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홍언필

덤프버전 :


조선 영의정
중종 ~ 광해군
[ 펼치기 · 접기 ]

제48대

류순
제49대

박원종
제50대

김수동
제51대

류순정
제52대

성희안
제53대

송질
제54대

류순
제55대

정광필
제56대

김전
제57대

남곤
제58대

정광필
제59대

장순손
제60대

한효원
제61대

김근사
제62대

윤은보



제64대

윤인경
제65대

홍언필
제66대

이기
제67대

심연원


제68대

상진
제69대

윤원형
제70대

이준경


제70대

이준경
제71대

권철
제72대

이탁
제73대

홍섬
제74대

권철
제75대

홍섬
제76대

권철
제77대

홍섬
제78대

박순
제79대

노수신
제80대

류전
제81대

이산해
제82대

류성룡
제83대

최흥원
제84대

류성룡
제85대

이원익
제86대

윤두수
제87대

이원익
제88대

이산해
제89대

이항복
제90대

이덕형
제91대

이항복
제92대

윤승훈
제93대

류영경


제94대

이원익
제95대

이덕형
제96대

이원익
제97대

이덕형




홍언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 좌의정 ]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 우의정 ]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조선 영의정
문희공(文僖公)
홍언필
洪彦弼
출생1476년 8월 10일[1]
(음력 성종 7년 7월 12일)
사망1549년 3월 7일[2] (향년 72세)
(음력 명종 4년 1월 28일)
봉호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3]
시호문희(文僖)
본관남양 홍씨 토홍계 (12세)
자미(子美)
묵재(默齋)
부모부친 - 홍형(洪泂, 1446 ~ 1500)
모친 - 한양 조씨 조충손(趙衷孫)의 딸
부인여산 송씨 - 송질(宋軼)의 딸[4]
자녀1남 1녀
장남 - 홍섬(洪暹, 1504 ~ 1585)
서녀 - 홍씨(1505 ~ 1587) - 파평 윤씨 윤진(尹珍)[5]의 처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 중기의 문신.


2. 생애[편집]


1476년(성종 7) 음력 7월 12일 승정원 우부승지를 지낸 아버지 홍형(洪泂, 1446. ~ 음력 1500. 11. 25.)과 어머니 한양 조씨 조충손(趙衷孫)의 딸 조씨 사이의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495년(연산군 1) 증광 진사시에 3등 31위로 입격했으나,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휘말려 유배당했다가 1506년(중종 1)에 중종반정으로 복귀했다. 그리고 1507년(중종 2) 증광 문과에 을과 1위로 급제했다.

1526년(중종 21)엔 형조판서로 임명되는데, 1535년(중종 30)에 김안로의 모함으로 파직된다. 하지만 김안로가 실직한뒤 다시 관직에 복귀해 호조판서로 임명되었다. 1544년(중종 39)에 영의정이 되었다.

영의정에 임명된 지 5년 후인 1549년(명종 4) 음력 1월 28일에 사망했다.


3. 여담[편집]


  • 그의 장남 홍섬(洪暹, 음력 1504. 9. 10. ~ 1585. 2. 11.)도 선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 그는 평소에 몸가짐이 검소하고 화려한 것을 그닥 좋아하지 않아 청렴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두 가지가 있는데, 장남 홍섬이 젊은 나이에 판서가 된 이후 초헌(軺軒)[6][7]을 타며 거리를 돌아다니자 아내는 기뻐하며 남편에게 이 사실을 알렸는데, 홍언필은 기뻐하기는 커녕 오히려 분기탱천해서 당장 홍섬을 집으로 데려오라고 한 뒤 아들에게 "나는 높은 자리에 오르고도 항상 겸손하게 사는데, 네 놈은 이렇게 방탕하게 산다는 게 말이 되느냐?"라고 호되게 꾸중하자 홍섬은 용서를 빌었고, 이어서 "그럼 어디 다시 한 번 초헌을 타 보거라! 벽제(辟除) 소리 크게 울리며 맘껏 돌아다녀 보거라!"라고 하자 홍섬은 초헌 위에 올라 벽제를 하면서 집 마당을 돌았고, 홍언필은 뒷짐을 지고 맨발로 미투리 신발을 신고서 그 뒤를 묵묵히 따라다녔다. 홍섬은 부끄러워서 실로 몸둘 바를 몰랐고, 이후부터는 홍섬도 언행을 조심하여 다시는 위세를 부리는 일이 없었으며, 후에 그의 벼슬이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몇년 후 영의정인 홍언필이 환갑을 맞아서 환갑잔치를 치르게 됐는데, 집안 사람들이 광대와 기생까지 불러 큰 잔치를 열었지만, 홍언필은 오히려 언짢은 기색을 지으며 "내가 이렇듯 높은 벼슬에 올라 영화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은 항상 마음 속으로 경계하고 삼가는 것을 잊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 환갑을 맞아 기생을 불러 크게 한 번 놀고 있으니 이는 나를 죽이는 것이 아니겠느냐?"라고 하며 기생들을 물리쳤다.

  • 그의 사위였던 윤진중종과 내외종사촌 관계였다고 한다. 윤진의 아버지는 윤탕로인데, 윤탕로는 성종의 부인이자 중종의 어머니인 정현왕후의 오빠이다. 그래서 홍언필과 중종은 겹사돈 사이가 되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0:27:38에 나무위키 홍언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율리우스력 8월 1일.[2] 율리우스력 2월 25일.[3] 1577년(선조 10) 위사공신 삭제로 인한 삭탈.[4] 아버지(송질)와 남편(홍언필), 아들(홍섬) 모두가 영의정을 지냈다. 조선시대 유일무이한 사례.[5] 성종의 2계비 정현왕후의 조카.[6] 조선시대 종2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탄 외바퀴 수레로, 고위 관리의 위세를 상징하였던 물품이다. 초헌을 사용하는 종2품 이상의 당상관은 집에 솟을대문이 문턱이 없게 설계되어, 초헌을 바로 밀고 드나들도록 했다. 반면 홍언필은 높은 자리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초헌보다는 급이 좀 낮은 남여(藍輿)를 타고 다녔다. 홍언필의 검소함을 엿볼 수 있는 부분.[7] 한마디로 오늘날로 치자면 초헌 정도면 차관급이상 관용차이고 남여는 차관보급 이하 관용차인 셈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