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창주

덤프버전 :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3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채문식윤길중정석모강영훈[B]이병용박태준김동인
이광노이윤자이원조김종곤김인기이동진이도선
김종기지연태박철언조경목최창윤[B]유기천나창주
서상목박승재손주환[B]이상하김장숙양경자이상회
홍세기김길홍강재섭김정길조남욱이재황이민규
신영순도영심심기섭 [C]안찬희 [C]최상진[C]
[B] A B C 임기 중 사퇴.[C] A B C 승계.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chosun_400003029.jpg

羅昌柱
1934년 5월 12일 ~ (90세)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금성(錦城)[1], 종교개신교이다.

2. 생애[편집]


1934년 5월 12일 전라남도 나주군(現 나주시) 문평면 동원리[2]에서 아버지 나승철(羅承哲, 1902. 9. 3 ~ 1942. 6. 9)과 어머니 무안 박씨 박연임(朴連任, ? ~ 1995. 2. 28)[3] 사이에서 3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4]를 취득했으며, 1980년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 박사 학위[5]를 취득했다.

석사 학위 취득 후 국토통일원 공산권 연구관, 제1무임소장관실 정책조정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모교인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교수를 역임하면서 건국대학교 도서관장, 건국대학교 부총장 등에까지 올랐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제22번)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박철언의 월계수회에 속하며 박철언을 떠오르는 태양이라고 찬양하다가 물의를 빚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전라남도 나주시-나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김장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이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자 탈당하였다.

1993년 건국대학교 교수로 복귀하였으나 학생들의 반발을 일으켰고, 알선수재 혐의로 수사받기도 했다. 결국 이듬해인 1994년 2월 건국대학교 교수직을 사퇴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전라남도 나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정호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배기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남도 나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민주연합 강인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종류소속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당선 (22번)초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나주시·나주군)
ta-hash-start=w-003dd617c12d444ff9c80f717c3fa98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1,580표 (32.48%)낙선 (2위)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나주시)
무소속

7,813표 (12.35%)낙선 (3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나주시)10,661표 (18.37%)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남 나주시장)4,924표 (9.92%)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4:47:18에 나무위키 나창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척(惕)파-덕윤(德允)파 34세 주(柱) 항렬.[2] 인근의 대도리·산호리·송산리·오룡리와 함께 금성 나씨 집성촌이다.[3] 박안상(朴顔相)의 딸이다.[4] 석사 학위 논문 : 國會常任委員會(국회상임위원회)에 關(관)한 一考察(일고찰) : 第六代(제육대) 國會(국회) 常任委員會(상임위원회) 活動(활동)을 中心(중심)으로(1967).[5] 박사 학위 논문 : 毛澤東革命思想(모택동혁명사상)의 背景(배경)과 特性(특성)에 關(관)한 硏究(연구)(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