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남구만

덤프버전 :


조선 영의정
인조 ~ 경종
[ 펼치기 · 접기 ]

제101·102대

이원익
제103대

윤방
제104대

신흠
제105대

오윤겸
제106대

윤방
제107대

김류
제108대

이홍주
제109대

최명길
제110대

홍서봉
제111대

이성구
제112대

최명길
제113대

신경진
제114대

심열
제115대

홍서봉
제116대

김류


제117대

홍서봉
제118대

김류
제119대

김자점


제120대

이경석
제121대

이경여
제122대

김육
제123대

정태화
제124대

김육
제125대

이시백
제126대

김육
제127대

이시백


제128대

정태화
제129대

심지원
제130대

정태화


제130대

정태화
제131대

홍명하
제132대

정태화
제133대

허적
제134대

정태화
제135대

허적
제136대

김수흥
제137대

허적


제137대

허적
제138대

김수항
제139대

남구만
제140대

김수흥
제141대

여성제
제142대

권대운
제143대

남구만
제144대

류상운
제145대

서문중
제146대

최석정
제147대

서문중
제148대

최석정
제149대

신완
제150대

최석정
제151대

이여


제152대

서종태
제153대

이유
제154대

서종태
제155대

김창집





남구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좌의정 ]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 우의정 ]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조선 영의정
문충공(文忠公)
남구만
南九萬
파일:남구만.jpg
출생1630년 1월 15일
(음력 1629년, 인조 7년 12월 3일)
충청도 충주목 누암[1]
(現 충청북도 충주시)
사망1711년 5월 4일 (향년 81세)
(음력 숙종 37년 3월 17일)[2]
경기 광주부 율현
(現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
시호문충(文忠)
본관의령 남씨[3]
운로(雲路)
약천(藥泉)
붕당서인소론
부모부친 - 남일성(南一星, 1611 ~ 1665)
모친 - 안동 권씨 권엽(權曗)의 딸
부인동래 정씨 정칭(鄭偁)의 딸
자녀슬하 4남 2녀
장녀 - 양주 조씨 조태상(趙泰相)의 처
장남 - 남학명(南鶴鳴)
차남(서자) - 남학성(南鶴聲)
3남(서자) - 남학청(南鶴淸)
4남(서자) - 남학정(南鶴貞)
차녀(서녀) - 이대곤의 처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가계
5.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관이자, 숙종 시대를 대표하는 명신이다.


2. 생애[편집]


결성현(現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4]에 살았으며, 송준길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651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6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이듬해(1657년) 정언이 되었다. 1660년 이조 정랑, 대사간(大司諫), 승지(承旨)를 거치고, 1668년 안변 부사와 전라도 관찰사를 역임하였고, 1674년 함경도 관찰사가 되었는데, 가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어 칭송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4년간 함경도 관찰사로 재임하고 중앙으로 돌아가자 지역민들이 생사당(살아있는 이를 위한 사당)을 지어 그를 칭송하였다고 전해진다.

1679년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이 되었으나, 남인윤휴허적을 탄핵해서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환국으로 남인들이 실각하게 되자 도승지가 되었고, 대제학, 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684년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1687년 영의정이 되었다. 그리고 서인노론소론으로 분열되자 소론의 영수가 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이 일어나 서인이 실각하자, 남구만 역시 강릉으로 유배되었다. 1694년 갑술환국이 일어나자 다시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며, 1701년 희빈 장씨의 중형(重刑)을 주장하는 노론의 주장에 맞서 경형(輕刑)을 주장했으나 숙종희빈 장씨를 사사하자 충청도 아산현[5]으로 유배되었고, 이후 낙향했다.[6] 사후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약천집(藥泉集)》이 있다.

그가 죽은 지 한참이 지난 영조 시절에 《천의소감》이란 책에서 그와 유상운을 매도하는 글귀가 실려서 영조가 "이 책을 당론을 위해 썼느냐?"라고 격노하여 다시는 당론을 입게 담지 않겠다는 반성문을 신하들에게 받아낸 일이 있었다.


3. 여담[편집]


  • 안용복이 일본 에도 막부에게서 울릉도의 조선 영유를 확인받아 오는 쾌거를 이루었음에도 관리 사칭죄로 사형당할 상황에 처했을때 이는 벌할 일이 아니라 오히려 큰 상을 내릴 행위라고 안용복을 적극 옹호하여 유배형으로 감형하게 해주었다.[7]

  •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로 시작하는 동창곡이 남구만의 작품으로 알려져 왔으나 대제학 이명한의 작품이라고 한다.# 하지만 남구만이 문장이 뛰어난 건 사실이어서 책문·반교문·묘지명 등을 많이 썼다.

  • 성씨남씨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구 리그베다 위키 시절에는 자꾸 남구만을 남인이라 적는 오류가 자주 보였다. 지금은 대부분 수정된 상태이다.[8]

  • 개그맨 남희석이 남구만의 11대손이다. 남희석의 고조부 남정량(南廷亮)이 남구만의 7대 종손인데, 남희석의 증조부 남달희(南達熙)가 남정량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 대에서 종가와 갈라지게 되었다.

