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중구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면역계/세포
,
,
,
,
,


면역계의 세포들
[ 펼치기 · 접기 ]

골수계 세포림프계 세포양쪽에서 분화
과립구단핵구대식세포적혈구[A\]거대핵세포B세포T세포선천성 림프구 세포수지상세포
호중구호산구호염구비만세포조직 상주 큰포식세포혈소판NK세포
[A] 가장 큰 역할은 기체교환이기 때문에 완전히 면역계의 세포라고 보기는 힘드나 보체수용체를 통한 면역복합체 제거에 기여하며, 다른 골수계 세포들과 같이 골수계 전구세포에서 유래하므로 표에는 포함.



호중구
Neutrophil
파일:Blausen_0676_Neutrophil_(crop).png
호중구를 3D로 렌더링한 사진
1. 개요
2. 역할



1. 개요[편집]


호중구 ( / Neutrophil)

혈액에 돌아다니는 백혈구 중 약 60%를 차지하며 산성/염기성 약제 모두에 잘 염색된다. 일반적인 백혈구를 칭할땐 이 호중구를 뜻하는 것이다. 호중구는 체내의 경찰 같은 존재로 항원이 침입했을 때 대식세포와 더불어 가장 먼저 반응하는 세포이기도 하다.


2. 역할[편집]


대식세포 등의 사이토카인에 유도되거나, 스스로 체내를 순환하며 침입한 항원을 탐지해 공격한다. 항원을 탐지하거나 사이토카인에 유도된 경우 백혈구가 가고 있던 혈관을 벗어나 항원의 위치로 가게 된다[1]. 이때 호중구는 혈관 상피를 뚫고 지나가는데 이를 유주 현상이라고 한다. 혈관 상피가 뚫려 내출혈이 일어날 수도 있으나 혈관 상피는 자체적으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호중구가 지나간 이후엔 다시 닫힌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출혈이 없으나 에볼라 바이러스 등 몇몇 질환에선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항원을 죽일땐 내부에 함유한 독성 과립을 분비하기도 하고 직접 항원을 잡아먹기도 하며 면역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호중구는 독성 과립을 가지고 있는만큼 굉장히 위험한 세포로 호중구가 작용하면 항원뿐만 아니라 주변의 정상 세포들도 죽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호중구는 수명이 굉장히 짧고 일이 끝나면 대부분 스스로 사멸한다. 호중구 등 백혈구가 대량 사멸 시 고름을 형성한다.

매우 비범하게도 세포 밖에 DNA로 만들어진 그물로 을 만들어 병원균을 죽이는 작용을 함이 밝혀졌다. 이를 호중구 세포외 덫(neutrophil extracellular cell traps, NETs)이라고 부르며, 이 NETs를 통해 유도되는 조절된 세포의 죽음NETosis라고 한다.

[1] 이를 화학주성이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8:02:50에 나무위키 호중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