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주역

덤프버전 :


나주역
미개통 고속열차 노선 보기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Naju
한자羅州
간체자罗州
가나羅州(ナジュ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역길 56 (송월동)
관리역 등급
보통역
(목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ffffff 운영 기관}}}
호남선한국철도공사[1]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호남선 (구역)1913년 7월 1일
~ 2001년 7월 9일[1]
호남선 (신역)2001년 7월 10일
파일:KTX BI_White, Red.svg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2016년 12월 9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1] 죽림동 시절의 구역사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9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나 주
호남고속선
나 주
철도 계획 노선 보기

1. 개요
2. 역 정보
2.1. 역사
2.2. 시간표
2.2.1. 상행
2.2.2. 하행
3. 승강장
4. 일평균 이용객
5. 여담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나주역 전경.jpg
리모델링 이후 현 역사(2001년 준공)[2]

파일:나주역현.jpg
리모델링 전 모습(2001년~2019년)

파일:external/tourimage.interpark.com/633872356600226168.jpg
구 역사(1925년 준공)[3]

대합실 내부 모습

파일:나주역 스탬프.jpg
나주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배와 농부를 형상화했으며, 같은 도안의 영산포역 스탬프와 함께 비치중이다. 영산포역 스탬프는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나주 배를 상징하는 아름다운 선상역사

나주역은 1913년 7월 호남선 개통에 따라 나주시 죽림동에 처음 건축되었다. 항일운동역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를 간직한 채 묵묵히 자리를 지켜오다, 2001년 호남선 복선화 부분 개통으로 영산포역과 통합하면서 나주시청 앞으로 이전하였다. 2020년 광주송정과 목포를 잇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의 일환으로 나주역은 나주의 자연과 역사를 모티브로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였다. 특히 나주 배와 나이테를 형상화한 비정형 돔 형식의 선상역사로 증축하면서도 기존 역사와의 연계성을 살려 개축을 최소화하였다. 기존 역사는 업무시설로 활용되고 있고, 상부의 세련된 여객시설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동선을 자랑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철도역.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역길 56 (송월동 294-1) 소재.

여기 또한 KTX/SRT가 정차하는 역이기 때문에 광주송정역과 함께 주변 지역의 열차 수요를 담당하며, 나주시, 영암군[4], 해남군(문내, 화원, 산이, 황산 4개지역은 제외), 완도군, 강진군, 무안군 북부, 함평군 서남부에서 이용한다.[5] 나주시 안쪽까지 농어촌버스가 들어오는 영암군을 제외하면 시외버스농어촌버스(함평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광주송정역으로 가는 편이고, 나주역은 넓은 주차 공간 덕분에 버스 이용객보다 자차 이용객이 많다.


2. 역 정보[편집]



2.1. 역사[편집]


호남선 개통 당시에는 구 나주읍 지역에 있던 나주역과 구 영산포읍 중심지에 있던 영산포역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그러나 호남선 복선전철화공사를 하면서 2001년 7월 10일에 두 역을 통합하여 나주시청 인근인 송월동으로 이전하였다. 역에서 나주시청까지 걸어서 약 10분 거리.

구 나주역은 무궁화호 이하 열차가 정차하였고 구 영산포역새마을호 이하 전 열차가 정차하였으므로 신 나주역도 새마을호 이하 전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고, 2004년부터 일부 KTX도 정차하였다. 2015년 4월 호남고속선 개통 후 왕복 13편의 KTX 열차가 나주역에 정차한다. 이 역은 위치상 목포역 착발의 모든 열차가 지나가면서 정차 or 통과하게 되는데, 호남고속선 개통 전에는 목포행 KTX가 왕복 7편에서 12편까지 증가하는 동안에도 왕복 4회 가량의 정차횟수를 유지했다. 그러다가 호남고속선 개통 후 이 역을 지나는 목포행 KTX는 왕복 16편으로 33% 가량 증가하였는데, 정차횟수는 3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기존선을 운행하던 호남선 KTX가 고속선으로 운행하게 되며, 어느 정도 표정속도를 확보하게 되어서 표정속도에 큰 영향을 안 주는 기존선에 해당하는 이 역의 정차횟수를 늘려준 것인지,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의한 수요증가인지는 알 수 없다.[6]

2014년 2월 4일나주시에서는 국토교통부 관보 내용을 인용하여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노선이 나주역을 경유함을 확인하였다고 보도하였다.
파일:나주역 조감도.jpg
그리고 나주역이 신 역사로 증축, 리모델링 되었다. 2017년 11월 1일 착공하여, 2020년 2월 완공되었다. 광주송정역보다 커보이는 것은 함정. 다만 실제로 지어진 것은 조감도보다 덜 화려하게 지어졌다. 리모델링 전 지하로 승강장으로 이동하였지만, 현재는 대합실이 2층에 있어 육교 형식으로 승강장이 연결된다.

