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핵구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면역계/세포
,
,
,
,
,


면역계의 세포들
[ 펼치기 · 접기 ]

골수계 세포림프계 세포양쪽에서 분화
과립구단핵구대식세포적혈구[A\]거대핵세포B세포T세포선천성 림프구 세포수지상세포
호중구호산구호염구비만세포조직 상주 큰포식세포혈소판NK세포
[A] 가장 큰 역할은 기체교환이기 때문에 완전히 면역계의 세포라고 보기는 힘드나 보체수용체를 통한 면역복합체 제거에 기여하며, 다른 골수계 세포들과 같이 골수계 전구세포에서 유래하므로 표에는 포함.



단핵구
monocyte
파일:monocyte.jpg
1. 개요
2. 발생
3. 특징
4. 관련 질환



1. 개요[편집]


, monocyte

단핵백혈구, 단구라고도 한다. 과립구와 달리 핵이 하나이며 과립은 없다.


2. 발생[편집]


적골수의 조혈모세포에서 발생하여 약 24시간~36시간 이후 대식세포 또는 수지상세포로 성숙한다.


3. 특징[편집]


면역세포의 4~8% 정도를 차지하며 이동능력은 약하지만 식작용은 강하다. 대식세포전구세포로 완벽히 성숙하지 못한 세포이다. 세균이나 진균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을 수행하며 핵이 약간 찢어진 듯한 모습을 보인다.


4. 관련 질환[편집]


단핵구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단핵구증가증(monocytosis)의 원인으로는 결핵 등의 만성 감염, 전신홍반루푸스 등의 콜라겐혈관질환, 급성/만성 골수단핵구백혈병 등의 혈액암 등이 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1:12:52에 나무위키 단핵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