  • 그가 기사환국 때 유배되었던 동해시의 약천마을[9]의 우물은 그의 송덕을 기리기 위한 우물이었는데, 이 곳에서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조명한 미제사건 동해 학습지 여교사 살인사건이 일어났다.

  • 우의정 시절 주강 중에 식년시의 개혁을 주장한 바가 있는데, 이 때 당시 상황에 대해 "식년시가 구송(암기시험)만 보니 시골에선 언문으로만 공부해서 급제하고도 서찰 하나 못 쓰는 애들이 수두룩해 삼사에 쓸 사람이 없어 난리다"라고 비판한 바가 있다.#


4. 가계[편집]


10대조 남재는 조선 개국공신으로 영의정이었다.[10] 8대조 남지문종좌의정이었다.

그러나 계유정난 때 사돈인 안평대군의 죽음과 함께 잠시 권력을 잃었다가 손자대인 성종조에 다시 세력을 회복한 남지의 다른 후손들이나, 생육신 남효온의 족당(가까운 친척)이라는 이유로 현달한 관직에 못 오르다가 중종 때 대사헌·한성부판윤·형조판서 등을 지내면서 다시 집안을 일으켜세운 남효의(南孝義) 집안과는 달리 남구만의 집안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한미해져, 남구만의 지위는 스스로 성취한 것이다. 남구만은 문장과 서화에 뛰어났다.

남구만은 본처인 동래 정씨와 4남 3녀를 두었는데 딸과 아들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10세 전에 조졸했다. 남구만 가문의 혼인 관계를 살펴 보면 노론과 소론의 주요 인물들이 두루 망라되어 있어 소론의 영수로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조부 : 남식
  • 아버지 : 현령 남일성
  • 어머니 : 권씨 - 권엽의 딸
  • 아내 : 동래 정씨 - 지평 정칭의 딸
    • 딸 : 의령 남씨 - 조태상에게 출가
    • 아들 : 남학명
    • 며느리 : 전주 이씨 - 이민서[11]의 딸[12]
    • 며느리 : 경주 이씨 - 백사 이항복의 증손녀이다. 이시현의 딸이다.
      • 손자 : 남극관
      • 손자 : 남처관
      • 손자 : 남오관
      • 손녀 : 의령 남씨 - 이창원에게 출가
      • 손녀 : 의령 남씨 - 이광의에게 출가
  • 측실 : 신원미상
    • 아들 : 남학성
    • 아들 : 남학청
    • 아들 : 남학정
    • 딸 : 의령 남씨 - 이대곤에게 출가


5. 대중매체[편집]



[1] 모친이 출산과 육아를 위해 친정으로 돌아와 낳은 것으로, 부계 쪽에서 마련한 시골집은 결성현(現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에 있었다.[2] 세는나이 83세.[3] 충경공파(忠景公派)-간성공파(杆城公派)[4]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이 있기 전까지는 독립된 행정구역이었다. 그의 문집인 《약천집(藥泉集)》에는 외갓집인 충주 누암에서 태어나 세는나이 5살 때 한양으로 올라갔다가, 세는나이 10살 때 아버지가 은퇴하면서 결성 구산(龜山, 현 홍성군 구항면)에 돌아왔다고 기록되어 있다.[5]충청남도 아산시 북부 지역[6] 이 때 《동창이 밝았느냐》라는 유명한 시조를 썼다.[7] 다만 정확히 말하면 남구만 말고도 많은 이들이 안용복의 죄는 용서할만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국은 관리를 사칭한 죄를 용서해주면 또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와서 유배형에 처해진 것이다.[8] 참고로 남구만이 남인이라는 오해는 꼭 리그베다 위키나무위키에서만 일어나는 게 아니라, 전반적으로 널리 퍼진 오해로 보인다. 일례로, 2002년에 방송한 드라마 장희빈에서도 남구만은 남인이라 언급되며, 아예 남인의 영수라는 설정까지 붙어있었다. 다만 생전 장희빈을 포함, 남인 민암, 장희재 등에게 은전을 베풀 것을 고집하다가 소론 세력의 반발을 사 그들이 강경파 노론으로 전향하는 계기를 만들긴 했다.[9] 마을 이름도 남구만의 호인 약천에서 따왔다.[10] 개국공신 남은의 형이나, 개국 이후에는 행보가 갈려 무인정사에서 살아남았고 태종 때 영의정이 되었다.[11] 세종의 서자 밀성군의 후손[12] 남구만은 송시열의 제자 이민서와 교유가 깊었다. 남구만의 아들 남학명과 이민서의 딸이 혼인하여 친인척으로 맺어졌는데 이민서의 딸이 자녀 없이 조졸했다. 그래서 남구만의 아들 남학명은 이항복의 증손녀와 재혼한다.
이 문서의 r1 버전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2765&cid=46622&categoryId=46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