2020년 3월 20일,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나주역 증축 공사를 준공하였다고 발표했다. 기사

특이하게도 KTX는 선택정차하지만 SRT필수정차하는 역이다. SRT 정차 횟수는 왕복 9회.[7]

2.2. 시간표[편집]



2.2.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5:51KTX-산천404행신
06:00KTX472[김제,서대전]서울
07:31KTX406용산
08:38KTX_산천408행신
09:34KTX-산천410용산
11:11KTX_산천414서울
13:18KTX418서울
14:11KTX420용산
14:48KTX-산천422서울
15:47KTX_산천4042[월~목]용산
16:18KTX-산천424행신
17:22KTX-산천426용산
18:25KTX430용산
19:16KTX432용산
19:40KTX-산천4044[서대전][금~일]용산
20:20KTX-산천434행신
22:20KTX440행신

파일:SRT BI.svg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49SRT652수서
08:24SRT654수서
10:33SRT656수서
13:33SRT658수서
14:28SRT660수서
17:10SRT662수서
19:30SRT664수서
20:50SRT666수서
22:53SRT668수서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52무궁화1402용산
10:19무궁화1952부전
11:03ITX-새마을1062용산
11:38ITX-마음1162용산
16:25ITX-마음1164용산
17:02무궁화1404용산
18:10ITX-새마을1064용산
19:07무궁화1982광주
19:22무궁화1470익산
21:40무궁화1474광주

2.2.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57KTX-산천403목포
08:39KTX405목포
09:53KTX_산천407목포
10:24KTX409목포
12:44KTX413목포
13:03KTX-산천475목포
14:23KTX_산천415목포
15:34KTX-산천419+9419[월~목]
419[금~일]
목포
17:36KTX-산천4041[금~일]목포
17:45KTX423목포
18:54KTX-산천427목포
19:43KTX-산천429목포
20:21KTX481목포
21:52KTX433목포
22:42KTX-산천435목포
23:19KTX437목포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01SRT651목포
08:48SRT653목포
11:42SRT655목포
12:54SRT657목포
15:07SRT659목포
18:07SRT661목포
19:09SRT663목포
21:20SRT665목포
23:09SRT667목포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18무궁화1981목포
12:07무궁화1401목포
12:12무궁화1951목포
13:42ITX-마음1161목포
16:07ITX-새마을1061목포
17:54무궁화1473목포
19:57무궁화1469목포
21:09ITX-마음1163목포
21:35무궁화1403목포
23:21ITX-새마을1063목포

3. 승강장[편집]



노안
3456
다시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총합비고
2004년218명131명571명920명[8]
2005년303명119명493명915명
2006년353명106명488명947명
2007년245명94명510명849명
2008년340명109명452명901명
2009년340명106명420명866명
2010년386명102명421명909명
2011년387명88명451명926명
2012년373명82명472명927명
2013년347명77명476명900명
2014년428명99명499명1,026명
2015년1,099명146명460명1,705명
2016년1,553명536명88명419명2,596명[9]
2017년1,559명654명90명378명2,681명
2018년1,746명778명81명364명2,969명
2019년1,872명815명76명381명3,144명
2020년1,317명647명46명219명2,229명
2021년1,503명726명56명233명2,518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여담[편집]


  • 이 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두 개나 있다. '영산포역'이라고 새겨진 초기 스탬프와 디자인은 완전히 똑같고 역명만 '나주역'으로 변경된 스탬프이다.

