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효재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정무수석비서관 (1968~1973)
초대
조시형
제2대
김학렬
제3대
김상복
제4대
홍성철

정무제1수석비서관 (1973~1979)
초대
류혁인

정무제2수석비서관 (1973~1979)
초대
정상천
제2대
고건

정무수석비서관 (1979~1980)
초대
고건
제2대
김창식

정무제1수석비서관 (1980~1988)
초대
우병규
제2대
허화평
제3대
정순덕
제4대
허문도
제5대
김윤환
제6대
이진우

정무제2수석비서관 (1980~1988)
초대
김창식
제2대
김태호
제3대
안응모
제4대
유흥수
제5대
김용래
제6대
강우혁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성북구 을)
제17대
조순형
제18대
김효재
제19대
신계륜

제5대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김효재
金孝在 | Kim Hyojae
파일:김효재 전 의원.png
출생1952년 5월 14일 (72세)
충청남도 보령군 주산면 금암리
(現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금암리)
본관김해 김씨
현직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학력주산국민학교 (졸업)
흥국중학교 (졸업)
휘문고등학교 (졸업, 1971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 / 학사, 1980년)
조지타운 대학교 (국제정치학 / 수료, 1992년)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신문방송학 / 석사, 2010년)[1]
병역육군 상병 제대
신체183cm
가족 김의재
배우자 이향숙, 슬하 2녀
소속 정당
무소속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8
경력조선일보 기자 (1979.11. ~ 1996.01.)
조선일보 사회부 차장
조선일보 국제부장
조선일보 문화부장 및 편집위원
조선일보 편집국 부국장[2]
조선일보 논설위원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자문위원
제18대 국회의원 (서울 성북 을, 한나라당)
한나라당 대표[3] 비서실장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 (이명박 정부)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초빙교수
새누리당 성북구 을 원외 당협위원장
바른정당 경선관리위원회 위원
바른정당 성북구 을 당협위원장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차관급 / 2020.8. ~ 2023.6.)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차관급 / 2023.6.14. ~ 2023.8.23.)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직무대행 (차관급 / 2023.5.31. ~ 2023.8.23.)





1. 개요[편집]


대한민국언론인, 정치인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이 면직된 후부터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취임 직전까지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았었고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2. 생애[편집]


1952년 충청남도 보령군에서 태어났다. 휘문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과를 졸업, 수료하였다.

고려대학교 졸업 후 조선일보에서 기자로 근무하였다. 조선일보에서 편집국 부국장을 거쳐 논설위원으로까지 승진하였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측 언론특별보좌관으로 활동하고 이후 친이계에 속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전당대회가 치러지고 나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최고위원의 비서실장에 임명되었다. 2011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에 임명되어 지역구 국회의원직을 사임하였다. 잔여 임기가 1년 미만이라 재보궐선거는 치러지지 않았다.

2012년 2월, 한나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사건으로 정무수석비서관에서 물러났다. 5월에는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선관위 공격 사건 특검팀에 소환되었다. 한나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사건은 법원에서 유죄(집행유예)를 선고하였고, 2013년 사면, 복권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이번에는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에 합류하였다. 성북구 을 당협위원장에 임명되었다가 2017년 11월 탈당하고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

2020년 7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야당 미래통합당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추천안이 재석 294표 중 찬성 261표, 반대 25표, 기권 8표로 가결됨에 따라 5기 방통위 상임위원이 되었다. #

2023년 5월 31일 한상혁 방통위원장 면직으로 인해 위원장 직무를 대행하게 되었다. #

2023년 6월 14일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부위원장 잔여임기는 8월 23일까지이다. #

8월, 방통위원장 직무대행으로써 공영방송 이사 무더기 해임 절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공영방송 사장들은 임기가 마무리되어 가기도 전에 해임될 위기에 처해있다. 사회 각계각층에서 이를 두고 언론장악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1, #2, #3

2023년 8월 23일, 3년 간의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다. #1 #2

2023년 10월 18일, 한국언론진흥재단 신임 이사장으로 임명되었다. #1 #2 #3


3.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3.1. 한나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사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한나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승덕 전 의원의 폭로로 촉발된 2008년 한나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에서 연루 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후 사실로 인정되었고,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 판결을 받았다.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박희태·김효재 집행유예

당시 판결문은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고합214, 서울고등법원 2012노2110 참고.


3.2.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선관위 공격 사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선관위 공격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윤석열 정부 방송통신위원 및 공영방송 이사 대규모 해임 사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윤석열 정부 방송통신위원 및 공영방송 이사 대규모 해임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12정계 입문

ta-hash-start=w-88eb513f8f12239c82ae075d0840457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6당명 변경

무소속

2016 - 2017탈당[4]

ta-hash-start=w-686c94e9c180f48704726240e387924a[[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창당

무소속

2017탈당[5]

ta-hash-start=w-9a874c88405f2fc9644fb523e09f841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복당

ta-hash-start=w-afafd9c0764318031eedd5700a8d3d20[[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6]

무소속

2020 -탈당[7]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성북 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322 (47.25%)당선 (1위)초선[8]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010e6eb6412b5cb783c1015ca8ca40a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33,681 (32.45%)낙선 (2위)


6. 기타[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7:05:53에 나무위키 김효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석사 학위 논문 : 선거방송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 : 17대 대통령 선거보도를 중심으로[2] 편집국 행정 및 컬럼 담당[3] 박희태 대표최고위원[4]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6]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7]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취임으로 인한 탈당[8] 2011.8.4 의원직 사퇴 (청와대 정무수석 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