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 4차 순환도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순환선파일:Cityroad_kor_10m.svg[[파일:Cityroad_kor_10.svg
도시고속도로파일:Cityroad_kor_10m.svg 4차순환도로 · 파일:Cityroad_kor_11m.svg 신천대로 · 파일:Cityroad_kor_22.svg 앞산순환로 · 파일:Cityroad_kor_42.svg 금호강변도로 · 테크노폴리스로
횡축선파일:Cityroad_kor_12.svg · 파일:Cityroad_kor_18.svg · 파일:Cityroad_kor_22.svg · 파일:Cityroad_kor_32.svg · 파일:Cityroad_kor_38.svg · 파일:Cityroad_kor_40.svg · 파일:Cityroad_kor_42.svg · 파일:Cityroad_kor_50.svg · 파일:Cityroad_kor_52.svg · 파일:/20151209_278/dc2688_14496653487838eriy_PNG/taepyeong-ro.png · 파일:Cityroad_kor_58.svg · 파일:Cityroad_kor_60.svg · 파일:Cityroad_kor_80.svg · 파일:Cityroad_kor_82.svg
종축선파일:Cityroad_kor_13.svg · 파일:Cityroad_kor_15.svg · 파일:Cityroad_kor_23.svg · 파일:Cityroad_kor_25.svg · 파일:Cityroad_kor_31.svg · 파일:Cityroad_kor_41.svg · 파일:Cityroad_kor_43.svg · 파일:Cityroad_kor_51.svg · 파일:Cityroad_kor_55.svg · 파일:Cityroad_kor_57.svg ·
59
· 파일:Cityroad_kor_61.svg · 파일:Cityroad_kor_63.svg · 파일:Cityroad_kor_67.svg · 파일:Cityroad_kor_70.svg · 파일:Cityroad_kor_71.svg · 파일:Cityroad_kor_77.svg · 파일:Cityroad_kor_81.svg

특별시도 | 광역시도 | 부산 | 대구 | 울산


1. 개요
2. 설명
3. 구간
3.1. 요약
3.1.1. 주행영상
3.2. 상세
4. 유료 구간 요금
5. 개통 후의 예상
5.1. 예상 효과
5.2. 예상 단점



1. 개요[편집]


파일:daegu-4th-ring.jpg
파일:Cityroad_kor_10m.svg파일:Cityroad_kor_10.svg 대구 4차 순환도로 노선도
大邱 4次 循環道路 | Daegu 4th Ring Way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2. 설명[편집]


대구광역시의 네 번째 순환도로로 가장 최외곽을 둘러싸고 있고 일부 구간[1]은 아예 대구 시경계 밖에 있다. 동구, 북구,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달성군, 달서구, 수성구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대구광역시도인 범안로, 앞산터널로, 상화로, 달서대로, 호국로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하는 고속국도인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범안로와 앞산터널로, 호국로는 민자도로로 건설되었고 그 중 호국로(국우터널)는 2011년부터 무료화되었다. 앞산터널로는 '대구남부순환도로주식회사', 범안로는 '대구동부순환도로주식회사'에서 각각 관리한다.

대부분 구간이 최고속도 80km/h의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안심고가, 율하고가, 연호고가, 연호지하도 등 입체 교차 시설로 고속화되어 있고 용지역 부근은 고가차도로, 상화로/달서대로/반야월로 교차 구간은 지하차도로 입체교차로가 계획되어 있다. 범물동에서 상인동까지 무려 7분에 주파가 가능하다.[2] 단 호국로[3], 상화로, 달서대로 일부 구간은 평면교차로로 되어 있어 신호 대기가 필요하다.

파동에서 파동IC를 통해 신천대로로 진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구광역시를 통과하는 모든 일반국도와 연결된다.

도로의 역할은 대구 도심으로 진입하는 차량과 대구를 통과하는 차량을 분리하여 도심 혼잡을 줄이는 것 외에도 대구 외곽의 택지지구와 상권을 연결하는 목적도 있다.
칠곡지구, 동서변지구, 신서혁신도시, 이시아폴리스, 연경지구, 도남지구, 다사지구, 대곡지구, 월배지구, 지산범물지구, 연호지구, 화원지구 등이 수혜 지역이다.

외곽지를 통과하는 특성상 대부분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대구광역시도 구간은 모두 완공되어 있으며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에서 2022년 3월 31일 개통했다. 해당 고속도로의 건설로 4차 순환도로가 완성되었다.

2027년 상화로 지하도로가 개통되면 기존 상화로를 대체하게 된다. 따라서 상화로 전 구간 역시 신호대기 없이 주파할 수 있다. 물론, 유천네거리 부터 달서IC 까지 달서대로 구간은 7개의 신호기가 있으며, 신호대기가 필요하다.


3. 구간[편집]


시계방향으로 서술되어 있다.


3.1. 요약[편집]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달서IC~동명동호IC)
호국로
(동명동호IC~서변IC)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서변IC~상매JC)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 도심
범안로
(상매JC~범물동)
달서대로
(달서IC~유천네거리)
상화로
(유천네거리~달비골)
상화로 지하도로
앞산터널로
(달비골~범물동)



3.1.1. 주행영상[편집]


시계방향 전 구간 주행 영상 (달서IC에서 시작)

반시계방향 전 구간 주행 영상 (동명동호JC에서 시작)

3.2. 상세[편집]


