사직하였다.


3. 평가 및 논란[편집]


긍정적인 평가가 아예 없다! 어느 정도의 진영논리가 통용되는 현 정치계에서 특이한 경우라고 볼 수 있으며, 정권에 끼친 해악이 얼마나 크면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 오거돈 전 부산시장 등과 함께 여당에 침투한 트로이목마라는 우스갯소리까지 있다. 아래 부정적인 논란들만을 남긴 채 여야 모두에게 비난을 받으며 씁쓸하게 퇴장하였다.


3.1. KAI 낙하산 인사 의혹[편집]


KAI 사장은 한국형 전투기 KF-X 개발, 미 고등훈련기 T-X 사업 도전, 각종 항공기 수출 등의 과제를 진두지휘해야 하는 자리임에도, 김조원은 무기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며 관련 커리어도 전무하다시피 해서 사장 임명을 두고 낙하산 인사 논란이 불거졌다. 임명 이후에도 무기 수출과 방위산업 육성을 외면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서울경제 매일경제 이데일리 SBS 조선일보


3.2. 무능한 일처리 논란[편집]


KAI 사장 재임 시절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에 책임이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추락한 헬기는 KAI가 제조하였고 사고 당일에도 KAI의 정비를 받았기 때문. 이 때문에 유족들은 과거 KAI를 고소고발한 바 있으며, 김조원의 민정수석 임명을 반대하고 있다. 유족들은 "KAI 김조원 사장이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임명될 경우 아직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에 정당치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 우려를 표명했다.[3] 또한 "세월호 사고에서 희생자들의 유가족과 끝까지 함께하신, 사람을 위한 정치를 저희에게도 보여주길 눈물로 청한다"라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부탁했다. 매일경제 경향신문 이데일리 YTN 서울신문 조선일보

민정수석 재임 시절에는 그야말로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야당의 비판을 받는 것은 물론, 여당 의원들조차 김조원에 대해 “진작에 물러났어야 한다.”, “누구보다 검찰개혁에 매진해야 할 사람인데 1년간 아무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한 게 뭐 있냐” 라고 비판하였다. # 네티즌들의 댓글 역시 문재인 정부 사상 최악의 인사라는 평가가 포털의 정치성향과 관계 없이 주류를 이룬다.


3.3. 강남 다주택 처분 논란[편집]


다주택 보유 때문에 교체 대상으로 고려되다가, 본인이 주택을 처분하기로 하면서 유임되었다. # 그러나 19~20억 수준의 잠실 갤러리아팰리스를 22억으로 비싸게 올려놓았는데, 당연히 팔릴 리가 만무. 김조원 '매각 시늉' 논란

여론의 압박이 들어오자 결국 수석비서관 자리를 사임했다. '직'보다 '집'이었던 셈. 아파트를 도로 팔지 않겠다고 한 건 덤. 진중권, 청와대 줄사표에 "공직 짧고 집값 길며 매각은 곤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조차 동의하지 않는 정책이라는 조롱거리가 되었다.

고위공직자로서 국민에 대한 책임과 의무보다는 사욕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처음부터 잘못된 인사였다는 평을 받아도 할 말이 없게 되었다. 사의 표명 후 대통령 주재 회의에도 참석하지 않고 바로 청와대를 떠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4] #

그와는 반대로 대치동 아파트를 매각한 김상곤 전 사회부총리는 매각한 집을 다시 구입하려면 20억 원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재평가받고 있다.


3.4. 가정사 논란[편집]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김조원 전 민정수석이) 주택 두 채를 갖고 있다고 하는데, 여러 가지 공개가 안 되는 가정사가 있다. 인신공격하면 안 된다”, “공직자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오해를 받아도 참고 넘어가는 것인데, 이걸 그만둔 사람에게까지 저렇게 얘기하는 것은 정말 잘못된 것” 이라고 언급하였다.

이어서 미래통합당 박성중 의원이 "(김조원 전 민정수석이) 부인하고 관계가, 재혼도 했고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다", "저는 김 전 수석과 군대 동기고 누구보다 잘 안다, 사정까지는 얘기할 수 없지만 여러가지 좀 내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있더라" 고 언급하면서 김조원의 가정사에 대한 의혹들이 불거졌다.

이에 대해 김조원은 "저와 관련해 보도되는 재혼 등은 사실과 너무도 다르다", “오보로 가정파탄 지경” 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783b0b6285eff20c18d269d6c5d536d0[[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5입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19당명 변경

무소속

2019 - 현재탈당[5]


5. 여담[편집]


  • 민주당 당무감사원장 시절 노영민 의원의 시집 강매 사건에 대해 엄중 징계를 요구한 적이 있는데, 민정수석이 되면서 노영민과 실장-수석의 관계로 다시 만나게 되었다. #

  • 아들 둘을 두었는데, 차남(김서현)은 검사로 재직하다가 판사로 전직했다(연수원 41기). 두 아들을 모두 명문대에 진학시켜서, 극성 아빠라고 언론에 보도되기도 하였다. #

  • 문재인 대통령과는 부부동반 모임을 가질 정도로 가까운 사이라고 한다.

  • 민정수석실(김대중 정부 이후) 통합 이후 둘 뿐인 비법학과 출신 민정수석비서관이다. 나머지 한 명은 국민의 정부 초대 통합 민정수석이었던 김성재로 신학과 출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1:31:05에 나무위키 김조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신아파트와 잠실 갤러리아팰리스를 보유한 2주택자인데, 잠실 갤러리아팰리스를 매물로 내놓은 걸 보면 한신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조원 민정수석, 잠실 갤러리아팰리스 판다…도곡 한신 ‘보유’ 그런데 잠실 갤러리아팰리스도 시세보다 비싸게 매물로 내놓은 것으로 드러나 꼼수 매물로 밝혀졌고 결국 집을 지키기 위해 사퇴했다.[2] 원 소속 정당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 다른 고위직도 아니고, 청와대 내에서 공직기강·감찰·법률 등의 문제를 총괄하는 핵심 실세인 민정수석비서관 자리이다. 수사 중인 사람이 이런 자리에 앉게 될 경우, 충분히 외압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4] 논란이 커지자 청와대는 김조원은 원래 8월 10일부터 휴가가 예정되어 있었고, 대통령한테 작별인사를 했고 단톡방에서도 정중하게 인사를 나누고 떠났기에 문제가 없다는 발표로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청와대의 발표 이후에도 김 비서관의 행실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5] 민정수석비서관 임용에 따른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