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논산역

덤프버전 :



논산역
고속열차 노선 보기

행신 방면 계 룡[1]
← 25.4 ㎞
익 산
37.1 ㎞ →

[1] 행신행 열차와 서울행 열차는 상행으로만 각각 하루 2회 운행된다.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Nonsan
한자論山
간체자论山
가나論山(ノンサン

주소
충청남도 논산시 해월로 236-12 (반월동)
관리역 등급
보통역 (2급)
(서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호남선1911년 11월 15일
파일:KTX BI_White, Red.svg2004년 4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3면 10선 3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논 산

1. 개요
2. 역 정보
2.1. 정차 열차
2.2. 역무시설
2.3. 시간표
2.3.1. 상행
2.3.2. 하행
3. 승강장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논산역.jpg
현 역사(1988년 준공)

파일:논산역 스탬프.jpg
논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호남선에서 가장 먼저 개설된 역

논산역은 1911년 11월 15일 영업을 개시, 호남선 가운데 가장 먼저 개설된 역으로, 1988년 현재의 역사 준공에 이어 2004년 KTX가 정차하고 있는 충남지역 교통의 요충지이다. 역 주차장에 설치된 <논산역에서>라는 시가 보여주듯 역을 오가는 수많은 육군 장병들과 그의 가족들에게 논산역은 잊기 어려운 눈물의 장소이다. 군인의 도시의 군인의 역사. 동시에 논산역은 국내 딸기의 18% 이상을 생산하는 딸기 마을의 역사이기도 하다. 딸기는 특히 보관과 운송이 까다로운 작물인데, 호남선 철도로 빠르게 운송할 수 있는 논산역의 공이 컸기 때문이다. 또한 논산역은 논산의 중심에 위치, 연계 교통이 편리하여 개태사, 관촉사, 쌍계사, 탑정호 등 다양한 관광지로 이동이 편리한 관광의 역사이기도 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충청남도 논산시 해월로 236-12(반월동 33-59)에 존재하는 호남선철도역. 2009년 그룹대표역에서 보통역으로 강등당했다.


2. 역 정보[편집]



2.1. 정차 열차[편집]


호남선 상에 위치해 있으며 행신행[1], 서울행[2], 용산행, 목포행, 광주행, 여수행 열차가 운행한다. 현재 S-train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KTX의 경우 서대전역부터는 기존선을 이용해 KTX를 굴리는 것이기 때문에 제 속도는 못 낸다. 또한 서대전역 - 논산역 구간의 선형은 굴곡이 많기로 악명이 높다. 이에 따라 2021년 대전광역시는 결국 이 선형에 대한 개량 사업을 진행하려 하고 국비 예산까지 확보했다.

호남고속선은 논산역을 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호남고속선 1단계 개통으로 이익을 얻었다.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기존선 운행 계통익산역까지로 운행 거리가 짧아지고 운행 편수도 줄어들었지만, 지금과 같은 서대전 경유 계통에서는 필수정차역으로 변경되었기 때문. 상행의 경우 선택 정차역이었던 예전에 비해 정차 횟수가 늘어났고, 하행의 경우는 정차 횟수가 줄었으나 당시에도 기존선을 달리는 KTX였으므로 큰 의미는 없다.

2.2. 역무시설[편집]


파일:external/www.itrailnews.co.kr/art_14900569380254_fc1cee.jpg

2017년 로프형 스크린도어 시범설치 역으로 지정됐으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과 과거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에 설치된 비슷한 방식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적이 있었다. 위아래로 닫히는 스크린도어 방식이며 도시철도에 설치된 스크린도어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1개 길이가 20m인 안전문이 위아래로 여닫히는 구조로 되어있었다. 2017년 ~ 2018년에 설치되어 운영되었으나, 현재 로프식 스크린도어는 철거되고 없다.

원래는 TMO가 없었으나 2009년 4월 20일에 강경역에 있던 TMO가 이 역으로 이사왔다.

2.3. 시간표[편집]



2.3.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50KTX_산천474행신
07:36KTX472서울
09:30KTX-산천476용산
13:35KTX586용산
14:09KTX582용산
15:39KTX-산천588용산
17:06KTX590[금~일]용산
18:33KTX-산천482[월~목]
488+4054[금~일]
행신
21:00KTX-산천584[월~목]
4044+584[금~일]
용산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03무궁화1442용산
07:38무궁화1462서대전
08:06ITX-새마을1072용산
08:55무궁화1502용산
09:41무궁화1402용산
10:27ITX-새마을1082용산
11:06ITX-새마을1074용산
12:47ITX-새마을1062용산
13:22ITX-마음1162+1182용산
14:14무궁화1422용산
14:45무궁화1444용산
15:26ITX-새마을1076용산
15:56무궁화1504용산
16:34ITX-새마을1084용산
16:56무궁화1424용산
18:08ITX-마음1164+1184용산
18:55무궁화1404용산
19:54ITX-새마을1064용산
20:28ITX-새마을1078용산
20:50무궁화1506용산
21:57무궁화1508용산
23:24무궁화1464서대전