소재지종류명칭접속 노선방면
대구광역시동구JC상매JC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동대구JC 직결
TG
율암TG
IC율암IC혁신대로신서혁신도시 방향
안심고가차도
🚥
네거리
율하교교차로반야월로방촌/안심/하양 방향
🚥
네거리
율하역교차로
(율하고가차도)
안심로효목/안심/하양 방향
램프율하지하차도율하서로율하지구 방향
수성구범안대교
IC고모IC금호강변도로이시아폴리스/경산 방향
TG
고모요금소
🚥
네거리
연호네거리
(연호고가차도)
달구벌대로만촌/시지/경산 방향
램프연지교범안로91길이천마을/연호마을 방향
🚥
삼거리
범안삼거리
(연호지하차도)
유니버시아드로대구스타디움 방향
램프대덕마을앞미술관로대구미술관 방향
TG
삼덕요금소
🚥
삼거리
관계삼거리
(범물고가차도)
청호로만촌동 방향
🚥
네거리
용지네거리
(범물고가차도)
지범로동대구로/수성유원지/범물동 방향
🚥
네거리
범일초등학교교차로범안로3길, 범안로4길지산동/범물초교 방향
범물터널
IC파동IC신천대로대구시내/가창/청도 방향
TG
파동요금소
남구앞산터널
달서구🚥
삼거리
달비골삼거리
(상인교)
앞산순환로앞산 방향
🚥
네거리
월곡네거리
(상화로 지하도로)
월곡로월광수변공원/월배 방향
🚥
삼거리
LH앞한실로대곡지구 방향
🚥
네거리
상화네거리상원로, 도원로월배/대곡지구 방향
🚥
네거리
진천남네거리진천로, 한실로월배/대곡지구 방향
🚥
삼거리
수목원입구네거리
(상화로 지하도로)
화암로, 테크노폴리스로수목원/테크노폴리스 방향
🚥
네거리
유천네거리
(상화로 지하도로)
월배로달성군/서부정류장 방향
🚥
네거리
굴다리앞상천로/월배로1길유천IC/월배차량기지 방향
🚥
삼거리
대천동공영차고지앞성서4차첨단로출판단지 방향
대천교
🚥
삼거리
대천교앞성서로성서2차산단 방향
🚥
삼거리
달성습지앞구라로성서2차산단 방향
🚥
삼거리
달서대로58길성서3차산단 방향
IC
🚥
네거리
달서IC
개상듬네거리
달서대로, 성서공단남로계명대, 성서3차산단 방향
달성군금호대교
IC다사IC달구벌대로, 대실역남로다사/시내 방향
TG
북달성TG
IC북다사IC세천로7길성서5차산단/이천/세천 방향
경상북도칠곡군JC칠곡JC경부고속도로서울/부산 방향
TG
남칠곡TG
IC지천IC칠곡대로, 태전로지천/칠곡지구 방향
대구광역시북구JC동명동호JC중앙고속도로춘천/부산 방향
IC
🚥
삼거리
동명동호IC
팔거교교차로
호국로, 칠곡중앙대로동명/칠곡지구 방향
🚥
네거리
칠곡경대병원역앞팔거천동로경전철차량기지/칠곡지구 방향
🚥
네거리
50사단앞학정로제50보병사단/팔거역 방향
IC국우IC구암로칠곡지구/구암 방향
IC도남IC도남중앙로도남지구/대구시내 방향
국우터널
IC서변IC호국로동서변지구 방향
TG
연경TG
동구IC파군재IC동화천로, 금호강변도로연경지구/지묘/이시아폴리스 방향
IC둔산IC옻골로둔산 방향
JC상매JC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동대구JC 직결


4. 유료 구간 요금[편집]


민자로 지어진 곳이 많은데 국우터널[4], 파동IC[5], 범안로[6]요금소, 고모요금소이다.

민자구간(앞산 요금소)의 경우 하이패스 사용자라면 주의가 요구된다. 기기동작 오류나 사전준비 미비로 요금이 미납될 경우 통행료의 10배를 부가통행료의 명목으로 통행로에 가산하여 납부를 요구한다.

구간요금 (완주 시 승용차,승합차,1톤트럭 기준)개통 연도
안심~범물 (범안로)[7]300원
(2001년 10월 5일[A] ~ / 2002년 9월 1일[B] ~)
2001년 5월 15일[A] / 2002년 5월 23일[B]
범물~파동 (범물터널)600원2013년 6월 15일
파동~월곡 (앞산터널)1,000원
달서~다사900원2022년 3월 31일
다사~북다사1,200원
북다사~지천1,400원
지천~동명동호900원
국우터널무료[8]1998년 7월 7일
서변~파군재1,100원2022년 3월 31일
파군재~둔산1,200원
둔산~상매1,000원
상매~율암무료
신서~범안2014년 5월 5일


5. 개통 후의 예상[편집]



5.1. 예상 효과[편집]




5.2. 예상 단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20:20에 나무위키 대구 4차 순환도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칠곡JC 구간.[2] 아슬아슬하게 96에 맞춰 놓고 가면 5분 이내도 가능하다. 단, 모험을 하지는 말자.[3] 학정삼거리에 평면교차로가 존재한다.[4] 예전에는 경차 기준 300원, 소형(승용차) 기준 500원, 대형(승합차나 1톤 이상 트럭)기준 600원이었으나 2012년 8월 1일부터 무료화되었다.[5] 앞산터널요금소[6] 삼덕 요금소[7] 하이패스 전용차로는 설치돼 있으나, 일반차로에서는 하이패스카드 사용 불가[A] A B 범물~달구벌대로 구간[B] A B 달구벌대로~안심 구간[8] 2012년 8월 1일 이전에는 경차 기준 300원, 소형 기준 500원, 대형 기준 600원을 부과하였다.[9] 본디 과거 고속도로 구간은 하이패스 방식으로 통행 가능한 스마트톨링 구간으로 계획되어 문제가 없었으나, 일반차량 역시 통행이 가능하게 계획이 수정되었다. 이것으로 인해 하이패스가 없으면 호국로를 경유한 이후에는 하이패스 환승할인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