  • 역 내에 스토리웨이와 던킨도너츠가 입점해 있으며, 나주시를 상징하는 금동관과 강진군을 상징하는 청자가 전시되어 있다.[10]

  • LG화학 나주공장으로 들어가는 인입선이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생산하는 프로필렌흥국사역에서 싣고 매일 1회 운행하는 화물열차 반입용이다. 선로 구조가 옛 나주역 쪽으로 갔다가 현 나주역으로 돌아오는 방식이다. 이것은 나주역이 이전하면서 인입선을 수정하려고 보니 지형상 공장 시설을 옮겨야 하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옛 나주역 쪽으로 가는 인입선을 그대로 두고 거기서 다시 현 나주역까지 인입선을 끌고 온 것이다. 호남선 구 나주역과 현 나주역 사이의 선로가 세 가닥이고 구 나주역에 신호장 비슷한 시설이 남아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나주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본선으로 타는 것은 현 공장구조와 선로배선상 어렵다. 그러면 노안역에 화물중계 역할을 시켜야 한다.


6. 연계 교통[편집]



나주역(1187)[11]
급행
광역
시내
순환
순환(남부)
순환(중부)
순환(제한)


나주역(1188)[12]
급행
광역
시내
순환
순환(남부)
순환(중부)
순환(제한)

  • 타 대중교통으로 환승할 때는 인근을 지나는 시내버스들 중 시간대별로 일부 차량이 역 앞까지 들어오기는 하나 영산포 방향은 나주역 진입 도로 선형 특성상 노선 수 및 횟수가 적은 편이다. 따라서 걸어서 10분 이내에 있는 나주시청 정류장까지 걸어 나가는 게 좋으며, 나주 시내와 혁신도시 방면은 자주 운행하므로 나주시청 정류장까지 갈 필요 없이 역 앞에 있는 버스정류장을 이용해도 된다. 그리고 영산포방면도 버스개편으로 노선수가 늘어났다.

  • 역 앞에 광주광역시 방면으로 가는 버스(997, 998, 999, 160, 161)가 많고 자주 운행하지만, 광주 방면으로 가려면 이 역에서 내리지 말고 기차로 광주송정역까지 간 뒤 광주 시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나주역~광주송정역 구간을 160번을 이용할 경우 40분 정도, 161번을 이용할 경우 혁신도시까지 거쳐 가서 50분 이상 걸리는 반면, 무궁화호 등의 철도로는 두 역 사이를 10분이면 오갈 수 있다. 진월동, 남광주역,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 방면도 여기에서 999번대를 타느니 광주송정역에서 광주 도시철도광주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특히 시계외요금 때문에 버스 요금도 그다지 싸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역에서 저 버스들을 이용할 이유가 전혀 없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5:25:20에 나무위키 나주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철도공사에서 SRT 매표업무까지 관할한다.[2] 2020년 리모델링 후의 모습이지만 거의 재건축 급으로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리모델링 이전의 흔적이 거의 남지 않게 되었다.[3] 현재는 광주학생항일운동 전시관으로 쓰이고 있으며, 외부가 다시 칠해졌다.[4] 삼호, 학산, 미암, 서호 4개지역은 제외[5] 무안군에는 무안역몽탄역이 있지만 무궁화호만 정차하고, 함평군함평역은 함평읍과 다소 떨어져 있는데다가 KTXSRT가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러 이 역까지 찾아오는 수요가 있다.[6] 한동안 역 인근에 고속철도 정차횟수를 늘려달라는 현수막이 걸려있었고 나주시에서 정차횟수를 늘려달라며 요구하였는지 고속철도 정차횟수가 증가되었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었다.[7] 이 역 또한 SRT가 목포역까지 운행해야 정차를 하지만 SRT가 고속선 면허이므로 거의 대부분 광주송정역에서 시종착을 하기 때문에 필수정차라고 해도 정차 횟수 자체는 많지 않다.[김제,서대전] 김제,서대전 경유[월~목] A B 월~목에만 운행한다.[서대전] 서대전 경유[금~일] A B C 금~일에만 운행한다.[8]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강진군, 장흥군을 비롯해 목포시, 무안군 남부, 영암군 서부를 제외한 전남 서남부 해안 지역의 관문 철도역 역할을 하기도 하니 이상한 일은 아니다. 같은 이유로 광주송정역에도 강진군 이름으로 청자가 전시되어 있다.[11] 역 건물 건너편, 나주국민체육센터 방면[12] 역 건물 앞, 나주시청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