2.3.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55KTX-산천471익산
09:18KTX581여수엑스포
11:25KTX-산천475목포
11:44KTX585전주
13:51KTX-산천587전주
14:54KTX589[금~일]전주
16:23KTX-산천4041[금~일]목포
583[월~목]
593[금~일]
여수엑스포
18:45KTX481목포
22:49KTX_산천485익산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49무궁화1461광주
08:28무궁화1501여수엑스포
09:12무궁화1421광주
09:41ITX-새마을1081여수엑스포
10:21무궁화1401목포
10:52ITX-새마을1071광주
12:08ITX-마음1161목포
12:08ITX-마음1181여수엑스포
12:22무궁화1441익산
14:27ITX-새마을1061목포
15:07무궁화1503여수엑스포
16:01ITX-새마을1073광주
17:36ITX-새마을1075광주
17:50무궁화1505여수엑스포
18:57무궁화1423광주
19:02ITX-새마을1083여수엑스포
19:34ITX-마음1163목포
19:34ITX-마음1183여수엑스포
19:44무궁화1403목포
20:28무궁화1463광주
21:35ITX-새마을1063목포
21:57무궁화1507여수엑스포
22:27ITX-새마을1077광주
00:06무궁화1443익산

3. 승강장[편집]


연산
1234
강경


4. 역 주변 정보[편집]


이 역의 가장 큰 존재 의의는 다름아닌 육군훈련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훈련소와의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훈련소에 가려면 버스나 택시를 타야 한다[3]. 버스의 경우 교통카드는 기본적으로 마이비를 사용한다. 티머니, 캐시비 등의 수도권용 교통카드도 사용 가능하다. 요금은 현금 기준으로 1,600원이다. 카드는 100원 할인. 버스를 이용하여 훈련소를 간다면 길건너 세븐일레븐[미니스톱]편의점 앞 버스정류장에서 200번대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다만 훈련소 앞의 식당은 비싸고 더럽게 맛이 없기 때문에 시내를 거쳐서 밥을 먹고 훈련소행 버스를 타는 것도 괜찮다. 200번대 버스는 기본적으로 훈련소를 경유하지만, 가급적이면 기사에게 입소대대 가나요? 라고 여쭤보자. 입대장정이 가야 하는 곳은 훈련소 정문(연무문)이 아니라 입소대대(입영심사대)이다. 물론 멀지는 않지만, 잘못 내리면 10분 정도 걸어야 한다. 201번이 가장 자주 다닌다.

택시는 입대 시간이 많이 늦은 게 아니면 안 타는 게 좋다. 거의 모든 택시기사가 미터기를 안 돌리고 정액제로 받는다. 지방이라 교통량이 적고 신호등도 별로 없어서 택시비가 비싼 편은 아닌데 역에서 입소대대까지 거리가 있는데다가 빙 돌아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요금이 약 1만 5천 원이나 나온다.[4] 이들은 육군훈련소에서 배포하는 걸로 추정되는 입대장병의 수에 대한 데이터를 들고다니며, 오늘도 입대장병과 가족들을 상대로 장사를 한다. 거리뷰로 논산역 앞을 찍어보면 수많은 택시들이 눈에 보인다. 특히 논산역 버스정류장에서 택시기사들이 "훈련소 가요. 지금 버스 타면 늦어요. 택시 타고 갑시다." 하면서 승객들을 잡는다.

역에서 10분 정도 거리 내에는 기차가 오는 시간이 아니면 사람도 별로 없고 오래된 가게가 많다. 논산역 옆에는 GS25 편의점이 있고 논산역 건너편에는 새마을금고 자동화 코너와 세븐일레븐[미니스톱] 편의점이 존재한다. 논산시에서 사업을 진행하여 현재는 역사 앞 택시정류장을 따로 만들고 버스정류장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역 광장과 철로 건너편의 계백로를 잇는 육교가 있는데, 이 곳을 건너 도보 10분 내외 거리로 논산시외버스터미널논산고속버스터미널이 위치해 있다. 또한 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덕성여객 차고지[5]가 있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총합비고
2004년279명327명2,396명3,002명[6]
2005년351명347명2,535명3,233명
2006년388명351명2,471명3,210명
2007년352명380명2,408명3,140명
2008년311명426명2,455명3,192명
2009년303명468명2,511명3,282명
2010년319명534명2,649명3,502명
2011년357명568명2,995명3,920명
2012년346명463명3,197명4,006명
2013년353명462명3,242명4,057명
2014년350명552명3,112명4,014명
2015년385명686명2,869명3,940명
2016년454명650명2,566명3,670명
2017년480명692명2,418명3,590명
2018년518명711명2,389명3,618명
2019년547명732명2,423명3,702명
2020년349명504명1,548명2,401명
2021년416명569명1,586명2,571명
2022년604명717명1,767명3,088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6. 둘러보기[편집]





[1] #474(논산 06:50 출발), #482 (논산 18:33 출발)[2] #472(논산 07:40 출발), #482 (논산 18:33 출발)[금~일] A B C D E F 금~일에만 운행한다.[월~목] A B C 월~목에만 운행한다.[3] 훈련소 앞 길 건너에 연무대역이 있지만, 기초훈련을 마친 수료장병들을 수송하는 군용열차만 진출하기 때문에 일반열차를 타고 연무대역을 이용할 수 없다.[미니스톱] A B미니스톱[4] 역 앞 육교로 건너가면 돌아가는 루트가 대폭 단축된다. 100미터 정도 걸으면 택시 승강장도 있다.[5] 논산의 시내버스 터미널이라 봐도 무방하다.[6]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